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 비평 교수·학습 모델적용을 위한 발문 연구 = A Study on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for Art-criticism Educational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60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새롭게 등장한 ``미술 비평``의 지도를 위해 교수·학습 모델을 살펴보고 발문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미술 비...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새롭게 등장한 ``미술 비평``의 지도를 위해 교수·학습 모델을 살펴보고 발문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미술 비평은 초등학생에게 미술작품의 의미를 나름대로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문 미술 비평가의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작품을 세심히 관찰하고 발견한 것을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비평 수업의 개념은 아직 교사들에게 낯설기 때문에 교사들은 이러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 비평을 초등학생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관련된 이론과 교수·학습 모델을 고찰해 보고, 이중 발문을 중심으로 가능한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for art-critic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2009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ntrodu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applicable for the model. Art criticism edu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for art-critic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2009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ntrodu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applicable for the model. Art criticism education is a way that students can utilize professional inquiry of art critics in a revised way to build artworks` meaning in one`s own way. By using this revised method, children could construct meaning by looking into the artwork closely and carefully with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However,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education is still unfamiliar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are not familiar with critical inquiry of artworks so far. The authors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using Tom Anderson and Harry Broudy`s theories.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emphasizes the initial reaction toward the artwork. It can be applied well enough for an educational model for elementary students because they say their reaction immediately when seeing the artwork. Also, ``Aesthetic Scanning`` by Broudy emphasizes aesthetic perception and divided the perception into four types: sensory, formal, technical, and expressive. Elementary students don`t have the standards when looking the artwork, so by applying Broudy`s method, children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artwork more carefully by using his criteria. In art criticism education, teacher`s questions are important in a way children are able to think and observe through the carefully designed instruction. So in this study, authors suggest not only the educational model but also the way of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by looking into an example artwork by Hochul Che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철, "최호철 이야기그림 을지로 순환선" 거북이북스 2008

      2 변홍규, "질문제시의 기법" 교육과학사 1994

      3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4 김정희, "삶을 위한 미술교육" 예경 2007

      5 김수현, "미적교육론" 현실문화 2002

      6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 비평교육" 시공사 2003

      7 류재만, "미술 감상 · 비평 학습에서 발문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93-226, 2004

      8 박태호, "교실 수업 전문가를 위한 초등 국어 수업 관찰과 분석" 정인출판사 2009

      9 Taunton, M., "Questioning strategies to encourage young children to talk about art" 36 (36): 40-43, 1983

      10 Eaton, M. M., "Philosophical aesthetics : A way of knowing and its limits" 28 (28): 19-31, 1994

      1 최호철, "최호철 이야기그림 을지로 순환선" 거북이북스 2008

      2 변홍규, "질문제시의 기법" 교육과학사 1994

      3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4 김정희, "삶을 위한 미술교육" 예경 2007

      5 김수현, "미적교육론" 현실문화 2002

      6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 비평교육" 시공사 2003

      7 류재만, "미술 감상 · 비평 학습에서 발문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93-226, 2004

      8 박태호, "교실 수업 전문가를 위한 초등 국어 수업 관찰과 분석" 정인출판사 2009

      9 Taunton, M., "Questioning strategies to encourage young children to talk about art" 36 (36): 40-43, 1983

      10 Eaton, M. M., "Philosophical aesthetics : A way of knowing and its limits" 28 (28): 19-31, 1994

      11 Hewett, G. J., "Finding buried treasures : Aesthetic scanning with children" 40 (40): 41-43, 1987

      12 Broudy, H. S., "Enlightened cherishing" An essay on aesthetic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4

      13 Anderson, T., "Defining and structuring art criticism for education. Studies in Art Education" 199-208, 1993

      14 Barrett, T., "Criticizing Art with Children" Art Education: Elementary 115-129, 1992

      15 Broudy, H. S., "Aesthetic scanning, In Readings in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A Literature of Educational Reform" 188-, 1994

      16 Hewett, G. J., "A questioning strategy for aesthetic scanning" 4 (4): 49-53,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