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사 운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고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제사는 집안의 사적인 의례 과정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81723
2015
Korean
삭녕최씨 ; 묘제 ; 기제사 ; 윤행 ; 종계 ; Choi Family of Saknyeong ; 朔寧崔氏 ;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 墓祭 ; Ancestor Worship Service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 ; 忌祭祀 ; Taking Turns ; 輪行 ; Jongye ; 宗契
KCI등재
학술저널
53-87(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제사 운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고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제사는 집안의 사적인 의례 과정으...
조선시대 제사 운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고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제사는 집안의 사적인 의례 과정으로 세세히 문서를 남겨가며 운영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제사 운영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문서는 양반가의 族契·宗契文書이다. 족계·종계는 종족을 중심으로 결집하는 계모임으로 주로 조상에 대한 제사 봉행을 위해 만들어 진다. 이때의 제사는 주로 墓祭를 말한다. 南原 朔寧崔氏의 ≪先世祭次輪行事目≫은 종계의 연장선상에서 만들어진 문서이다. 따라서 본고는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을 검토하여 17~19세기 남원 삭녕최씨의 제사 운영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 事目은 남원 삭녕최씨 通禮公派 중에서도 종손계열인 承旨公 宗中의 제사 봉행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제사 봉행 대상은 落南祖 崔秀雄부터 8세 여덟 형제까지이다. 제사 봉행 방식은 墓祭와 忌祭祀로 나뉘는데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에서 나타나는 묘제의 대상은 17세기 중후반 4대조 이내의 조상에서 5대조 이상의 遠祖로 변화하였고, 묘제의 성격은 17세기 중후반 寒食과 秋夕에 대한 節日祭에서 1년에 한 차례 제사지내는 時祭로 변하였다. 이와 더불어 묘제 거행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아들딸 구분 없이 輪行하다가 19세기 초반 宗契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남원 삭녕최씨의 기제사는 17세기 후반 4대 봉사를 아들딸 구분 없이 동등하게 윤행되다가 딸이 제외되고 아들들만이 윤행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이를 통해 주자가례의 수용 이후 나타나는 묘제와 기제사의 거행 방식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남원 삭녕최씨가의 제사 운영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묘제와 기제사를 자손들이 輪行하다가 이후 세대가 멀어지며 제사의 윤행이 끊어진다. 하지만 19세기 초반에 계속해서 생겨나는 조상의 묘제를 종계 차원에서 봉행하고, 기제사는 8세 여덟 형제의 8계열이 각각의 소종계에서 윤행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urces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can be obtained from old documents written in that age. However, there are few sources about it, because ancestor worship service was private ritual process in a house, and therefore ...
The sources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can be obtained from old documents written in that age. However, there are few sources about it, because ancestor worship service was private ritual process in a house, and therefore it did not need to be written in detail as document. In spite of it, documents to show method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are Jokkye(族契) and Jongkye(宗契) documents in the Yangban(兩班) class families. Jokkye and Jongjye are credit union groups consisting of families in bloodline and they were mainly composed for conducting worship services to ancestors. This ritual service usually meant worship service to family ancestors. Seonsejechayunhaengsamok(先世祭次輪行事目) of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was composed in the extension of a Jongy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during the 17th and 19th centuries by reviewing this family``s Seonsejechayunhaengsamok. This Samok provides information about ancestor worship services in the family of Seungjigong, the eldest line of Tongryegong sect among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The worshiped ancestors included from Naknamjo Choi Soo-woong to 8 generations of eight brothers. The method of the worship service was divided into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The ancestors worshiped in Seonsejechayunhaengsamok had been great-great-grandparents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and changed to forefathers more than five gene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changed from seasonal services in Hansik(寒食) and Chuseok(秋夕)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an anniversary service once a year. And then, the method to manage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but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was managed primarily by Jongye. For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it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for four generations of forefathers in the late 17th century but it became to be managed by male descendants only excluding female descendants. Through this, after the acceptance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 changes in the method to manage worship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were revealed. As seen above, the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had changed from taking turns of those before the grave and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being conducted by Jongye for increasing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위진남북조시대(魏晋南北朝時代) 공문서(公文書)의 서(署)名 방식 연구 -지목병용(紙木倂用) 시기(時期)의 서(署),성명(姓名),압(押)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평민층 입양관행의 변화와 그 의미 -『수양,시양등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