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장애아를 가진 가족의 증가는 이들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지원이 증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장애아 가족은 다른 가족에 비하여 많은 스트레스와 정서적 문제 및 사회적 고립...
오늘날 장애아를 가진 가족의 증가는 이들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지원이 증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장애아 가족은 다른 가족에 비하여 많은 스트레스와 정서적 문제 및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다. 특히 자폐아는 가장 심각한 장애의 일종으로 다른 장애 유형보다도 사회적 지원이 더욱 필요함에도 불구, 인식 부족으로 사회 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왔다. 자폐아를 둔 가족 전체의 안녕을 도모하고, 자폐아동의 양육 및 치료, 사회적응을 위한 환경을 구축한다는 점에서도 이들 가정에 대한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적인 인식의 공유와 폭넓은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 실정상 자폐아 부모는 양육으로 인해 매우 심한 심리적, 물질적, 시간적 부담을 갖게 된다. 또한 자폐아의 장래 독립생활을 위해 부모의 경제적 활동이 필수적임은 물론 장기간에 걸친 부의 축적이 요구된다.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다른 장애와는 다른 자폐증의 특수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기타장애아동의 양육가정과의 차이점을 고찰했다. 두 번째로 자폐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양육 스트레스 전반에 대하여 조사와 자녀 양육으로 인한 사회·경제활동 상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양육시설이 갖추어진다면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잉여시간을 자신의 사회·경제적 활동에 투자할 수 있을 것인지와 경제활동 재개의 여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연구자가 설정한 3개의 가설 중 첫 번째, 장애자녀 교육시간이 높을수록 자폐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사회적 활동을 제한하는(부담을 주는)요인들은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특히 개인활동시간 부족의 측면에서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활동에 대해서는 특별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두 번째 현재 자폐아 자녀의 양육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이 높을수록 공공(위탁)기관이 설립되었을 경우 지불할 수 있는 비용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확률이 매우 낮아 기각되었다.세 번째 하루 일과 중에서 취업활동시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경제활동 재개시 예상되는 월 평균 소득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취업활동시간에 따라 예상 소득은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결론적으로 자폐아의 양육 및 교육으로 인한 자폐아 가정의 스트레스는 실로 엄청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가정에 대한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가족체계를 통한 지원과 정책적 차원의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먼저 개인을 둘러싼 가장 밀접하고 빈번한 상호작용 체계인 자폐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나 부담요인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해결방법으로는 남편이나 비장애 자녀, 친정식구, 시댁식구들에게 자녀양육에 대한 경제적 도움을 청하거나 심리적 지원을 받는 방법, 가족 모두가 함께하는 나들이 등의 활동을 통한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정책적 차원에 있어서 자폐아에 대한 정부의 인식 부족은 물론 별도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미비한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먼저 경제적 차원의 장애수발보험이나 바우처를 포함한 금전적 보조·지원책과 더불어 부모들의 재취업활동을 지원하는 간접 지원책도 강구되어야 한다. 또 서비스 측면에서의 지원은 자폐아동에 대한 방과 후 관리 기관이 요구되며 또한 기존 복지, 행정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기관을 마련하는 것도 자폐아 양육과 관련한 정보 제공, 서비스 검색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를 활용한 지원방안이 있을 수 있다. 전문가들과의 상담을 통하여 부모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자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어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일회성이 아닌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전체 장애아 중 자폐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으나 양육의 스트레스와 부담은 가족 구성원 전체가 부담하게 되는 현실을 고려, 단계적으로 이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편입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