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작곡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12음기법, 음렬주의, 무조성, 미분음정 등 매우 다양한 서구 현대 기법에 아르헨티나의 민속적 음악 요소를 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994222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기악전공 , 2004. 8
2004
한국어
676.28 판사항(4)
서울
ⅲ, 70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67-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작곡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12음기법, 음렬주의, 무조성, 미분음정 등 매우 다양한 서구 현대 기법에 아르헨티나의 민속적 음악 요소를 혼...
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작곡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12음기법, 음렬주의, 무조성, 미분음정 등 매우 다양한 서구 현대 기법에 아르헨티나의 민속적 음악 요소를 혼합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하였다. 그는 독주곡, 협주곡, 발레곡, 실내악, 오페라 등 여러 장르에 걸쳐 작품을 썼는데,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청중에게 쉽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현대음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더욱 크다.
히나스테라는 자신의 음악양식을 객관적 민족주의, 주관적 민족주의, 신표현주의의 3기로 분류하였다. 제 1기 객관적 민족주의(1937 - 1948) 시기에는 아르헨티나의 민속 요소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썼으며, 제 2기 주관적 민족주의(1948 - 1954) 시기에는 민속적 요소를 상징적으로 사용하며 12음기법을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제 3기 신표현주의(1958 - 1983) 시기에는 민속적 요소보다는 주관적 표현을 더 강조했으며 12음기법, 음렬주의, 변박자와 같은 현대적 기법이 더욱 많이 사용되었다.
피아노를 위한 작품들은 히나스테라의 이러한 양식적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Danazas Argentinas, Op.2」 (1937), 「3 Piezas, Op.6 (1940), 「Malambo, Op.7」 (1940), 「12 American Preludes, Op.12」 (1944), 「Suite de danzas Criollas, Op.15」 (1946), 「Rondo sobre temas infantiles argentinos, Op. 19」 (1947), 「Piano Sonata No.1, Op.22」 (1952), 「Piano Sonata No.2 Op.53」 (1981), 「Piano Sonata No.3 Op.54」 (1982)가 대표적인 피아노곡이다.
이 논문에서 다룬 「Piano Sonata No.1, Op.22」는 주관적 민족주의 시기에 속한 작품이다. 모두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형식에 기초를 두면서도 말람보 리듬, 잉카 리듬, 오스티나토 기법, 기타 코드 등 아르헨티나 민속음악 요소와 싱코페이션으로 구성된 격렬한 리듬, 12음기법, 4도 화성, 복조성, 무조성 등 현대적 기법을 함께 결합한 작품이다.
각 악장의 특징을 보면, 제 1악장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의 형태를 갖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론도 형식의 제 2악장은 12음기법이 처음으로 쓰였으며, 제 3악장은 격렬한 다이나믹스의 변화와 기타 코드 음형의 변형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제 4악장은 민속적 분위기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악장으로 변형된 론도 형식으로 되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berto Ginastera(1916-1983) who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Argentina cultivated independent domain by mix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very diverse Western modern techniques such as 12 tone technique, serialism, atonality, and mi...
Alberto Ginastera(1916-1983) who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Argentina cultivated independent domain by mix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very diverse Western modern techniques such as 12 tone technique, serialism, atonality, and micro-tone, etc. He wrote the work over various genres such as solo, concerto, ballet music, chamber music, and opera. Then, his works evoked sympathy to audience easily for the most part.
So, the importance that they occupy in modern music is great all the more. Ginastera classified his own music style into 3 periods such as objective nationalism, subjective nationalism, and neo-expressionism. During the 1st period of objective nationalism(1937-1948), he wrote the folk elements of Argentina more directly. And, during the 2nd period of subjective nationalism(1948-1954), he used folk element symbolically and tried 12 tone technique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3rd period of neo-expressionism(1958-1983), he started to emphasize subjective feeling more than folk element, and modern techniques such as 12 tone technique, serialism, and change rhythm etc. were used all the more.
Works for piano are reflecting this stylistic change of Ginastera well. 「Danazas Argentinas, Op.2」(1937), 「3 Piezas, Op.6」(1940), 「Malambo, Op.7」(1940), 「12 American Preludes, Op. 12」(1944), 「Suite de danzas Criollas, Op.15」(1946), 「Rondo sobre temas infantiles argentinos, Op. 19」(1947), 「Piano Sonata No.1, Op.22」(1952), 「Piano Sonata No.2 Op.53」(1981), and 「Piano Sonata No.3 Op.54」(1982) are representative works.
「Piano Sonata No.1, Op.22」 which was handl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4 movements as the work to belong to subjective racialism period. And, it is the work which combined the elements of Argentina folk music such as Malambo rhythm, Inca rhythm, Ostinato technique, and guitar chord etc. and the modern techniques such as intense rhythm to be composed of syncopation, 12 tone technique, tetrachord, bitonality, and atonality, while it wa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form.
To see the feature of each movement is as follows: The 1st movement is composed of the form of Sonata Allegro to have the forms of exposition part, development part, and recapitulation part. And, as for the 2nd movement of Rondo form, 12 tone technique was used for the first. And, as for the 3rd movement, the change of intense dynamics and the change of sound form of guitar chord are features. Lastly, the 4th movement is into changed Rondo form as the movement that folk atmosphere appears mos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