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 조건 -한미동맹 당파가설과 국력가설의 검증- =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R.O.K. pursues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testing the partisan and national power hypothe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8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e under what conditions the Republic of Korea(R.O.K.), a weaker partner in the alliance, has sought autonomy agains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 a stronger partner in the alliance. In other words, it is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e under what conditions the Republic of Korea(R.O.K.), a weaker partner in the alliance, has sought autonomy agains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 a stronger partner in the alliance. In other words, it is to verify whether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or the growth of its national power.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six regimes from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hich launched the alliance in 1953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more related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First, this paper tried to test the partisan hypothesis which argues that progressive administrations sought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while conservative administrations valued the solidarity of the alliance more than the pursuit of autonomy.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for the conservativ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progressive Roh Moo-hyun administration by using the proof by counter-example method.
      This pap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id indeed pursue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its self-reliance on national defense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olicy.
      On the other hand, by allowing the deployment of a second round of troops to Iraq,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showed restraint in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Further policy cooperation with the U.S. can also be seen through, for example, the R.O.K.-U.S. Free Trade Agreement (FTA).
      By presenting examples showing the conservative government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hile the progressive government did not, this paper was able to logically prove that the partisan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is not correct.
      After the Nixon Doctrine Declaratio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launched an ‘active pursuit of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its self-defense policy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olicy as the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d changed rapidly and South Korean ‘fear of abandonment’ by the U.S. had increased. However, in the end, Park Chung-hee’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olicy was not successful due to the U.S.’s ‘alliance restraint’ strategy.
      On the other oher h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ried pursuing a ‘passive pursuit of autonomy’ strategy in the form of withholding a decisio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bout the U.S.’ request to send a second round of(additional) troops to Iraq. But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refrained from pursuing autonomy as they feared they would lose the U.S.’ support concern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the e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ccepted the U.S.’ request to send additional troops to Iraq and was able to come a ‘policy harmony(policy consensus)’ with the U.S.
      Secondly, this paper attempted to test the adequacy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which states t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related more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rather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administration in power”. To test this argument, the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four regimes: Rhee Syng-man, Roh Tae-woo, Kim Dae-jung,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fter establishing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and it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four case studies.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is based on the logic that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independent variable) led its pursuit of autonomy (dependent variable) 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three channels. Using the aforementioned analytical framework, the case studies show that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matches the historical facts of the alliance.
      First of all, the R.O.K. tends to pursue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as its national power grows. Second, as the R.O.K.’s national power grows, the R.O.K.-U.S. alliance tends to shift from a “patron-client relationshp” to a “partner relationshp”. Third, as the R.O.K.’s national power grows, the R.O.K.-U.S. alliance’s asymmetry tends to decrease while the symmetrical nature of the alliance tends to increase. Fourth, when the R.O.K.’s national power increased, the U.S. tended to demand the R.O.K. to expand its contribution to the alliance, including the defense cost sharing for U.S. troops stationed in the R.O.K. and the R.O.K.’s increased contribution to the alliance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it to pursue more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partisan hypothesis on the R.O.K.-U.S. alliance is not appropriate, and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on the R.O.K-U.S. alliance better fits the historical facts of the alli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that it shows that the discourse on the R.O.K.-U.S. alliance need not simply be a binary one centered around terms such as ‘independence’ or ‘alliance’ as such a framework does not fit the reality of how the R.O.K-U.S. alliance has developed over the years. Instead, this paper shows that the R.O.K.-U.S. alliance combines both solidarity and autonom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lli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한미동맹에서 약한 파트너인 한국이 어떤 조건에서 강한 파트너인 미국을 상대로 자율성을 추구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즉,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한미동맹에서 약한 파트너인 한국이 어떤 조건에서 강한 파트너인 미국을 상대로 자율성을 추구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즉,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 주요 독립변수가 정권의 성격인지, 국력 신장인지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53년 한미동맹을 출범시킨 이승만 정권부터 이명박 정권까지 6개 정권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는 정권의 성격보다는 한국의 국력 신장과 상관관계에 있다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먼저 본 연구는 ‘진보정권은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했지만 보수정권은 자율성을 추구하는 대신 동맹의 결속력을 중시했다’는 한미동맹 당파가설을 검증하려 했다. 보수정권인 박정희 정권과 진보정권인 노무현 정권을 대상으로 반례증명법(proof by counter-example)을 적용한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박정희 정권이 자주국방과 핵 개발 정책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한 사례를 확인했다. 또 노무현 정권이 이라크 파병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 추구를 자제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미국과 정책 협력을 한 사례도 확인했다. 보수정권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하고, 진보정권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 추구를 자제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한미동맹 당파가설의 적실성이 낮다는 점을 논증했다. 박정희 정권은 닉슨 독트린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미국으로부터의 ‘방기의 두려움’이 제기되자, 자주국방과 핵 개발 정책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능동형 자율성 추구’에 나섰다. 그러나 박정희의 핵 개발 정책은 미국의 동맹 ‘제지(restraint)’ 전략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노무현 정권은 미국의 이라크 2차 파병(추가파병) 요청에 대한 결정을 상당 기간 유보하는 형태로 ‘수동형 자율성 추구’를 모색했다. 그러나 노무현 정권은 북핵문제에 대한 ‘방기의 우려’로 자율성 추구를 자제했으며, 결국 미국의 이라크 2차 파병 요구를 수용하고 미국과의 ‘정책 선호의 조화’를 선택했다.
      본 논문은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가 정권의 성격보다는 한국의 국력 신장과 관련이 있다’는 한미동맹 국력가설의 적실성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승만, 노태우, 김대중, 이명박 정권 등 4개 정권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의 국력 신장과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분석틀을 만든 뒤 이를 4개 정권에 적용했다. 한미동맹 국력가설 분석틀은 한국의 국력 신장(독립변수)이 세 가지 경로로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를 이끌었다는 논리 구조로 되어 있다.
      한미동맹 국력가설 분석틀을 활용한 사례 연구로 한미동맹 국력가설이 한미동맹의 역사적 사실과 들어맞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첫째, 한국은 국력이 신장할수록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둘째, 한국의 국력이 신장할수록 한미동맹은 ‘후견-피후견 관계’에서 ‘동반자 관계’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고, 셋째, 한국의 국력이 신장함에 따라 한미동맹은 비대칭적 성격이 완화하고, 넷째, 한국의 국력 신장에 따라 미국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등 동맹기여 확대를 요구했으며, 한국의 동맹기여 확대는 자율성 추구 기회로 작용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미동맹 당파가설의 적실성이 낮고, 한미동맹 국력가설이 한미동맹의 역사적 사실과 들어맞는다는 점을 논증했다. 본 연구의 함의는 한미동맹을 ‘자주냐 동맹이냐’는 관점에서 보는 이항대립적 담론이 한미동맹의 전개 과정에 조응하지 않다는 사실과 한미동맹의 틀 안에서 동맹의 결속력 유지와 자율성 추구를 병립할 수 있다는 사실을 논증한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ⅷ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6
      • 1. 국내 학계의 한미동맹 연구 경향 = 6
      • 국문요약 = ⅷ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6
      • 1. 국내 학계의 한미동맹 연구 경향 = 6
      • 2. ‘자주냐 동맹이냐’ 이항대립적 담론에 대한 비판 = 15
      • 제3절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 22
      • 1. 연구방법 = 22
      • 2. 논문의 구성 = 23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27
      • 제1절 동맹이론과 한미동맹 = 27
      • 1. 동맹 일반 이론 = 27
      • 2. 비대칭 동맹이론 = 32
      • 3. 비대칭 동맹이론의 적용과 한계 = 35
      • 4. 비대칭 동맹 진화에 관한 이론 = 37
      • 제2절 자율성 추구에 관한 두 가설 = 39
      • 1. 한미동맹 당파가설 = 39
      • 가. 당파가설의 개념 = 39
      • 나. 당파가설의 한계 = 42
      • 2. 한미동맹 국력가설 = 44
      • 가. 국력가설의 개념 = 44
      • 나. 국력가설의 연관 이론 = 45
      • 제3절 자율성 추구에 관한 분석틀 = 49
      • 1. 두 가설의 독립변수: 정권의 성격과 국력 = 50
      • 가. 정권의 성격: 당파가설의 독립변수 = 50
      • 나. 국력 신장: 국력가설의 독립변수 = 51
      • 2. 두 가설의 종속변수: 한국의 자율성 추구 = 55
      • 가. 자율성 추구의 개념 = 56
      • 나. 자율성 추구의 유형과 측정 = 59
      • 다. 자율성 추구와 자율성 획득 = 62
      • 3. 두 가설의 분석틀 = 64
      • 가. 당파가설의 검증: 반례증명법 = 64
      • 나. 국력가설의 검증: 세 가지 경로의 흐름도 = 65
      • 제3장 한미동맹 당파가설의 한계: 사례 연구 1 = 73
      • 제1절 보수정권의 자율성 추구: 박정희 정권 = 73
      • 1. 집권 전반기: ‘조화’의 시기 = 73
      • 가. 박정희의 외교안보 목표: 자주 = 74
      • 나. 자율성 추구 조건의 제약 = 75
      • 2. ‘능동형 자율성 추구’: 자주국방과 핵 개발 정책 = 77
      • 가. 핵 개발 정책 추진과 좌절 = 77
      • 나. 핵 개발 정책 추진 배경 = 84
      • 다. 남북 화해정책과 외교 다변화 정책 = 86
      • 제2절 진보정권의 자율성 추구 자제와 협력: 노무현 정권 = 90
      • 1. 한미 간 ‘정책 선호 부조화’ = 90
      • 가. 노무현의 외교안보 목표: 자주 = 91
      • 나. 자율성 추구의 조건 = 94
      • 2. 자율성 추구 자제와 협력: 이라크 파병과 한미 FTA = 95
      • 가. 이라크 2차 파병: ‘수동형 자율성 추구’→ ‘능동형 조화’ = 96
      • 나. 이라크 2차 파병 결정 요인 : 국익 = 101
      • 다. 한미 FTA: 동맹 결속을 위한 ‘정책 조화’ = 103
      • 제3절 동맹이론의 적용 = 107
      • 1. 박정희의 핵 개발: ‘방기의 두려움’ = 108
      • 2. 노무현의 이라크 파병: 연루와 방기의 딜레마 = 111
      • 제4절 당파가설의 검증: 적실성 낮은 당파적 주장 = 113
      • 1. 보수정권의 자율성 추구: 당파가설의 모순 = 113
      • 2. 진보정권의 자율성 추구 자제: 당파가설의 자가당착 = 115
      • 제4장 한미동맹 국력가설의 적실성: 사례 연구 2 = 118
      • 제1절 4개 정권의 자율성 추구 수준 = 118
      • 1. 이승만 정권(1948∼1960년) = 118
      • 2. 노태우 정권(1988∼1992년) = 122
      • 3. 김대중 정권(1998∼2002년) = 126
      • 4. 이명박 정권(2008∼2012년) = 130
      • 5. 6개 정권의 자율성 추구 및 정책 조화 사례 = 135
      • 제2절 국력 신장과 자율성 추구의 상관관계 = 138
      • 1. 4개 정권의 국력 수준 = 138
      • 가. 이승만 정권 = 139
      • 나. 노태우 정권 = 142
      • 다. 김대중 정권 = 146
      • 라. 이명박 정권 = 149
      • 2. 민주화와 엘리트층의 변화: 제1 경로 = 151
      • 가. 이승만 정권 = 151
      • 나. 노태우 정권 = 154
      • 다. 김대중 정권 = 157
      • 라. 이명박 정권 = 161
      • 3. 국익 추구 수단과 목표 확대: 제2 경로 = 165
      • 가. 이승만 정권 = 166
      • 나. 노태우 정권 = 168
      • 다. 김대중 정권 = 170
      • 라. 이명박 정권 = 172
      • 4. 자부심 증대와 군사력 강화: 제3 경로 = 174
      • 가. 이승만 정권 = 174
      • 나. 노태우 정권 = 176
      • 다. 김대중 정권 = 177
      • 라. 이명박 정권 = 179
      • 제3절 방위비 분담과 자율성 추구의 관계 = 181
      • 1. 방위비 분담: 자율성 제약 또는 자율성 추구 기회? = 184
      • 2. 방위비 분담 요구 수용과 자율성 추구 기회 = 187
      • 제5장 결론 = 190
      • 참고문헌 = 198
      • ABSTRACT = 2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국방부, "『국방백서 』.", 서울: 국방부, 2018

      2 서춘식, "『국가안보론』", 서울: 박영사, 2001

      3 남기정, 와다 하루끼, "『북한현대사』", 서울: 창비, 2014

      4 임동원, "『피스메이커』", 서울:중앙북스, 2008

      5 박정희, "『민족의 저력』", 서울: 기파랑, 2017

      6 송민순, "빙하는 움직인다", 파주: 창비, 2016

      7 돈 오버도퍼, 이종길, 양은미, 로버트 칼린, "『두 개의 한국』", 고양: 도서출판 길산, 2002

      8 박정희, "『민족중흥의 길』", 서울: 기파랑, 2017

      9 이종석, "『칼날 위의 평화』", 서울: 개마고원, 2014

      10 김종필 , 중앙일보 김종필증언록팀, "『김종필 증언록 1』", 서울: ㈜미래엔, 2016

      1 국방부, "『국방백서 』.", 서울: 국방부, 2018

      2 서춘식, "『국가안보론』", 서울: 박영사, 2001

      3 남기정, 와다 하루끼, "『북한현대사』", 서울: 창비, 2014

      4 임동원, "『피스메이커』", 서울:중앙북스, 2008

      5 박정희, "『민족의 저력』", 서울: 기파랑, 2017

      6 송민순, "빙하는 움직인다", 파주: 창비, 2016

      7 돈 오버도퍼, 이종길, 양은미, 로버트 칼린, "『두 개의 한국』", 고양: 도서출판 길산, 2002

      8 박정희, "『민족중흥의 길』", 서울: 기파랑, 2017

      9 이종석, "『칼날 위의 평화』", 서울: 개마고원, 2014

      10 김종필 , 중앙일보 김종필증언록팀, "『김종필 증언록 1』", 서울: ㈜미래엔, 2016

      11 국방부, "『한미동맹6 0년사』", 서울: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3

      12 이대희, 허욱, 테런스 로릭, "『한미동맹의 진화』", 서 울: 에코라브르, 2018

      13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서울: 기파랑, 2017

      14 남궁곤, 하영선, "『변화의 세계 정치』", 서울: 을유문화사, 2007

      15 김대중, "『김대중 자서전 1, 2』", 서울: 삼인, 2010

      16 이명박, "대통령의 시간: 2008-2013",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2015

      17 백종천, "『한반도 평화안보론』", 성남: 세종연구소, 2006

      18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김일성 선집 7권』.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6

      19 편역, "『국제관계론강의 1, 2』", 서울: 한울, 1997

      20 권영근, 스콧 스나이더, 권율, "『기로에 선 대한민국』", 서울: 연경문화사, 2018

      21 조갑제, "『노태우 육성 회고록』", 서울: 조갑제닷컴, 2007

      22 노무현, ""제58주년 광복절 경축사"", 2003년 8월 15일., 2003

      23 김창훈, "『한국외교 어제와 오늘』",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24 남시욱, "『한미동맹의 탄생 비화』", 서울: 청미디어, 2020

      25 김계동,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2018

      26 김재홍, "『군⓶: 핵개발 극비작전』", 서울: 동아일보사, 1994

      27 오연호,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서울: 오마이북, 2009

      28 공진성,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통일법연구』. 제3권, pp. 169-199, 2017

      29 정영철, "남북관계의 변화와 남남갈등", 『한국과 국제정치』. 제34 권 제3호, pp. 65-86, 2018

      30 김형국, "“이항대립주의와 그 극복.”", 『독어교육』. 61권, , pp. 153-173, 2014

      31 노무현재단 , 유시민, "『노무현 자서전: 운명이다』", 파주: 돌베개, 2010

      32 황병무, "『한국 외군의 외교 군사사』", 서울: 박영사, 나. 논문, 2020

      33 정규섭, "남북기본합의서; 의의와 평가", 『통일정책연구』. 제20권 1호, , pp. 1-24, 2011

      34 조선로동당, ".『조선노동당력사1(증보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 사, 2017

      35 한석희, "“중국의 도전과 한 중관계 ”", 『신아세아』. 26권 3호, 2019, pp. 95-116, 2030

      36 강원택, "『6.29 선언과 한국 민주주의』", 서울: 푸른길, 2017

      37 노무현, "“취임 2주년 국회 국정연설.”", 2005년 2월 25일, null

      38 김우상, "“한 미 동맹의 이론적 재고.”", 『한국과 국제정치』. 제20권 제1호, pp. 1-28, 2004

      39 박원곤, "“국가의 자율성과 동맹관계.”", 『국방정책연구』. 제64권, , pp. 79-100, 2004

      40 정하용, "“단극 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 『한국정치연구』. 21권 1 호, , pp. 231-254, 2012

      41 임혁백, "『1987년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 서울: 고려대출판부, 2011

      42 박정희, "『평설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 서울: 기파랑, 2017

      43 백종천편, "『한 미동맹 50년: 분석과 정책』", 성남: 세종연구소, 2003

      44 이수훈, "『조정기의 한미동맹: 2003∼2008』", 서울: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9

      45 조철호, "“박정희의 자주국방과 핵개발.”", 『역사비평』. 제80호, , pp. 356-373, 2007

      46 홍성걸, "“박정희의 핵개발과 한미관계.”", 정성화 편. 『박정희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서울: 선인, , pp. 258-293, 2005

      47 송세관, "“한미동맹의 진화와 발전방향.”", 『대한정치학회보』. 27집 4호, , pp. 143-166, 2019

      48 김수빈, 박태균,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반미주의로 보는 한국 현대사』", 서울: 산처럼, 2017

      49 김정렴, "『아, 박정희: 김정렴 정치회고록』", 서울: 중앙 M&B, 1997

      50 황지환, "진보 대 보수의 대북정책, 20년 이후", 『통일정책연 구』. 제26권 1호, , pp. 29-49, 2017

      51 이삼성, "“한미동맹의 유연화를 위한 제언.”", 『국가전략』. 제9권 3호, , pp. 7-38, 2003

      52 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홍태영, 박균열, "『안보적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사』",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9

      53 신종대, "“남북한 외교경쟁과 ‘6.23 선언’.”", 『현대북한연구』. 제22권 제3호, , pp. 201-202, 2019

      54 이수형, "“얽힘 이론과 동맹의 안보 딜레마.”", 『국가안보와 전 략』. 제17권 제3호, , pp. 171-198, 2017

      55 김기정, "“전환기의 한미동맹: 이론과 현상.”", 『한국과 국제정치』. 제24권 제1호, , pp. 77-111, 2008

      56 함택영, "“전환기 한미군사동맹과 자주국방.”", 『동북아연구』. 제8 권, , pp. 5-39, 2003

      57 강인덕, "『평화와 통일 박정희에게 길을 묻다』", 서울: 박정 희 대통령기념재단, 2019

      58 박정희, "서울대학교 졸업식 치사(1968년 2월 26일)", 박정희대통 령 연설문집 제5집. 서울: 대통령비서실. ,pp. 93-96, 1969

      59 임동원, "피스메이커 -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25년", 파주: 창비, 2015

      60 지병문, "『현대 한국의 정치: 전개과정과 동인』", 고양: 피앤시미디 어, 2014

      61 노무현, "“2003년 제1차 국가안전보장회의 발언.”", 2003년 3월 20 일,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2006

      62 노태우, "『노태우 회고록(하): 전환기의 대전략』", 서울: 조선뉴스프 레스, 2011

      63 강원택, "“87년 헌법의 개헌과정과 시대적 함의.”", 『역사비평』. 2017년 여름호(통권 제119호), 2017, pp. 12-37, 2017

      64 홍성률, "“데탕트기 한국의 대공산권 외교정책.”", 『한국문화연구』. 제34권. , pp. 307-343, 2018

      65 이우태, ""한미동맹의 비대칭성과 동맹의 발전방향"", 『정치 정보 연구』. 제19권 제1호, , pp. 51-80, 2016

      66 백성호, "“비대칭 안보동맹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 총』. 제20집, , pp. 67-88, 2003

      67 백재옥, "“한 미 방위비 분담 현황 및 향후 과제.”", 『주간국방논 단』. 제1670호, , pp. 1-12, 2017

      68 조영남, "“21세기 중국의 동맹정책 : 변화와 지속.”", 『EAI 국가안 보패널 보고서』. NO. 32, , pp. 1-44, 2009

      69 이정철, "“북미대립과 한미동맹 : 변화와 딜레마.”", 『한국정치연 구』. 제18집 제1호, , pp. 147-168, 2009

      70 양재영, 이윤철, "“평화선 논쟁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해사법 연구』. 제30권 제2호, , pp. 67-106, 2018

      71 박봉규, "“한미동맹의 변화 가능성: 쟁점과 인식.”", 『통일연구』. 제2권 제2호, , pp. 49-86, 2018

      72 조혜자, 프란체스카 도너 리, "『6.25와 이승만: 프란체스 카의 난중일기』", 서울: 도서출판 기파랑, 2010

      73 이근욱, "『왈츠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서울: 한울, 2009

      74 황지환, "“미중 경쟁시대 한미동맹의 동반자관계.”", 『JPI 정책포 럼』.제188권, , pp. 13-21, 2016

      75 오원철, "『내가 전쟁을 하자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 서울: 한국형 경제정책연구소, 1999

      76 김종법, "촛불시위를 통해 본 정치권력의 변화와 의미", 『서석사회 과학논총』. 제1권 제2호, , pp. 25-55, 2008

      77 이기완, "“1990년 이후 한국의 정치동학과 한미동맹.”", 『국제관계연 구』. 제16집 1호, pp. 5-29, 2011

      78 최명해, "『중국 북한 동맹관계: 불편한 동거의 역사』", 서울: 오름, 2009

      79 김영호, "“한국전쟁과 쐐기전략이론의 비판적 고찰.”", 『국제정치논 총』. 제39집 1호, , pp. 173-191, 1999

      80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 5: 통일 외교 안보』", 서울: 국 정홍보처, 2008

      81 조윤영, "“북핵 위기와 비핵ㆍ개방ㆍ3000의 대북정책.”", 『정치정보연 구』. 제12권 제1호, , pp. 253-274, 2009

      82 강원택, "『노태우 시대의 재인식: 전환기의 한국사회』", 서울: 나남, 2012

      83 김보영, "“1954년 제네바정치회담과 외국군 철수 의제.”", 『군사』. 제95호, ,pp. 55-87, 2015

      84 섬세현, "“1970년대 자주국방담론과 정책에 관한 연구.”", 전략연 구』. 제24권 3호, pp. 53-83., 2017

      8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성명: 주체조선의 첫 수소탄시험 완전성공.”", 『조선중앙통신』. 2016년 1월 6일자, 2016

      86 송대성, 이상현, "『한미동맹의 변환: 안보차원의 과제와 대 책』", 성남: 세종연구소, 2008

      87 장덕준, "“박정희 시기 대륙 지향 외교의 배경과 특징.”", 『중소연 구』. 제43권 제2호, , pp. 181-225, 2019

      88 송승하, 신기욱,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 새시대 한미동맹』", 서울: 도서출판 한국과 미국, 2010

      89 신욱희, "“비대칭동맹에서의 갈등: 정치심리학적 측면.”", 『국방연 구』. 제50권 제1호, , pp. 3-29, 2007

      90 김민욱, "“탄도미사일 사거리 현 300㎞에서 800㎞로 확대.”", 『국방과 기술』. 제405호, 2012

      91 정인섭, "“이승만의 박사논문: 미국의 영향을 받은 중립.”", 『서울국제법 연구』. 제27권 제2호, , pp. 115-140, 2020

      92 장노순, "“교환동맹모델의 교환성: 비대칭 한미안보동맹.”", 『국제정 치논총』. 제 36집 1호. , pp. 79-104, 1996

      93 박봉규, "“한미동맹과 NATO: 정체성의 변화와 동맹의 미래.”", 『대 한정치학회보』. 28집 4호, , pp. 295-314, 2020

      94 한용섭, "『자주냐 동맹이냐: 21세기 한국 외교안보의 진로』", 서울: 오름, 2004

      9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성명: 새형의 대륙간탄도로케트 시험발사 성공.”", 『로동신문』. 2017년 11월 29일 자, 2017

      96 강준식,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좋은 대통령 나쁜 대통령』", 파주: 김영사, 2017

      97 최진욱, "『신외교안보 방정식: 네트워크 경쟁과 전략문 화』", 서울: 전략문화연구센터, 2021

      98 통계청,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Ⅱ(통계편)』", 대전: 통계청, 2015

      99 김정일, "“주체사상 교양에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일성 선집 8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00 백영철, "『제1공화국과 한국민주주의: 의회 정치를 중심으로』", 서 울: 나남출판, 1995

      101 그레고리 핸더슨, "이종삼 박행웅 옮김. 『소용돌이의 한국 정치(완역판)』", 서울: 한울, 2013

      102 박용수, "“제2차 북핵위기 전개과정과 노무현대통령의 리더십.”", 『아 세아연구』. 제153권, , pp. 231-265, 2013

      103 이삼성,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 핵무장 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서울:한길사, 2018

      104 안문석, "“문재인 정부와 한미동맹: 동맹의 지속성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논총』. 제 23집 4호, , pp. 65-83, 2018

      105 김도경, "세대와 통일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386세대를 중심 으로", 『통일전략』. 제19권 제4호, , pp. 111-136, 2019

      106 김상범, 김일한, "“정치문제의 경제적 처방: 5.24조치의 역습과 풍선 효과.”", 『현대북한연구』. 제18권 제2호, , pp. 231-269, 2015

      107 서보혁, "“결정의 합리성:노무현 정부의 이라크 파병정책 재검토.”", 『국제정치논총』. 제55집 제3호, , pp. 235-270, 2015

      108 전재성, "“한미동맹의 동맹 딜레마와 향후 한국의 한미동맹 전 략.”", 『국가안보와 전략』. 2016년 여름호, pp. 1-32, 2016

      109 조철호, "“1970년대 초반 박정희의 독자적 핵무기 개발과 한미관 계.”", 『평화연구』. 제9집, p. 189-207, 2000

      110 박건영, 정욱식, "“김대중-부시 정부 시기 한미관계: 대북정책을 중 심으로.”", 『역사비평』. 특집 순응과 갈등의 한미관계 60년, 미래지향의 대안을 찾아, , pp. 140-168, 2009

      111 심융택, "『백곰, 하늘로 솟아오르다: 박정희 대통령의 핵개발 비 화』", 서울: 기파랑, 2013

      112 이수형, "“남북한 한반도 정치와 강대국 동맹정치 간의 연계성 분석.”", 『세계정치』. 제16권, , pp. 141-170, 2012

      113 서희경, "“한국 헌정사와 개헌: ‘대통령의 임기’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5집 2호, , pp. 73-99, 2010

      114 한배호, "『한국현대정치론Ⅰ: 제1공화국의 국가형성, 정치과정, 정책』",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0

      115 손한별, "“미 중관계와 한미동맹: 연루상황하 약소국의 전략적 선 택.”", 『신아세아』. 제20권 2호, , pp. 117-147, 2013

      116 김영준, "“비대칭 동맹에서 방기 우려에 대한 대책: 한미동맹의 사례.”", 『유라시아연구』. 제11권 제4호, pp. 79-96, 2014

      11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무기연구소, "“성명: 대륙간탄도로케트 장착용 수소탄시험에서 완전성공.”", 『로동신문』. 2017년 9월 4일자, 2017

      118 장훈각, "“이승만 대통령과 한미동맹: 동맹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 구.”", 『사회과학논집』. 제42집 1호. , pp. 131-163, 2011

      119 외무부, "마샬 그린’ 차관보와의 면담 내용(외부부 보고, 1972년 7 월 14일)", 대통령기록관 소장문서, 1972

      120 박휘락,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비교: 자율성-안보교환 모델의 적용.”", 『국가전략』. 제22권 2호, , pp. 36-60, 2016

      1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법령: 자위적핵보유국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데 대하여.” 』", 『노동신 문』. 2013년 4월 2일자, 2013

      122 박명림, "“분단질서의 구조와 변화: 적대와 의존의 대쌍관계 동학, -1995.”", 『국가전략』. 3권 1호, 1997, pp. 41-79, 1945

      123 정태환, "“김대중 정권의 성립과 위기: 지역주의 정치 동학을 중심 으로.”", 『사회와 이론』. 제12집, , pp. 7-36, 2008

      12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외무성비망록: 미국의 적대시정 책은 핵문제해결의 기본장애.”", 『노동신문』. 2012년 9월 1일자, 2012

      125 조진구, "“냉전시대의 한반도 평화모색: 7.4 남북공동성명의 국제관 계사.”",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2호, , pp. 31-53, 2021

      126 김백주, "“북중동맹은 변화했는가? 동맹의 형성과 유지 동인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제24권 3호, , pp. 31-60, 2018

      127 임도빈, "“역대 대통령의 국정철학의 변화: 한국행정 60년의 회고와 과제.”", 『행정논총』. 제 46권 제1호, , pp. 211-251, 2008

      128 전재성, "“관여(engagement)정책의 국제정치이론적 기반과 한국의 대북 정책.”", 『국제정치논총』. 제43집 1호, , pp. 231-251, 2003

      129 김현, "“한미동맹의 안보 딜레마: 노무현 정부의 대미 갈등사례의 분석.”", 『사회이론』. 제31권, , pp. 37-72, 2007

      130 문우진, "『한국 민주주의의 작동원리: 한국에서 다수는 어떻게 형성 되는가』",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31 임반석, "“경제영토와 안보망 경쟁의 의미와 문제: 중국의 도전을 중심으로. ”", 『분쟁 통합 통일의 세계 역사』.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문. , 6, pp. 77-112, 2015

      132 박흥서, "“박정희 시기 북방외교의 정치경제적 배경: 통치성 위기와 그 대응.”", 『한국동북아논총』. 제26권 제1호, , pp. 23-41, 2021

      133 엄정식, "“미국의 무기이전 억제정책에 대한 박정희 정부의 미사일 개발전략.”", 『국제정치논총』. 제53집 1호, , pp. 151-183, 2013

      134 임혁백, "“박정희에 대한 정치학적 평가 : 리더십, 근대화, 유신, 그 리고 몰락.”", 『평화연구』. 제20권 제2호, , pp. 51-84, 2012

      135 김정, "“북미화해와 한일균열: 센토사 합의 이행 협상의 구조적 속 성과 귀결.”", 『한국과 국제정치』. 제34권 제3호, , pp. 119-150, 2018

      136 박휘락, "“대(對)미국 방위비 분담 분석과 대응방향: 일본과의 비교 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8집, pp. 5-34, null

      137 조선로동당,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불멸의 혁명업적 9: 주 체형의 혁명무력건설』",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38 김재홍,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언론논조와 국민여 론의 비교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37집 제2호, , pp. 197-218, 2003

      139 서재정, 이종삼, "『한미동맹은 영구화하는가: 군사동 맹과 군사력, 이해관계 그리고 정체성』", 서울: 한울, 2009

      140 섬세현, "“한미동맹의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박정희 닉슨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제145집, , pp. 179-208., 2017

      141 배종윤, "“세계화 시대 한국의 자원동원과 차별적 현상: 김대중 정 부시기를 중심으로.”", 『동서연구』. 제24권 2호, , pp. 1-26, 2012

      142 신욱희, "“동아시아에서의 후견 피후견 관계의 동학: 국가변화의 외부적 지정학적 근원.”", 『국제정치논총』. 제32권 제2호, , pp. 177-201, 1992

      143 박명호, "“2008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 석: 386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8권 제1 호, , pp. 65-86, 2009

      144 김지일, "“박정희 대통령의 자주국방 표방과 주한미군 철수 문제 간 연계성에 관한 소고.”", 『평화학연구』. 제21권 1호, , pp. 81-104, 2020

      145 박인휘, "“박정희, 김대중의 국가이익과 한미관계: 동맹-자주의 ‘분 절’ 혹은 ‘통합’.”", 『세계지역연구논총』. 제28집 1호, , pp. 23-45, 2010

      146 이수형, "“중견국가와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노무현정부의 동맹 재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52권 제1호, , pp. 3-27, 2009

      147 박휘락, "“북한 비핵화 기대에 의한 한미동맹의 동요, 자율성-안 보 교환 모델을 중심으로.”", 『신아세아』. 제26권 1호, , pp. 111-136, 2019

      148 신종대,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과 국내정치: 문제는 ‘밖’이 아니라 ‘안’이다.”", 『한국과 국제정치』. 제29권 2 호, , pp. 1-35, 2013

      149 차상철, "『한미동맹 50년: 21세기 새로운 세대의 역사 인식을 위해 새로 쓴 한국현대사 길잡이』", 서울: ㈜나무의 생각, 2004

      150 김태현, "비대칭 동맹에서 약소국의 자율성에 대한 연구: 2차 북핵 위기시 북중관계 를 중심으로.", 『신아세아』. 제 18권 1호, , pp. 189-213, 2011

      151 노현종, "“이명박 정부 경제정책 평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 국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 집』. , pp. 1-32, 2013

      152 김종대, "『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 한미동맹과 전시작전권에서 남북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서울: 나무의 숲, 2010

      153 황지환,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현상타파 대외전략과 현상 유지 대외정책의 결합,”", 『한국정치학회보』. 제52 권 1호, , pp. 125-145, 2018

      154 윤지원, "“한국군의 국제평화유지 활동과 과제 : 다국적군과 청해부 대 임무지역 확대를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제21권 제 2호, , pp. 77-91, 2020

      155 김준형, ""한국의 대미외교에 나타난 동맹의 자주성 실용성 넥서스: 진보정부 10년의 함의 를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제30 권 2호, , pp. 5-33, 2015

      156 최양근,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에 기여하는 통일방안 고찰 : 단계 적 연방제통일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평화연구학회 학술 회의』. 하계 국제 세미나. 2013년 6월, pp. 479-494, 2013

      157 이완범, "“박정희 경제기적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박정희 경제기 적’에서 ‘대한민국의 기적적 성과’로.”", 『명지대학교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 명지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제6회 학술 대회, 2007년 4월, pp. 57-70, 2007

      158 김병문, "“한,미의 대북정책의 전개와 변화: 김대중 정부시기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세계지역 연구논총』. 제23권 2호, , pp. 5-3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