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 직무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58120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2019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ⅹ, 155 p. ; 26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정윤수
I804:11023-0000000748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 직무열...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 상 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정 윤 수
공직자의 최대 덕목은 윤리행위이다. 공직자들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해야 하며, 특정의 개인과 조직을 위해 공권력을 행사하는 비윤리적인 공직자들을 국민들은 원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공직자들은 규범적인 윤리의식을 갖고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본연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근 국민적 공분을 불러일으킨 대형 사건들로 인해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 불문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공공부문의 지속적인 팽창은 지방자치단체의 분권 확장으로 이어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최고책임자인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권한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리더의 윤리성을 근간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매개변수로 설정한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지방행정 운영에 필요한 정책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에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등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수도권 내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단체장이 재선 이상인 18개 지방자치단체의 단체장과 소속 공무원으로 하였으며,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우편에 의한 설문조사방법으로 2018년 9월 11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총 69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6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응답 등으로 분류된 25부를 제외한 38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for Window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직무열의, 조직몰입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에 상사신뢰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 등 변수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분석에서 연령·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공무원 순으로 각 변수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조직의 적응도가 낮은 하위직 공무원들은 각 변수의 정도가 낮다. 따라서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등을 통하여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차원에서 하위직 공무원들을 배려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직무에 몰두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 개선, 부서단위 조직 활성화, 워크숍 등으로 개인과 조직신뢰·의사소통·비공식모임의 활성화 등의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조직성과 측정변수별 차이분석에서 공정성이 효과성과 능률성보다 낮게 인식되었다는 것은 지방행정의 인사, 부서배치, 민원인과의 관계의 객관성 등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의미로 보여 지므로 공정성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은 행정행위를 윤리적이고 바르게 집행하여야 하며. 예산편성, 인사, 보직결정 등에서 사익적인 관련성은 완전 배제하고 공익적인 차원에서 올바른 행정을 집행하여야 하며, 공무원들과의 소통을 통하여 조직공동체를 이루고, 사생활도 윤리적으로 행하면 소속 공무원들은 지방자치단체장을 신뢰하고, 업무를 활력과 헌신적으로 수행하며, 소속 지방자치단체와 강한 연대감을 가짐으로써 조직성과가 향상 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완전매개효과를,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양한 변수들이 윤리적 리더십을 통해 향상되고, 다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정되었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하지만, 상사에 대한 신뢰, 직무에 대한 열의, 조직에 대한 몰입 등 다른 긍정적 효과변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효과변수들이 다시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행정에서 상사 또는 동료가 인식하는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왔으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시점에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다양한 성과변수 및 공무원들의 행동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의 초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주로 기업체 등 민간부문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던 윤리적 리더십을 공공부문인 지방자치단체에서 적합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지방행정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지방자치단체장, 윤리적 리더십, 조직성과,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
A Study o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Lee, Sang Wo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ung, Yoon Soo
The greatest virtue of public officials is ethics. Public official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public interest, and the public will not want unethical public officials who exercise their powers for specific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the people's desire that public officials perform their duties with a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with a normative ethical consciousness. However, Korea has recently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ethics of lead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due to large-scale incidents that have led to public resentment.
In Korea, due to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public sector leads to th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is further increased. From this point of view, based on the ethics of leader this study is structur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mediating variables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make a policy proposal for loc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does the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does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will there be a mediating effects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s of local governments?
The subjects and scope of this study wer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hief executives winning more than once and the officials who belonged to the local governments of 18 local governments. The data requir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mailed from September 11, 2018 to October 12, 2018. A total of 694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406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er used 38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excluding 25 copies classified as untruthful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SPSS 23.0 program for Window and AMO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of the local gover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supervisor trus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supervisor trus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and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variables such as ethical leadership, the degree of each variabl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age, seniority, and position. The level of each variable is low for low-positioned civil officials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organizational adapt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promote departmental organization, and workshop to take practical measures such a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trust, communication, and activation of informal gatherings so that they can consider low-positioned civil officials, share information, commit to work.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 that fairness is recognized as lower th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seen as meaning that it is somewhat lacking in objectivity of personnel, division of departments, and relationship with civilian in local administration.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ivil officials. Therefore,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nforce the administrative act ethically and properly.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right administration from the public interest, and exclude the personal interest from the budgeting, personnel, and decision making.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organizational commun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ficials. If the private life of the chief executive is ethical, officials’ trustworthiness toward the chief executive will increase and duties will be carried out devotedly, and having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with local governments will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superiority of the supervisor trust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and th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various variables were improved through ethical leadership and again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ethical leadership directly does not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it improves awareness of other positive effects such as trust in supervisor, job engagement,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is more empha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the ethical leadership that the supervisor or colleague perceives in the local administration has progressed to some degree, but the study of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hardly progress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ed the cornerstone of the study on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the various performance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n the behavioral variables of the public officials
Second, this research has established a suitable research model for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public sector, in ethical leadership,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sector such as business.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each variable is analyzed empiricall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in loc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Keywords】: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1 강정애, 태정원, 조은영, 양혜현, 김현아, "「리더십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6
2 이종수,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2011
3 양창삼, "「조직행동」", 경기도: 법문사, 2007
4 김향규, "「행정철학」",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김신복, "「발전기획론」", 서울: 법문사, 2001
6 구본장, 박계홍, "「조직행동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8
7 임승빈, "「지방자치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5
8 허만형, "「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2001
9 권혁기, 신구범, 김경원, "「경영과 리더십」", 서울: 조서출판 청람, 2014
10 박선경, 황성수, 하현상, 하재룡, 정우일, 이희창, 이영균, 양승범, 배귀희, 박희봉, "「리더와 리더십」", 서울: 박영사, 2017
1 강정애, 태정원, 조은영, 양혜현, 김현아, "「리더십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6
2 이종수,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2011
3 양창삼, "「조직행동」", 경기도: 법문사, 2007
4 김향규, "「행정철학」",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김신복, "「발전기획론」", 서울: 법문사, 2001
6 구본장, 박계홍, "「조직행동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8
7 임승빈, "「지방자치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5
8 허만형, "「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2001
9 권혁기, 신구범, 김경원, "「경영과 리더십」", 서울: 조서출판 청람, 2014
10 박선경, 황성수, 하현상, 하재룡, 정우일, 이희창, 이영균, 양승범, 배귀희, 박희봉, "「리더와 리더십」", 서울: 박영사, 2017
11 최금자, "일의 영성과 리더십", 산업경영연구. 제8호. 141-164, 2000
12 이석환, 최성욱, 최상옥, 조윤직, 조경호, 이정욱, "「공공조직행태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4
13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 2013
14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 서울: 박영사, 1996
15 정윤수, "「사회복지 조사론」", 서울: 명지대학교, 2014
1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0
17 송성화, "목표모호성과 조직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8 김명언, 임성만, "조직에서의 신뢰 :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13(2). 1-19, 2000
19 최익용,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서울: 스마트비지니스, 2008
20 김호정, "공공 조직의 윤리적 리더십", 한국조직학보. 10(2). 29-58, 2013
21 이규환, "한국도시행정론-이론과실제", 서울: 박영사, 1999
22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도서출판 집현재, 2017
23 주용학,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서울: 조영문화사, 2010
24 이관응, "「신뢰경영과 서번트 리더십」", 이천: 경기도, 2001
25 박홍식, "정부윤리와 사기업윤리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1
26 김호정,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행정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57-72, 1999
27 하미승, "「조직학: 철학과 새 이론 탐색」", 서울: 탑북스, 2015
28 왕태규, "조직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4(1) 63-90, 2007
29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오해와 편견”",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4
30 김왕배, 이경용,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36(2). 7-29, 2002
31 윤정구, 임준철,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32(3). 144-164, 1998
32 오세덕, "갈등모형과 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경희법학. 22(1). 210-220, 1987
33 배병룡,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4). 111-139, 2005
34 김승철, "진실리더십의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5 백상용, "한국 TAM 실증연구의 동일방법편의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21(1). 1-17, 2012
36 구자숙, 최해연, 서상태, "기업조직에서 자기기만과 리더십효과성", 조직과 인사 관리연구. 34. 167-195, 2010
37 김기형, 진종순, 조태준, 임재진, 김정인, "「조직행태론: 사람, 관리 그리고 행 정」", 서울: 대영문화사, 2016
38 손승우, 장영철, 이명신,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요인과 조직성과”", 대한경영학회 지. 22(6). 3169-3193, 2009
39 송성화, "목표모호성과 조직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0 임정빈, "지방정부 조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2
41 신철우, "윤리적 리더십 개발을 위한 기초이론의 탐색", 산업경영연구. 27(2). 123-142, 2004
42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2016
43 노경섭, "「재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 데미, 2016
44 김미숙, 허규만, 정상명, 박원우,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하조직연구. 15(1). 89-133, 2007
45 임성만, "조직 신뢰와 구성원 신뢰의 기반 요인 및 관계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6 구동우, 이새미, 송승열,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 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5. 1331-1357, 2015
47 김은희, 이용재, "사회적기업의 윤리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 학회논무지. 18(5). 397-428, 2018
48 김규덕, 김시영,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성과평가모형에 관한 소고", 지방자치연 구. 8(3). 121-147, 1996
49 제보은, "한국여성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3
50 홍순복, "공공조직에서 상사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7(3). 197-206, 2015
51 서종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1(4). 215-225, 2016
52 김태룡, "정보불평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8(3). 78-110, 2004
53 이성훈, "윤리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4 진재구, "정부생산성측정지표 개발과 적용: 그 고려요인과 한계", 청주대학교 사 회과학논총. 제19호. 121-141, 1999
55 김광웅, "조직형태와 조직성과 간의 인과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14(1), 1977
56 권영달,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응급의료센터 핵심성과지표 개발", 보건경제와 정 책연구. 6(3): 17-39, 2010
57 임운식, "윤리적 리더십이 민간경비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경찰학논총. 8(2). 245-274, 2013
58 김수, "상사신뢰 향상을 위한 상사신뢰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동중앙아시아연 구. 28(2). 5-18, 2017
59 박흥식, 이상범,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 행동의 수용거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 행정연구. 제22권 제3호, 2013
60 이창원, "변혁적 리더십 이론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검토", 한국행정논 집. 17(4). 1035-1061, 2005
61 김근향, 최병순, 송승연, "셀프 리더십과 구성원의 혁신행동: 조직몰입의 매개효 과", 대한리더십학회. 3(3). 3-23, 2012
62 조근태, 홍순욱, "조직역량과 조직성과: 미국 제조업 R&D 조직의 비교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4). 740-767, 2009
63 이명신,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정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4 신강현, 허창구, 이철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 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5(1). 147-169, 2012
65 문주호,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 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66 서현, 송선화,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유 아교육연구. 30(4). 145-169, 2010
67 권인수, 최영근,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심리적 조건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연구. 18(4). 113-133, 2011
68 권나경, 임선희, "호텔종사원이 감성지능과 직무열의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2(7). 22-35, 2016
69 홍운선, "혁신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70 이경배, "감사담당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연구", 계명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1 김정원,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윤리적 리더십: 이론과 실행원칙의 탐색", 인적 자원관리연구. 13(2). 19-32, 2006
72 서준호, 윤위석, "리더십 유형이 신뢰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13(2). 41-67, 2003
73 원숙연, "지역주의가 상관의 부하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4 김명언, 이영석, "한국기업조직에서 부하가 갖는 상사에 대한 신뢰와 불신의 기 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000
75 남상화, 전오진, "지방행정조직에서 상사의 리더십 유형과 부하공무원의 조직 몰입", 한국정책과학학회보. 5(2). 110-135, 2000
76 이정우, "청소년시절의 내부마케팅 구성요인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7 배준호, 신홍철, "호텔 조리부서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8(3): 119-131, 2009
78 강승완, "윤리적리더십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종업원 태도 간의 관계",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447-454, 2013
79 김진환, 오원선,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균형성과표의 연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25(3). 185-221, 2003
80 김학수, 정범구,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신뢰의 매 개효과", 경영경제연구. 31(2). 29-54, 2008
81 김영기, "공공서비스 성과에 대한 수혜자 평가의 결정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82 박경규, 오아라,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 및 구성원의 직무행과의 관계에 관 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한국인사조직학회 등 8월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4
83 고명숙, 이현숙, 고미순, "병원간호사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 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3(1). 42-51, 2017
84 성상현, 최중석,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직무열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15(2), 23-44, 2017
85 김면식,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직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숭실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4
86 나기환, "공무원의 직무열의와 선행 및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6
87 배준호, 이준재, 신현규, "패밀리스토랑 구성원의 애피커시와 조직시민행동. 조 직성과의 관계연구", 한국관광 레저학회, 16(5). 93-111, 2010
88 김진희, "“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 고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7(2). 103-134, 2007
89 송승숙, 이동수, "사회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4). 459-480, 2015
90 이재연, "서번트 리더십이 상사신뢰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연구. 28(4). 131-154, 2009
91 강구덕, 심익섭, "지방공무원의 직무 및 조직특성이 신뢰를 매개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15(2). 1-22, 2015
92 장준호, 조용현,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부하간 교환관계 질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6(1). 181-199, 2009
93 조경훈,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94 정상춘, "노조윤리와 노조간부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합원의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95 임수복,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확인 및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96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및 행정발전의 관계에 관한 연 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97 변혁적, 류은영, 류병곤,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5(3). 239-262, 2017
98 김주엽, 이민령, 박상언,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신뢰, 그리고 조직시민 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13(2), 1-29. 31-62, 2010
99 김용순, "호텔기업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통제위치와 조 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382-390, 2012
100 박건규, 이희승,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종사원의 조직몰입과 혁신행 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0(6). 201-218, 2016
101 류승민, 안성익, 박원우, "상사로부터의 신뢰인식과 부하의 조직 신뢰간 관계 에서 상사 신뢰의 매개효과", 경영학 연구. 26(3), 2007
102 권향원, 최도림, 박정민,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와 윤리풍토의 매개효과", 한국조직학보. 12(4). 1-25, 2013
103 전원보, "리더십이 행정의 능률성에 미치는 영향: 지방행정조직의 중간관리자를 중심으로", 동의대정책. 11집. 167-191, 1995
104 곡민, 최수정, 김경수, "리더의 감성지능과 구성원의 리더신뢰. 조직몰입 및 직 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기업경영연구. 21(6). 249-273, 2014
105 한민형, "윤리적 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교",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6 이수광, 정인숙, "카지노 종사원이 지각하는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풍토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3(2). 195-215, 2018
107 구자원, "영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취욕구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7(1). 1-18, 2018
108 이홍기, "농업협동조합 경영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조직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협동조합연구 34(1). 114-147, 2016
109 유정숙,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종업원열의 의 매개역할",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10 김진황,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교육행정공무 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1 이경희,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후원인식과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6(4). 419-427, 2010
112 이철우, "공무원의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13 김근오, 김진국, 김도훈, "대학스포츠 팀 지도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지도자신뢰 및 충성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5(2). 93-104, 2016
114 김용민,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서구청 직 원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8(2), 2017
115 김정석, 안관영,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및 성별과 직종의 조절효과: 대덕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7(4) 77-86, 2012
116 박정호, "윤리적 리더십과 공공봉사동기(PSM)에 관한 연구: 공직가치에 대한 시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2). 201-227, 2017
117 권오영, 편해수, "조직인식 인식, 윤리적 리더십, 상사신뢰. 직무 만족간의 구조 적 관계: 영업사원 관점", 경영컨설팅연구. 18(2). 49-59, 2018
118 김해룡, 김현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 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331-1357, 2016
119 서철현, "호텔기업의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신뢰, 직무만족, 직무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2(1). 43-59, 2013
120 김정원, 채순화, 배성현, "변혁적 리더십과 상사신뢰. 조직몰입의 다차원 관계 : 신뢰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검증", 인사관리연구. 29(4). 382-390, 2005
121 정민,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2(5). 553-561, 2016
122 김종현, "자원봉사조직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연구: 신뢰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3 김성종, 황문종, "상사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 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617-629, 2016
124 박길수, 최인옥, "공군 조종사의 조직 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 효과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53-176, 2011
125 인재만, 하규수, "발전공기업의 성과지향보수제도가 조지몰입 및 조직성과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2). 356-273, 2017
126 이용탁, 주규하, "사회적기업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1(3). 347-356, 2014
127 노연우, 윤혜연,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외식기업 종사원의 직무만족. 직무 열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6(5). 1-19, 2017
128 오재동, 최상한, 정동영,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1(3). 207-232, 2017
129 여순모,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0 박성용, "지방행정조직에 있어 사회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31 이희정, 양동민, 심덕섭, "심리적 안전감과 상사신뢰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HRD연구. 11(2). 179-202, 2009
132 심덕섭, 이희정, 양동민, "심리적 안정감과 상사신뢰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인력개발연구. 11(2). 179-202, 2009
133 오세경, 윤혜연, "플 서비스 레스토랑 종사자의 체면민감성이 직무열의. 직무 소 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 연구. 23(3). 61-81, 2014
134 홍성준, "유통경로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성과: 기업의 사 회적 책임과 관계성과를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21(3). 5-13, 2018
135 손은일, 이종욱, 송정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 뢰의 매개효과 및 윤리풍토의 조절효과", 한국HRD연구. 5(1). 61-89, 2010
136 윤진,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137 곽신근, "윤리적 리더십이 역할 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 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38 안영찬,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업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9 정동영,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매개요인 분석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40 김완석, 이랑, 신강현,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모델에서 정서노동력 전략의 역할: 콜렉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4). 573-596, 2006
141 김대길, "공무원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 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2 송보형, 이성욱, 이규태, "호텔직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 원의 상사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7(1). 195-212, 2012
143 조현구, 최은수, "평생교육기관 경영자의 서번트 리더십, 상사신뢰, 구성원의 직무태도, 조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기업교육연구. 17(2). 31-57, 2015
144 권석균, "부하의 상급자 신뢰에 상급자의 행동특성과 능력, 사회적 유 사성 및 교환관계 특성이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9(1). 189-218, 2000
145 최원재,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6 김종대, "상사의 성격특성과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 향: 국세청 조직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47 강황선, 김미선, "지방정부 성과의 상대적 능률성 측정에 대한 연구: 서울시 25 개 자치구의 민원행정업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1(3). 999-1024, 2009
148 문채봉, "리더십 유형 및 구성원의 역량증대가 리더십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49 박성수, 이경근,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역할외 행동 간의 관계에서 동일 화기반 신뢰 및 계산기반 신뢰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3(2). 1161-1184, 2010
150 송광영, "윤리경영의 인식 및 실천정도와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신뢰 의 조절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1 인성진, "지방정부조직 내 상사 ․ 동료신뢰와 조직신뢰의 관계: 부서응집력의 매개효 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52 민경연, "노인복지관 최고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재정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9(3). 169-208, 2017
153 여인길,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증권회사 지점장의 리더특성 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4 김상훈, 정원호,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일가치감 의 매개효과와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3(3). 123-145, 2016
155 나병문, "윤리적 리더십이 도움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무감과 상사 신뢰의 역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56 정해동,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태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 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57 김금영, 최성재, 장병주,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동북아관광연구. 12(3). 145-166, 2016
158 홍성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오센틱 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심리자본,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59 박혜원, 이규태, "호텔 중간 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6(5). 63-80, 2012
160 김호, "목회자 리더십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뢰의 위계적 조절 효과 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61 박노윤, 설현도,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사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8(2). 161-185, 2011
162 류기상, 정아람,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40(1). 13-28, 2016
163 오아라, "직무열의에 관한 실증적 분석: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과 의 관계.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64 나상억, 장동운, "조직의 윤리풍토가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경영개발연구. 2(1). 75-106, 2009
165 김은영, "공공조직의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와 직무 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66 권향원, 최도림, 박정민, "공무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윤리풍토의 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 보. 15(2). 173-201, 2016
167 지명식,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의 반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68 최동황, "조직구성원간 신뢰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해양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69 강현출, "지방자치단체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역량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 향: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70 유재숙, "뷰티서비스 산업의 윤리적 리더십. 상사신뢰,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 성 간의 구조적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눈문, 2014
171 강승완, "리더의 윤리적 영향력: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부하 심리적 거리가 윤리 경영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72 양태식, 오종철,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리더신뢰 및 서 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행정서비스조직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2(3). 1245-1268, 2009
173 안병진,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 유효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 심리 자본과 팀워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74 박수용, 최수용, "중소기업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 도, 학습조직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유통과학저널. 13(12). 113-131, 2015
175 박수용, 최은수, "중소기업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도. 학 습조직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유통과학저널. 13(12). 113-131, 2015
176 이혜진, "사회복지관장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복지관장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0(1) 213-243, 2011
177 안광섭, "조직공정성,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의 관계 및 변혁적 리더십의 조 절효과: 육군 초급 간부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78 최송이,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9 정재명, "지방자치단체의 상관 리더십유형이 조직몰입 및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9(2). 149-177, 2011
180 윤호실, "특1급 호텔 식음료 조리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열의, 소진, 만족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81 정회근,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성과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와 윤리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2 선태무, "국립대학 중간 행정관리자의 진성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직원의 사기 효능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83 오창택,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이 근무환경에서 개인 직무부합이 조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4(3), 2013
184 김중원, "조직 내부고객 만족경영이 구성원의 직무태도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지원 인식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85 박종혁, "윤리적 리더십이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조직몰입 및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및 윤리적 효능감의 조절효과", 전문경영 인연구. 21(1). 19-37, 2018
186 송영우, "지방자치단체장의 진성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자본, 직무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7
187 오정학, 육풍림, "카지노종사원의 임파워먼트. 셀프리더십과 몰입. 고객지향성 및 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 다층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인과효과 차이 검정", 외식경영연구. 14(4). 123-115, 2010
188 이주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상급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하급 공무원의 조직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할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9 김민정, 정회근, 심덕섭,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성과 및 조직 몰 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와 조직의 윤리 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6(4). 801-82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