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경쟁력이자 능력으로까지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외모를 가꾸는 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다른 세대보다 외모에 관심이 많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경쟁력이자 능력으로까지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외모를 가꾸는 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다른 세대보다 외모에 관심이 많고 ...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경쟁력이자 능력으로까지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외모를 가꾸는 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다른 세대보다 외모에 관심이 많고 사회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를 갖기를 희망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원지역 여고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바디이미지 및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창원지역에 거주하는 378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2024년 5월에 실시되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F검정, Duncan검정,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원지역 여고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은 유행지향, 연예계지향, 독립지향, 온라인활동지향, 적극적소통지향, 교제지향의 6개 차원으로 이루어졌다. 창원지역 여고생소비자의 바디이미지에 대한 요인은 외모지향, 외모만족, 체중관심의 3개 차원으로 이루어졌고, 창원지역여고생 소비자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요인은 성형수술, 체형, 패션, 건강, 헤어, 피부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창원지역 여고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바디이미지, 외모관리행동은 학년, 한 달 평균 용돈, 성적, 가정 경제 수준, 키, 체중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 한 달 평균 용돈은 라이프스타일, 바디이미지, 외모관리행동 모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므로 여고생의 용돈 규모는 그들이 지향하는 삶과 외적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데 연관이 많을 것으로보여 진다. 창원지역 여고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바디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라이프스타일의 유행지향은 외모관리행동의 건강 요인을 제외한 모든요인에서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나 두드러진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소비자 집단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지역 상권과 관련업계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society, appearance is a means of judging an individual’s competitiveness and even ability, so a lot of investment is made in cultivating one’s appearance. In particular, adolescents are more interested in appearance than other generatio...
In modern society, appearance is a means of judging an individual’s competitiveness and even ability, so a lot of investment is made in cultivating one’s appearance. In particular, adolescents are more interested in appearance than other generations and hope to have a socially preferred image, but research on this is lacking, and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analyzing local adolesc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high school female consumers in Changwon a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May 2024 targeting 378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Changwon area,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F-test, Duncan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related to the lifestyl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angwon area consisted of six dimensions: trend orientation, entertainment orientation, independence orientation, online activity orientation, active communication orientation, and social orientation. The factors for the body image of female high school consumers in the Changwon area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appearance orienta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weight concern. The factors for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consumers in the Changwon area consisted of six dimensions: plastic surgery, body type, fashion, health, hair, and skin. The lifestyle,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consumers in the Changwon area were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grade, average monthly allowance, grades, household economic level, height, and weight.
Among these,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lifestyle,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o the amount of allowance of female high school consumer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improving their desired life and external image. The lifestyle of female high school consumers in the Changwon area was shown to be a variable that partially affected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mong them, the trend orientation of lifestyle was shown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in all factors except the health 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dicating that it was a prominent influential factor. These research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to help understand the youth consumer group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local commercial districts and related industries.
핀테크 서비스에 있어서 MZ세대의 신뢰 요인과 지속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고립ㆍ은둔 청년의 정신건강과 일상 회복을 위한 서비스 제안
골프공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수발자의 효율적인 케어을 돕는 AI 기반 돌봄 서비스 제안 -주수발자의 돌봄 부담 스트레스 완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