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유사성'의 의미와 그 배경 = "Family Resemblance": Meaning and Backgr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1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탐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가족유사성'을 그 개념이 성립한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가족유사성의 출발 배경을 살피고, 잘못된 접근들을 제시하고, 또 이 개념으 올바른 이해의 방식을 제공하는 순서를 밟아,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고자 했던 이 개념의 의미를 보여주려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첫째, 비트겐슈타인은 아우구스티누스, 프레게, 러셀 및 초기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의미의 '계산 모델'을 배척한다. 즉 한 단어의 의미는 늘 동일하고도 공통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이들의 계산은 우리의 실제 삶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계산이다. 다시 말해서 단어란 쓰임새의 맥락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한 단어의 다른 맥락상의 의미들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유사한' 것이다. 이 유사도 공통적이거나 보편적인 유사가 아니라, 서로 엇갈리는 〈가족 유사〉인 특징을 갖는다.
      둘째, 이런 이유에서, 한 단어의 의미는 엄격한 고정적 계산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취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자연히 나올 수 있는데, 의미에 대한 것으로 두 가지 주장이 있다. 하나는 단어의 개념이란 형식적이라는 주장이다. 개념의 의미란 한 단어라는 기호가 가리키는 형식적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그 담지자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담지자와 그 기호의 관계는, 『탐구』에서 보듯이, 우유적 관계로서 그 의미의 올바른 설명에는 미흡하다. 또 하나는 그것을 심리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입장인데, 이런 입장에 선 사람들은 기술을 1, 3인칭으로 분석하면서 한 주체의 의미 이해를 객관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과 기술은 불일치하는데, 이것은 '의도', '믿음', '의미' 등의 개념은 이해의 과정이 아니라, 정신적 동반물이기 때문이다.
      셋째, 따라서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은 바로 삶의 형식이자 그것을 보여주는 '의미'에 대한 기술이다. 우리의 삶은 분석 불가능하고, 한정 불가능하며, 다만 주어지는 것으로 언어사용은 바로 역사적 실천의 결과이다. 그렇다면, 단어의 의미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는 무엇으로, 단어의 다양한 사용의 용례들 사이에는 최소의 유사의 법칙만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불명료하더라도 이것만이 '사실로서' 우리가 〈보고 알게 되는〉 전부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탐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가족유사성'을 그 개념이 성립한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탐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가족유사성'을 그 개념이 성립한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가족유사성의 출발 배경을 살피고, 잘못된 접근들을 제시하고, 또 이 개념으 올바른 이해의 방식을 제공하는 순서를 밟아,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고자 했던 이 개념의 의미를 보여주려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첫째, 비트겐슈타인은 아우구스티누스, 프레게, 러셀 및 초기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의미의 '계산 모델'을 배척한다. 즉 한 단어의 의미는 늘 동일하고도 공통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이들의 계산은 우리의 실제 삶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계산이다. 다시 말해서 단어란 쓰임새의 맥락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한 단어의 다른 맥락상의 의미들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유사한' 것이다. 이 유사도 공통적이거나 보편적인 유사가 아니라, 서로 엇갈리는 〈가족 유사〉인 특징을 갖는다.
      둘째, 이런 이유에서, 한 단어의 의미는 엄격한 고정적 계산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취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자연히 나올 수 있는데, 의미에 대한 것으로 두 가지 주장이 있다. 하나는 단어의 개념이란 형식적이라는 주장이다. 개념의 의미란 한 단어라는 기호가 가리키는 형식적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그 담지자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담지자와 그 기호의 관계는, 『탐구』에서 보듯이, 우유적 관계로서 그 의미의 올바른 설명에는 미흡하다. 또 하나는 그것을 심리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입장인데, 이런 입장에 선 사람들은 기술을 1, 3인칭으로 분석하면서 한 주체의 의미 이해를 객관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과 기술은 불일치하는데, 이것은 '의도', '믿음', '의미' 등의 개념은 이해의 과정이 아니라, 정신적 동반물이기 때문이다.
      셋째, 따라서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은 바로 삶의 형식이자 그것을 보여주는 '의미'에 대한 기술이다. 우리의 삶은 분석 불가능하고, 한정 불가능하며, 다만 주어지는 것으로 언어사용은 바로 역사적 실천의 결과이다. 그렇다면, 단어의 의미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는 무엇으로, 단어의 다양한 사용의 용례들 사이에는 최소의 유사의 법칙만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불명료하더라도 이것만이 '사실로서' 우리가 〈보고 알게 되는〉 전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sa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family resemblance' which Wittgenstein puts forward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is essay, the writer attempts to say what a concept/word means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giving the idea of family resemblance, showing misguided approaches, and providing us with a valid method to understand it properly.
      First, Wittgenstein does, says the writer, reject 'the model of calculus' suggested by Augustine, Frege, Russell and earlier Wittgenstein, according to which a word always has its same and common meaning. But this is not found to be true in, and does not applies to, our ordinary life. In other words, the meanings of a word depend upon in what context it is used, and are not the same or identical with, but the common as each other. Therefore, Wittgenstein calls it family resemblance.
      Second, for this reason, it is claimed that the meanings of a word are not able to be calculated, but what are different, and should be treated with as something else. This claim goe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is the claim that the concept of a word is formal. According to the claim, a word is formal, and asks for a certain bearer, without which a word, therefore, does no longer exist. However, we have seen in the Investigations, this claim could not go for Wittgenstein's valid interpretation. Another is to regard it as psychological, and attempts to analyse descriptions into those with first or third person. But in this analysis, human behaviors do not agree with their descriptions, for 'intend', 'believe', or 'mean' aren't the process of, but superveniences to, those actions.
      Third, thus, w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r meaning of a word is not something as said above, but something else, which, according to Wittgenstein, is 'form of life.' For our life, though thoroughly scrutinized, is not divisible, definite, but given in a certain way. The use of a language is a result of historical practice of words; and the meanings of a word is something understood in that context, which is shown minimally in application of it to diverse uses of its examples. This is, though unclear, all we 'look and see' as realities.
      번역하기

      The essa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family resemblance' which Wittgenstein puts forward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is essay, the writer attempts to say what a concept/word means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giving the idea of fa...

      The essa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family resemblance' which Wittgenstein puts forward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is essay, the writer attempts to say what a concept/word means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giving the idea of family resemblance, showing misguided approaches, and providing us with a valid method to understand it properly.
      First, Wittgenstein does, says the writer, reject 'the model of calculus' suggested by Augustine, Frege, Russell and earlier Wittgenstein, according to which a word always has its same and common meaning. But this is not found to be true in, and does not applies to, our ordinary life. In other words, the meanings of a word depend upon in what context it is used, and are not the same or identical with, but the common as each other. Therefore, Wittgenstein calls it family resemblance.
      Second, for this reason, it is claimed that the meanings of a word are not able to be calculated, but what are different, and should be treated with as something else. This claim goe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is the claim that the concept of a word is formal. According to the claim, a word is formal, and asks for a certain bearer, without which a word, therefore, does no longer exist. However, we have seen in the Investigations, this claim could not go for Wittgenstein's valid interpretation. Another is to regard it as psychological, and attempts to analyse descriptions into those with first or third person. But in this analysis, human behaviors do not agree with their descriptions, for 'intend', 'believe', or 'mean' aren't the process of, but superveniences to, those actions.
      Third, thus, w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r meaning of a word is not something as said above, but something else, which, according to Wittgenstein, is 'form of life.' For our life, though thoroughly scrutinized, is not divisible, definite, but given in a certain way. The use of a language is a result of historical practice of words; and the meanings of a word is something understood in that context, which is shown minimally in application of it to diverse uses of its examples. This is, though unclear, all we 'look and see' as rea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배경
      • 1) 개념
      • 2) 개념의 전개
      • 2.의미의 결정
      • 1) 계산 모델
      • 1.배경
      • 1) 개념
      • 2) 개념의 전개
      • 2.의미의 결정
      • 1) 계산 모델
      • 2) 의미 결정의 애매성
      • 3.부분적 대안 해석
      • 1) 형식적 개념
      • 2) 심리적 개념
      • 4.삶의 국면
      • 1) 삶의 형식
      • 2) 최소주의 해석
      • 3) 가족유사성의 난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