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68222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4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 영.유아교육전공 , 2014.2
2014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a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d program of full 2-year-old infants
viii, 121 L. ; 26 cm
지도교수: 심숙영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85-9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 인가?
2.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은 영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먼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문헌 분석, 교실관찰, 유아교육전문가 협의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영아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익혀 타인과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프로그램 교육내용은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 타인인식, 정서이해, 정서조절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영아의 발달 특성인 자발적 탐색 및 놀이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원리와 감정코칭을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으며 동화, 신체, 음악, 미술 등을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하루일과 중 영아가 부정적 정서표현을 할 때 만 2세 영아에게 적합한 감정코칭을 실시하여 영아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다음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3년 5월∼2013년 8월까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 만 2세 영아 12명을 대상으로 총 17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지능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평가와 하루일과 중 자연스런 상황에서 영아의 정서표현과 정서조절변화 과정을 관찰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은 영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질적인 분석결과 영아의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대인관계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향상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f 2-year-old infants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f 2-year-old infants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should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f 2 year old infants be formed ?
2. Does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f 2
year old affect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
First of all, this program was reconstructed through
references analysis, classroom observation,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in order to creat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The purpose and goals completed through such process are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required as a basic ability to
establish and maintain succ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others, by learning the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that infants can recognize in their emotions, and to express properly.
The chosen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of self-emotion awareness,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ontrol, and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ing actuality was constructed based on teaching-learning principles and emotion coach
centering on voluntary exploration and play which ar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fairy tales, physical, music, and art activities were conducted as priority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when infants express negative emotions during daily routines, I helped them recognize their emotions and express properly, using emotion coaching method appropriate for 2-year-old infants.
Next,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 program of
total of 17 weeks was implemented, with twelve 2-year-old
infants in national public nursery school located in Guro-gu,
Seoul as the subject, from May to August 2013.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for babies, the results of conducting pre and post tes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paired samples t-test on the changes in the pre and post scores within the group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asses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and by observing infants' emotional expressions and emotional adjustment process.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program application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positive changes in babies’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enhanced.
Accordingly, it could be seen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