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전체 기반 신생아 선별검사(Genomic NewBorn Screening) 도입을 위한 정책적 제언: 주요 국가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Genome-Based Newborn Screening: An Analysis of Major Country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9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advance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have opened doors to 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 its implementation in Korea necessitates careful consideration. gNBS holds promise as an innovative medical technique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rare genetic diseases, yet, compared to traditional Newborn Screening Tests (NSTs), its expanded scope raises concerns. Key issues include the protection of genetic information, parental consent as proxy decision-makers, safeguarding children's rights, psychosocial impact of Variants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 and false result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arget diseases, in addition to the standardization of tes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gNBS project cases in major countries and derive policy recommendations suitable for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examines how the US, UK, and Australia are addressing legal and ethical challenges associated with gNBS, adapting their approaches to their unique medical and social systems. Through case analysis, it intends to propose policy solutions applicable to the Korean setting.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gNBS projects points to the following key policy areas for Korea: (1) Establishing clear gNBS disease selection criteria, (2) Developing a standardized consent framework, (3) Building a diagnostic system utilizing AI collaboration, and (4) Constructing a robust gNBS governance and oversight system.
      번역하기

      While advance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have opened doors to 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 its implementation in Korea necessitates careful consideration. gNBS holds promise as an innovative medical technique for personalized...

      While advance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have opened doors to 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 its implementation in Korea necessitates careful consideration. gNBS holds promise as an innovative medical technique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rare genetic diseases, yet, compared to traditional Newborn Screening Tests (NSTs), its expanded scope raises concerns. Key issues include the protection of genetic information, parental consent as proxy decision-makers, safeguarding children's rights, psychosocial impact of Variants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 and false result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arget diseases, in addition to the standardization of tes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gNBS project cases in major countries and derive policy recommendations suitable for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examines how the US, UK, and Australia are addressing legal and ethical challenges associated with gNBS, adapting their approaches to their unique medical and social systems. Through case analysis, it intends to propose policy solutions applicable to the Korean setting.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gNBS projects points to the following key policy areas for Korea: (1) Establishing clear gNBS disease selection criteria, (2) Developing a standardized consent framework, (3) Building a diagnostic system utilizing AI collaboration, and (4) Constructing a robust gNBS governance and oversight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의 발전은 유전체 기반 신생아 선별검사(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의 가능성을 열었으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gNBS는 희귀 유전 질환에 대한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혁신적 의료기술이지만, 기존 신생아 선별검사(Newborn Screening Test, NST)에 비해 검사 대상 및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개인 민감정보로서 유전정보 보호의 문제, 신생아의 최선의 이익을 위한 대리인으로서 부모의 동의 절차, 아동의 최선의 이익 보장과 관련된 아동 권리 보호, gNBS 결과 전달 시 임상적 의의 불확실성 변이(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와 위양성(false negative) 또는 위음성(false negatives) 발생에 따른 심리사회적 영향, gNBS 검사 대상 질환의 선정 기준 및 검사 표준화 문제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된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 국가에서는 gNBS와 관련한 법·윤리적 쟁점을 극복하고, 의료제도 및 사회제도의 특성에 따라 국가 또는 민간 주도로 gNBS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gNBS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 우리 의료현장에 gNBS 도입 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으로 1) gNBS 질환 선별 기준의 마련, 2) 표준 동의 체계의 구축, 3) 인공지능과 전문가가 협업하는 진단 및 진료 체계의 구축, 4) gNBS 거버넌스 및 감독 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gNBS가 공중보건에서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수성뿐만 아니라 윤리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 전문가, 법조인, 윤리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전문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번역하기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의 발전은 유전체 기반 신생아 선별검사(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의 가능성을 열었으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필...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의 발전은 유전체 기반 신생아 선별검사(genomic Newborn Screening, gNBS)의 가능성을 열었으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gNBS는 희귀 유전 질환에 대한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혁신적 의료기술이지만, 기존 신생아 선별검사(Newborn Screening Test, NST)에 비해 검사 대상 및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개인 민감정보로서 유전정보 보호의 문제, 신생아의 최선의 이익을 위한 대리인으로서 부모의 동의 절차, 아동의 최선의 이익 보장과 관련된 아동 권리 보호, gNBS 결과 전달 시 임상적 의의 불확실성 변이(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와 위양성(false negative) 또는 위음성(false negatives) 발생에 따른 심리사회적 영향, gNBS 검사 대상 질환의 선정 기준 및 검사 표준화 문제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된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 국가에서는 gNBS와 관련한 법·윤리적 쟁점을 극복하고, 의료제도 및 사회제도의 특성에 따라 국가 또는 민간 주도로 gNBS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gNBS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 우리 의료현장에 gNBS 도입 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으로 1) gNBS 질환 선별 기준의 마련, 2) 표준 동의 체계의 구축, 3) 인공지능과 전문가가 협업하는 진단 및 진료 체계의 구축, 4) gNBS 거버넌스 및 감독 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gNBS가 공중보건에서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수성뿐만 아니라 윤리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 전문가, 법조인, 윤리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전문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