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Forming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4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oday’s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their peers in cyberspace, and suggest alternative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oday’s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their peers in cyberspace, and suggest alternative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line activities through devices are increasing in children’s lives. In non face-to-face meetings, the audiovisual element is relatively emphasized compared to face-to-face meetings. Building a relationship biased toward audiovisual elements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oneself and others correctly. This can negatively affect children’s self-identity forma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 negative effects include a decrease in self-esteem and cyberbullying through SNS activities. As a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uggested that children move from a visual-oriented connection to a multisensory connection.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ill be able to share various senses through physical play with their peers, which is a multisensory connection, and acquire the values of empathy, consideration, and respect necessary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선화 ; 김진숙,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339-358, 2015

      2 하요상 ; 곽미규,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65-679, 2021

      3 전숙경, "초연결사회의 인간 이해와 교육의 방향성 탐색" 한독교육학회 21 (21): 55-80, 2016

      4 이재용,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상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167-188, 2017

      5 박병기 ; 홍승표,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타인감정조망능력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79-189, 2005

      6 임정화 ; 김재운, "전통놀이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4 (14): 45-54, 2009

      7 황보원주 ; 위민영, "아동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성장성 연구: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 (20): 420-428, 2017

      8 전숙경,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본 가상현실의 감각경험" 한독교육학회 25 (25): 79-97, 2020

      9 박수억, "남녀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의미있는 타자들의 종단적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26, 2020

      10 소라 ; 하주현,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14 (14): 127-149, 2019

      1 채선화 ; 김진숙,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339-358, 2015

      2 하요상 ; 곽미규,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65-679, 2021

      3 전숙경, "초연결사회의 인간 이해와 교육의 방향성 탐색" 한독교육학회 21 (21): 55-80, 2016

      4 이재용,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상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167-188, 2017

      5 박병기 ; 홍승표,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타인감정조망능력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79-189, 2005

      6 임정화 ; 김재운, "전통놀이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4 (14): 45-54, 2009

      7 황보원주 ; 위민영, "아동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성장성 연구: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 (20): 420-428, 2017

      8 전숙경,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본 가상현실의 감각경험" 한독교육학회 25 (25): 79-97, 2020

      9 박수억, "남녀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의미있는 타자들의 종단적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26, 2020

      10 소라 ; 하주현,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14 (14): 127-149, 2019

      11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83086"

      12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90660"

      1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31410300003304?did=NA"

      14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950655&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15 "http://www.mediaf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29"

      16 Youreohan, "Touch, the Counterattack of that Alienated Sense" Hyehwadong 2019

      17 Chatfild, T., "The School Life – Time: How to Thrive in the Digital Age" Sam & Parkers 2013

      18 Hwang Dong-hyuk, "Squid Game"

      19 Spence, C., "Sense-hacking" Acrossbook 2022

      20 Min, B. C., "Land of Squid Game" BCM 2021

      21 Segal, H., "Introduction to the work of Melanie Klein" Nun Bouse 2020

      22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media-cultur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21

      23 Huizinga, J., "Homo Ludens" Yeonam Book 2020

      24 Kim, S. G., "Game Sapiens" Mons 2021

      25 Dunbar, R., "Friends" Acrossbook 2022

      26 Hwang, H. I., "Effect of Traditional Pla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Pro-social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4

      27 Cozolino, L., "Attachment-based Teaching : Creating a Tribal Classroom" Hainaim 2021

      28 Kim, Y., "Analysis of Possessing and using Mobile Pho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KISDI 2019

      29 Bruner, J., "Actual Minds, Possible Wolds" Kyoyookbook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