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노경희, "초등영어교사 제스처의 기능과 학습자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19-143, 2011
3 이종희,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145-166, 2012
4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4
5 이모영,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0
6 Mead, G, "정신·자아·사회" 한길사 2010
7 Tomasello. M.,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인간" 이음 2011
8 서덕렬,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 기호" 프랑스학회 27 : 113-131, 2003
9 윤성노, "언어 진화에 대한 기호-인식론적 소고" 한국기호학회 40 : 207-232, 2014
10 조규락,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89-118, 2015
1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노경희, "초등영어교사 제스처의 기능과 학습자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19-143, 2011
3 이종희,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145-166, 2012
4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4
5 이모영,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0
6 Mead, G, "정신·자아·사회" 한길사 2010
7 Tomasello. M.,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인간" 이음 2011
8 서덕렬,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 기호" 프랑스학회 27 : 113-131, 2003
9 윤성노, "언어 진화에 대한 기호-인식론적 소고" 한국기호학회 40 : 207-232, 2014
10 조규락,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89-118, 2015
11 김기화,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65-274, 2012
12 한정선, "메를로-퐁티의 언어를 탄생시키는 몸의 운동성과 암묵적 코기토: 그륀바움과 베르너를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63) : 65-96, 2014
13 박신화, "메를로-퐁티의 언어 이론과 철학 개념" 철학사상연구소 (51) : 227-259, 2014
14 김은경, "마르그리트 뒤라스 작품에 나타난 신체언어, 제스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7) : 311-330, 2008
15 이경탁,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69-87, 2011
16 김용수, "기호로서의 신체적 연기: 그것의 연극적 특성과 인지과학적 원리" 한국연극학회 1 (1): 271-318, 2014
17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61-282, 2011
18 Fischer-Lichte, E., "The Semiotics of Theater"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9 Wulf, Ch, "Anthropology: A Continent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