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물(medium)이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나 나중에 해당되는 결과물로 교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매개물이 선택대안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66488
2008
Korean
관여도 ; 매개물효과 ; 이성 ; involvement ; medium effect ; rationality ; FCB-GRID
323.05
KCI등재
학술저널
855-866(12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매개물(medium)이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나 나중에 해당되는 결과물로 교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매개물이 선택대안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
매개물(medium)이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나 나중에 해당되는 결과물로 교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매개물이 선택대안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매개물효과(medium effect)라고 부르는데, 대안을 선택할 때 매개물이 그 자체로 아무 가치가 없으면서도 대안의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선행연구자들은 현실에서 매개물효과가 관찰될 수 있고, 보상물 특성이 매개물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집단수준에서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매개물효과가 개인수준에서도 관찰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FCB-GRID의 두 차원(관여도 차원, 이성-감성 차원)의 의사결정자 특성이 매개물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근거한 결론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매개물은 집단수준은 물론이고 개인수준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둘째, 의사결정자의 특성변수인 관여도 수준이 매개물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edium has no value of itself but can be traded for a related outcome. However, it can affect on consumers’ preferences.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a medium can alter what they choose when people are faced with options entailing different out...
A medium has no value of itself but can be traded for a related outcome. However, it can affect on consumers’ preferences.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a medium can alter what they choose when people are faced with options entailing different outcomes. Previous researches called the phenomenon the medium effect, and they showed that the medium effect can b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s. However they investigated the medium effect only at aggregate level. In this study we show the medium effect could be observed at individual consumer as well.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the medium effect can be affected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like the two basic factors of the FCB-GRID model. In the FCB-GRID choice decisions can be classified on two basic factors (or dimensions): involvement and think/feel.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in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ly, the medium effect can be observed at individual level as well as at aggregate level. Secondly, it can be affected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like the involv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준, "소비자 보상물 선호에 있어서 마일리지/포인트의 역할" 한국마케팅 학회 2007
2 이병관, "사소한 속성(Trivial Attribute)은 과연 중요한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357-378, 2007
3 박상준, "보상물 선호에 있어서 매개물효과와 합의정보효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7
4 장대련, "광고론" 학현사 2006
5 O'curry Suzanne, "Probability and Mode of Acquisition Effects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12 (12): 37-49, 2001
6 Ratchford, Brain T., "New Insights about the FCB GRID" 27 (27): 24-38, 1987
7 Hsee, Christopher K., "Medium Maximization" 30 (30): 1-13, 2003
8 Vaughan, R.,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20 (20): 27-33, 1980
9 Kivetz, Ran, "Earning the Right to Indulge: Effort as a Determinant of Customer Preferences towards Frequency Program Rewards" 39 : 155-170, 2002
10 Strahilevitz, Michal,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24 : 434-446, 1998
1 박상준, "소비자 보상물 선호에 있어서 마일리지/포인트의 역할" 한국마케팅 학회 2007
2 이병관, "사소한 속성(Trivial Attribute)은 과연 중요한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357-378, 2007
3 박상준, "보상물 선호에 있어서 매개물효과와 합의정보효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7
4 장대련, "광고론" 학현사 2006
5 O'curry Suzanne, "Probability and Mode of Acquisition Effects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12 (12): 37-49, 2001
6 Ratchford, Brain T., "New Insights about the FCB GRID" 27 (27): 24-38, 1987
7 Hsee, Christopher K., "Medium Maximization" 30 (30): 1-13, 2003
8 Vaughan, R.,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20 (20): 27-33, 1980
9 Kivetz, Ran, "Earning the Right to Indulge: Effort as a Determinant of Customer Preferences towards Frequency Program Rewards" 39 : 155-170, 2002
10 Strahilevitz, Michal,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24 : 434-446, 1998
11 Kardes, F. R., "Direction of Comparison, Expected Feature Correlation, and the Set-size Effect in Preference Judgement" 2 (2): 39-54, 1993
12 Dhar, Ravi,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37 (37): 60-71, 2000
13 Anderson, N. H., "Averaging Model Analysis of Set-size Effect in Impression Formation" 75 (75): 158-165, 1967
14 Huber, J., "Adding Asymmetrically Dominated Alternatives: Violations of Regularity and the Similarity Hypothesis" 9 : 90-98, 198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 ![]() |
2006-06-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7 | 1.238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