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서 넓은 직경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 Survival Analysis of Wide-Diameter Implants in Maxillary & Mandibular Molar regions ; A Retrospectiv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33148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치의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7.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Survival Analysis of Wide-Diameter Implants in Maxillary & Mandibular Molar regions ; A Retrospective Study

      • 형태사항

        29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영준
        지도교수 :김영준
        참고문헌 : 24 p.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치과 임플란트는 다양한 형태의 치아상실 부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다수의 장기간의 연구들에서 이러한 치료 방법의 우수한 임상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불량한 골질이나 부...

      치과 임플란트는 다양한 형태의 치아상실 부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다수의 장기간의 연구들에서 이러한 치료 방법의 우수한 임상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불량한 골질이나 부족한 높이의 가용골이 있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실패가 증가하게 된다. 1980년대 후반에, 이러한 불량한 환경의 골 상태에 대해 표준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는 불량한 골질, 부족한 가용골의 높이,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 실패한 임플란트 부위의 재식립 등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더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 mm, 6.5 mm)까지 사용한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호한 임상적 결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논쟁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 식립한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8.0 mm)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생존율을 구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650명의 환자(남자:403명, 여자: 247명/ 연령: 20-83세, 평균: 51.2±11.1세)에게 식립한 1135개의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표면의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인 RescueTM (MEGAZEN사, 한국/ 상악 595개, 하악 540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체 임플란트 중, 68.3%가 지연 식립한 것이고, 31.7%가 발치 후 또는 실패한 임플란트의 제거 후 즉시 식립한 것으로, 상하악 제 1, 2 대구치 부위에 식립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는 각각 6.0-8.0 mm와 5.0-10.0 mm였으며, 42개월까지 추적조사를 시행하였다(평균 추적기간: 14.6±9.5 개월).
      총 1135개의 임플란트 중, 58개가 실패하였으며, 그 중 53개의 임플란트는 기능부하 후 1년 이내에 실패하였다. 42개월까지의 추적조사 결과, 상악과 하악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각각의 생존율은 93.6%와 96.3%였으며, 전체 임플란트에 대한 생존율은 94.9%였다. 생존분석 중 생존기간과 여러 요인들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Cox regression medel을 시행한 결과, 보철물의 연결여부, 상악에서의 상악동 이식술 시행여부와 환자의 성별이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성이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서의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8,0 mm)의 사용은, 적절한 환자 선택과 치료 술식이 적용된다면 표준 직경의 임플란트와 유사하게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dosseous implant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tooth loss, and numerous long-term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this method of treatment. However, the increase of implant failure are associated with inadequa...

      Endosseous implant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tooth loss, and numerous long-term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this method of treatment. However, the increase of implant failure are associated with inadequate quality and/or height of bone. At the end of the 1980s, Wide(>3.75mm) implants were initially used for managing these difficult bone situations. The recommended indications for its use included poor bone quality, inadequate bone height, immediate placement in fresh extraction sockets, and immediate replacement of failed implants. At the 2000s, wider implant (6.0mm and 6.5mm) were used in a few studies. Although good clinical outcomes have been reported in recent years, there is still a controversy on this topi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survival rate of wide-diameter implants(6.0-8.0mm) in molar regions, evaluating the clinical outcome.
      In this study, 1135 RBM surfaced wide-diameter implants (Rescue, MEGAZEN Co., Korea/ 595 maxillary, 540 mandibular) were placed in 650 patients (403 male, 247 female/age mean: 51.2±11.1 years, range 20 to 83 years). Of the total, 68.3% were used to treat fully or partially edentulous situations, including single-tooth losses and 31.7% were placed immediately after teeth extraction or removal of failed implants, of which all were in the molar regions. Implant diameter and length ranged from 6.0 to 8.0mm and from 5.0 to 10.0mm, respectively. The implants were followed for up to 42 months(mean: 14.6±9.5 months).
      Of 1135 placed implants, 58 implants were lost. Among them, 53 implants were lost within 12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survival rate was 93.6% in the maxilla and 96.3% in the mandible, yielding an overall survival rate of 94.9%, for up to 42 months. As the result of Cox regression model, prosthetic type, sinus graft, and patient gender have an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mplant survival rate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wide-diameter implants would provide a predictable treatment alternative in posterior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Ⅰ. 서론 = 3
      • Ⅱ. 연구대상및방법 = 5
      • Ⅲ. 결과 = 10
      • Ⅳ. 고찰 = 17
      • 국문초록 = 1
      • Ⅰ. 서론 = 3
      • Ⅱ. 연구대상및방법 = 5
      • Ⅲ. 결과 = 10
      • Ⅳ. 고찰 = 17
      • Ⅴ. 결론 = 22
      • 참고문헌 = 24
      • 영문초록 = 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