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세계관광기구(UNWTO: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에 의하면 2030년까지 전세계 관광객의 수는 매년 18억 명에 이르고 관광산업은 경제 성장의 주동력으로 작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84912
2020
-
500
학술저널
1-50(5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세계관광기구(UNWTO: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에 의하면 2030년까지 전세계 관광객의 수는 매년 18억 명에 이르고 관광산업은 경제 성장의 주동력으로 작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세계관광기구(UNWTO: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에 의하면 2030년까지 전세계 관광객의 수는 매년 18억 명에 이르고 관광산업은 경제 성장의 주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반면, 기후변화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환경변화 및 사회경제변화는 관광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관광산업은 지역의 현황과 특성에 따라 다르게 개발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계절적 영향을 받는 산업이 기후변화의 영향에서 취약할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활용한 관광산업을 ‘지역특화관광산업’으로 정의하고 기후변화에 취약한 ‘생태자연’ 지역축제, 산림이 중심이 되는 스키장, 연안을 이용하는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응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특화관광산업의 기후변화 적응 현황 및 역량을 관계자 심층 면담을 통하여 분석하고, 국제기구 및 국외 기후변화 적응 동향 및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지역특화관광산업의 기후변화 적응방안 및 시사점을 개괄적으로 제안하고자 함
■ 연구의 주요 내용
○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내 지역특화관광산업의 분포를 파악해본 결과, ‘생태자연’ 지역축제는 전국 지역축제 중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전남(40.16%)이 가장 많은 생태자연 축제를 개최하고 있음. 스키장과 해수욕장의 경우 강원(스키장: 56%, 해수욕장: 34,4%)에 집중되어 있음
○ 지역특화관광산업의 기후변화 적응 현황 및 역량을 분석한 결과, 일정 및 개장 시기 조정 등 대처는 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관광부문 관계자들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인식이나 역량은 저조한 것으로 파악됨. 관리를 담당하는 해당 기초 지자체의 노력만 있을 뿐 정부, 관계자, 방문객 등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
○ 국제기구에서는 UNWTO와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을 중심으로 관광부문 기후변화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서서히 형성되고 있음
○ 호주, 뉴질랜드,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중국 등 주요국들은 기후변화 적응 전략에서 관광부문의 대응 방안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며, 스페인의 경우 관광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공공기관, 회사 및 이용자를 포함한 관광주체의 기후환경 적응을 의무화하고 있음
○ 국외 지역특화관광산업의 적응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축제의 경우 계절 변화와 연관성이 낮은 관광 패키지 상품 개발 및 공공 관광시설을 이용한 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음. 스키장의 경우 관련된 여러 산업의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고, 해수욕장의 경우 리스크 평가, 적응계획 수립 및 이행을 통해 관리하고 있음
■ 정책제안 및 시사점
○ 생태자연 지역축제의 기후변화 적응방안은 이상기후현상에 대비한 단기적 방안 마련 및 관광패턴 변화에 따른 장기적 방안으로 구분하여 수립할 수 있으며, 스키장의 경우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해수욕장의 경우 하계 휴양 시즌의 변화와 해수면 침식, 해수면 상승 등의 요인 별로 구분하여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음
○ 지역특화관광산업도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에 대한 평가 및 사전 대응 방안 수립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세부 산업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발굴하고 평가를 수행하는 것도 필요함
○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특화관광산업 영향에 대해 아직까지는 인식이 저조하고 관련 정책 및 연구가 미진한 실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과 연구가 필요함
- 관광부문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정책적 제도개선
- 관광부문 기후변화 영향의 기준 마련 및 정량적 관리
- 감시정보 확보를 통한 단기적 이상기후 파악
-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방안의 조합
- 기후변화 적응인식 제고
- 관광부문 관계자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지자체 중심의 관리 역량 강화
- 기후변화 대응 관광프로그램 개발
- 관광과 기후변화 관련 지속적인 연구 수행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내외수 홍수범람 통합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 내외수 홍수 예방 법령 및 예경보 현황
건강하고 쾌적한 음환경 구축을 위한 도시소음 관리정책 수립방안
에너지전환 지역사회를 위한 ‘에너지경관’ 연구동향 분석
환경정책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소통 모형 개발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