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탐색: 정원교육 강좌 ‘비밀의 정원’ 운영 사례 = A Study on the Meaning of Gardens as Educational Spaces : Case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arden education course called ‘Secret Gard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8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시설의 부속 공간으로 조성된 정원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원은 교육공간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건물에 부속된 물리적 공간으로 한정되어나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학생과 교사의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져 왔다. 이에 이 연구는 정원의 교육적 의미 탐색을 위해 ‘비밀의 정원’이라는 정원 교육 강좌를 개발하고 20명의 수강생과 연구자가 함께 정원을 관찰, 감상하고, 정원에 대한 시, 음악, 음식 등을 음미하며, 정원 수업에서의 경험을 표상하여 공유하는 과정으로 한 학기 15주 동안 강좌를 운영하였다. 수업이 이루어진 곳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충북의 한 교원양성대학의 정원으로 조성된 지 30년 정도 된 곳이며, 한국에서 아름다운 길로 선정된 적도 있으며, 정원이 아름답고 잘 관리되어 조경학과 학생 실습처 중 하나다. 20명의 수강생 중 연구에는 6명이 참여 하였으며, 희망자에 한하여 자신의 수업 결과를 공유하고 인터뷰하였다. 이 강좌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익숙한 생활의 장이었던 정원을 낯설게 보게 되면서 정원 속 자연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진정한 공부에 눈뜨게 되었으며, 자연을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들과 동일한 생명체임을 공감하고 경탄하면서 자신을 비추는 거울로 함께 존중되어야 함을 인식하였고, 인류가 조성한 정원 속에는 수목, 석물, 환경의 배치에 따라 상징이 부여되고 그것이 문화를 이루어왔음을 알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강좌 운영 사례를 통해 생활의 장인 정원은 살아있는 교과서이며, 정원기반교육 등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교과의 공부가 정원을 통해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는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자연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관조의 경험을 통해 교과의 본질, 학교의 본질을 되새기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시설의 부속 공간으로 조성된 정원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원은 교육공간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건물에 부속된 물리적 공간으로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시설의 부속 공간으로 조성된 정원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원은 교육공간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건물에 부속된 물리적 공간으로 한정되어나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학생과 교사의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져 왔다. 이에 이 연구는 정원의 교육적 의미 탐색을 위해 ‘비밀의 정원’이라는 정원 교육 강좌를 개발하고 20명의 수강생과 연구자가 함께 정원을 관찰, 감상하고, 정원에 대한 시, 음악, 음식 등을 음미하며, 정원 수업에서의 경험을 표상하여 공유하는 과정으로 한 학기 15주 동안 강좌를 운영하였다. 수업이 이루어진 곳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충북의 한 교원양성대학의 정원으로 조성된 지 30년 정도 된 곳이며, 한국에서 아름다운 길로 선정된 적도 있으며, 정원이 아름답고 잘 관리되어 조경학과 학생 실습처 중 하나다. 20명의 수강생 중 연구에는 6명이 참여 하였으며, 희망자에 한하여 자신의 수업 결과를 공유하고 인터뷰하였다. 이 강좌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익숙한 생활의 장이었던 정원을 낯설게 보게 되면서 정원 속 자연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진정한 공부에 눈뜨게 되었으며, 자연을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들과 동일한 생명체임을 공감하고 경탄하면서 자신을 비추는 거울로 함께 존중되어야 함을 인식하였고, 인류가 조성한 정원 속에는 수목, 석물, 환경의 배치에 따라 상징이 부여되고 그것이 문화를 이루어왔음을 알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강좌 운영 사례를 통해 생활의 장인 정원은 살아있는 교과서이며, 정원기반교육 등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교과의 공부가 정원을 통해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는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자연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관조의 경험을 통해 교과의 본질, 학교의 본질을 되새기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garden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gardens have been recognized as educational spaces. However,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space of a building or the place of realization of a potential curriculum, but they have not been recognized as direct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a garden education course called Secret Garden was developed for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During the semester, 20 students and one researcher shared their views on gardening, enjoying poetry, music, fruits from gardens, and representing their experience in gardening classes. The place where the class was held was the garden of a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Chungbuk. Six of the students were accepted as participants, and their results were shared and interviewed. Through these lessons, the participants became unfamiliar with the garden, which was a familiar living place. They recognized authentic learning as they questioned and answered nature in the garden. They learned that nature was not the object of protection, but that they were the same creatures as themselves, and that they should respect nature as a mirror of their own. They also knew that symbols and cultures were in the garden created by mankind. In conclusion, the meanings of the gardens as educational space were as follows. First, the garden served as a media between man and nature so that he could experience the natural changes necessary for human life. Second, the garden had an important meaning as a place to reflect on the nature of the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templatio.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garden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gardens have been recognized as educational spaces. However,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space of a building or the place of realization of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garden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gardens have been recognized as educational spaces. However,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space of a building or the place of realization of a potential curriculum, but they have not been recognized as direct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a garden education course called Secret Garden was developed for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 During the semester, 20 students and one researcher shared their views on gardening, enjoying poetry, music, fruits from gardens, and representing their experience in gardening classes. The place where the class was held was the garden of a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Chungbuk. Six of the students were accepted as participants, and their results were shared and interviewed. Through these lessons, the participants became unfamiliar with the garden, which was a familiar living place. They recognized authentic learning as they questioned and answered nature in the garden. They learned that nature was not the object of protection, but that they were the same creatures as themselves, and that they should respect nature as a mirror of their own. They also knew that symbols and cultures were in the garden created by mankind. In conclusion, the meanings of the gardens as educational space were as follows. First, the garden served as a media between man and nature so that he could experience the natural changes necessary for human life. Second, the garden had an important meaning as a place to reflect on the nature of the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templati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정원과 교육 Ⅲ. 정원교육 강좌 개발 및 운영 Ⅳ. ‘비밀의 정원’에서 찾은 교육적 의미 Ⅴ. 결론: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 Ⅰ. 서론 Ⅱ. 정원과 교육 Ⅲ. 정원교육 강좌 개발 및 운영 Ⅳ. ‘비밀의 정원’에서 찾은 교육적 의미 Ⅴ. 결론: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국,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09-125, 2017

      2 이재영,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90-100, 2005

      3 하시연, "학교숲이 아동 및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산림정책이슈 13호)"

      4 정모근, "학교숲을 통한 초등학교의 환경 문화 교육"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5 허윤선, "학교숲 운동의 조성 원칙과 조성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15년의 학교숲 성과와 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174-186, 2014

      6 홍은실, "학교 텃밭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63-186, 2017

      7 김인호, "학교 숲 가꾸기 운동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13 (13): 111-121, 2000

      8 김용식, "정원․식물원․수목원의 개념에 대한 인식 및 역사적 발전에 대한 연구" 산림청 2013

      9 장서경, "융복합 과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학교 숲 활용 수업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0 강미희, "유아 정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활 주제 중 ‘겨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7

      1 황동국,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09-125, 2017

      2 이재영,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90-100, 2005

      3 하시연, "학교숲이 아동 및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산림정책이슈 13호)"

      4 정모근, "학교숲을 통한 초등학교의 환경 문화 교육"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5 허윤선, "학교숲 운동의 조성 원칙과 조성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15년의 학교숲 성과와 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174-186, 2014

      6 홍은실, "학교 텃밭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63-186, 2017

      7 김인호, "학교 숲 가꾸기 운동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13 (13): 111-121, 2000

      8 김용식, "정원․식물원․수목원의 개념에 대한 인식 및 역사적 발전에 대한 연구" 산림청 2013

      9 장서경, "융복합 과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학교 숲 활용 수업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0 강미희, "유아 정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활 주제 중 ‘겨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7

      11 윤상준, "영국 왕립원예협회의 스쿨가드닝 캠페인" 21 : 4-, 2013

      12 Pieper, J., "여가: 자유와 문화와 교육의 기초" 성경재 1954

      13 유현준, "어디서 살 것인가-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을유문화사 2018

      14 유주리,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462-473, 2015

      15 김선아, "숲체험 활동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35-43, 2015

      16 강판권, "세상을 바꾼 나무" 다른 2011

      17 강영희, "생명과학대사전" 도서출판 여초 2014

      18 "산림청"

      19 "브루클린 식물원 교육 홈페이지"

      20 대통령직속녹색성장위원회, "녹색교육 발전방안 연구-학교정원교육을 중심으로-" 대통령직속녹색성장위원회 2012

      21 정대현,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 하리 숲 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24, 2015

      22 김승호, "‘Flow’ 개념의 교육학적 해석: ‘Schole’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1-41, 2017

      23 Vermont Community Garden Network, "Gardens for learning 2017 report" Vermont Community Garden Network 2017

      24 Morgan, S. C., "Environmental education in botanic gardens : Exploring Brooklyn botanic garden’s project green reach" 40 (40): 35-5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