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 The analysis of relations among variable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6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적 창의성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ㆍ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학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ㆍ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과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선행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들을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나타내어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과학적 창의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인으로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요인을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창의성, 과학의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인지적 요인 관련 검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하게 검사에 응한 209명의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과학적 창의성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요인은 과학적 창의성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지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과학적 창의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의 경로를 구체화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traits required for future human resources, and tremendou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enhance i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efine variables that affect scientific creativity and ...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traits required for future human resources, and tremendou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enhance i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efine variables that affect scientific creativity and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nd goodness of fit indices in the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hosen as latent variables affecting scientific creativity,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were tested.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scientific affective test, family environment test,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scientific knowledge test were implemented. Two hundred and nine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gni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Affective factor didn't show direc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However, the mediation effects of affective factor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factor and scientific creativit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overall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were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이론적 배경 및 구조모형 설정
      • III.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 검사도구
      • I. 서 론
      • II. 이론적 배경 및 구조모형 설정
      • III.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 검사도구
      • 3. 자료 분석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1.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 2. 측정 모형의 검증
      • 3. 구조방정식 모형의 검증
      • 4. 변인 간의 직접효과와 간점효과 및 총효과 검증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순미, "환경은 창의성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67-188, 2006

      2 유경훈,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201-222, 2015

      3 신재한, "초등학생의 가정환경, 정서지능, 창의성, 학업성적 간의 구조적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81-102, 2007

      4 조석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한 경로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745-760, 2005

      5 Chung, O.,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5-60, 2006

      6 김미숙,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05-224, 2014

      7 金惠淑, "창의성 구조 모형을 적용한 창의적 활동 수행집단과 일반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1-389, 2003

      8 박형용,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사고력, 창의성, 과학 관련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459-469, 2013

      9 김청자,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3 (13): 75-101, 2005

      10 임성만,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소 33 (33): 31-43, 2009

      1 한순미, "환경은 창의성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67-188, 2006

      2 유경훈,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201-222, 2015

      3 신재한, "초등학생의 가정환경, 정서지능, 창의성, 학업성적 간의 구조적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81-102, 2007

      4 조석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한 경로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745-760, 2005

      5 Chung, O.,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5-60, 2006

      6 김미숙,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05-224, 2014

      7 金惠淑, "창의성 구조 모형을 적용한 창의적 활동 수행집단과 일반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1-389, 2003

      8 박형용,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사고력, 창의성, 과학 관련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459-469, 2013

      9 김청자,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3 (13): 75-101, 2005

      10 임성만,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소 33 (33): 31-43, 2009

      11 김형재,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844-1852, 2015

      12 유경훈,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환경적.인지적.동기적 변인들의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47-72, 2008

      13 강승희,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61-187, 2015

      14 박춘성, "교육환경과 사회창의성의 관련 및 교육적용을 위한 소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59-72, 2014

      15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75-386, 2004

      16 한기순,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18 (18): 23-52, 2008

      17 성진숙,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219-237, 2003

      18 유용현, "고등학생의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 메타인지,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09-128, 2013

      19 Harrington, D. M., "Theories of creativity" Sage Publications 1990

      20 Bae, J.,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3 (13): 43-61, 2000

      21 Park, 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social-network and their learning-achievement self-efficiency" 32 (32): 1-16, 2001

      22 Shim, H.,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7 : 107-114, 2004

      23 Sternberg, R. J.,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4 Inhelder, B.,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Basic Books Inc 1958

      25 Choi, B.,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young children's creativity" 6 (6): 43-72, 2003

      26 Choi, J.,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ents'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cale" 21 : 89-119, 1993

      27 Selby, E. C., "The creative personality" 49 (49): 300-314, 2005

      28 Roadranka, V.,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1983

      29 Baer, J.,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11 (11): 173-177, 1998

      30 Torrance, E. P.,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Schalastic Testing Service 1974

      31 Guilford, J. P., "Structure of Intellect" 53 : 267-293, 1956

      3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1997

      33 Plucker, J. A., "Re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o creativity checklist : Evidence of content generality" 33 (33): 126-137, 1999

      34 Nunnally, J. C., "Psh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94

      35 Kim, H.,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18 (18): 357-369, 1998

      36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37 Wallach, M. A., "Model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 A study of the creativity-intelligence distinction" Holt, Rinehart, & Winston 1965

      38 Simonton, D. K., "Handbook of creativity" Academic Press 2004

      39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The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Press 1989

      40 Gardner, H., "Frame of minds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1983

      41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42 Cho, Y., "Developmen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20 (20): 329-343, 2000

      43 Rudowicz, E., "Desirability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reativity : Through the eyes of Polish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4 (4): 104-115, 2009

      44 Rea, L. M.,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Jossey-Bass 2005

      45 Urban, K. K.,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5-8, 1995

      46 Feldhusen, J. F., "Creativity : A knowledge base, metacognitive skills, and personalities factors" 29 (29): 255-268, 1995

      47 Kim, Y., "Creative problem solving" Kyoyook Book 1999

      48 Sternberg, R. J., "Creative gift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37 (37): 7-15, 1993

      49 Hu, W.,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24 (24): 389-403, 2002

      50 Bandura, A., "(Ed.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