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96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10% 수준으로, 자기효능감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한 개인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 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기효능감과의 높은 상관을 바탕으로 간접적인 영향 가능성 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며, 조직 차원의 개입과 개인 심리역량 강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효능...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10% 수준으로, 자기효능감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한 개인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 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기효능감과의 높은 상관을 바탕으로 간접적인 영향 가능성 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며, 조직 차원의 개입과 개인 심리역량 강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approximately 10%, confirming that self-efficacy was a major individual factor explaining socia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These results show that practical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self-efficacy of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duce socia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In addition, although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follow-up studies tha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n indirect effect are required based on the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the problem of social workers’ change jobs, and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capacity enhanc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approximately 10%, confirming that self-efficacy was a major individual factor explaining socia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These results show that practical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self-efficacy of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duce socia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In addition, although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follow-up studies tha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n indirect effect are required based on the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the problem of social workers’ change jobs, and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capacity enhanc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 도구
      • 3. 자료분석
      • Ⅲ. 연구결과
      • 1.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자기효능감, 이직의도의 기술통계
      • 2. 연구 변인 간 상관관계
      • 3.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