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스처에 대한 교육이론적 고찰 = An Educ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Ges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expression of gestures, nonverbal factor of human, in educational space and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Gestures mean symbolic system of meaning conveyance, such as body languages and linguistic signs, beyond the simple artistic performance. The meaning is an interesting mechanism which can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Various nonverbal factor gestures can be classified as gestures of body language and language act, the process of the meaning conveyance system can be considered concretely and nonverbal factor phenomenon conducted simply in human behavior can be deeply examined. Therefore, it's possible to explain the meaning of gesture as cognitive process b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Merleau-Ponty and Mead. Merleau-Ponty emphasizes that gestures are human's sourceful expression tool while body cognizes and signifies the world. In addition, Mead interprets gestures from an angle of social behaviorism and insists gestures mean languages of various sectors including broad cultural activities conducted by human rather than linguistic structure. Therefore, he explains gestures are an important mechanism in social correlations of human. The meaning of gestures was analyzed by those angles. As a result, gestures are an important topic for meaning conveyance system and cognition extension from an angle of educational act and furthermor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and changed to more effective class model through the gestures which are a nonverbal factor.
      번역하기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expression of gestures, nonverbal factor of human, in educational space and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Gestures mean symbolic system of meaning conveyance, such as body languages and linguist...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expression of gestures, nonverbal factor of human, in educational space and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Gestures mean symbolic system of meaning conveyance, such as body languages and linguistic signs, beyond the simple artistic performance. The meaning is an interesting mechanism which can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Various nonverbal factor gestures can be classified as gestures of body language and language act, the process of the meaning conveyance system can be considered concretely and nonverbal factor phenomenon conducted simply in human behavior can be deeply examined. Therefore, it's possible to explain the meaning of gesture as cognitive process b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Merleau-Ponty and Mead. Merleau-Ponty emphasizes that gestures are human's sourceful expression tool while body cognizes and signifies the world. In addition, Mead interprets gestures from an angle of social behaviorism and insists gestures mean languages of various sectors including broad cultural activities conducted by human rather than linguistic structure. Therefore, he explains gestures are an important mechanism in social correlations of human. The meaning of gestures was analyzed by those angles. As a result, gestures are an important topic for meaning conveyance system and cognition extension from an angle of educational act and furthermor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and changed to more effective class model through the gestures which are a nonverbal fa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비언어적인 요소인 제스처가 교육공간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스처의 의미가 단순히 예술적인 퍼포먼스를 넘어서 신체언어, 언어 기호체계와 같은 상징적인 의미전달 체계로서 그 의미는 다양한 관점에서 드려다 볼 수 있는 흥미로운 기제 이다.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들 제스처는 신체언어와 언어행위로서 제스처로 구분하여 그 의미 전달체계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인간 행위에서 단순하게 행해지는 비언어적 요소 현상을 심도 깊게 드려다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인지과정으로서 제스처의 의미를 Merleau-Ponty와 Mead의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Merleau-Ponty는 몸이 세계를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 과정에서 제스처는 인간의 근원적인 표현도구라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Mead는 제스처의 의미를 언어의 구조보다 인간이 행하는 폭 넓은 문화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 안에 스며들어있는 언어의 의미로서 사회 행동주의적 관점으로 제스처를 해석한다. 따라서 제스처의 의미가 인간의 사회적 상호관계에서 중요한 기제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관점들로 제스처의미를 분석한 결과 교육행위관점에서 제스처는 의미전달체계와 인식확장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며 나아가 교수자와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비언어적인 요소인 즉, 제스처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수업 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변화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간의 비언어적인 요소인 제스처가 교육공간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스처의 의미가 ...

      본 연구는 인간의 비언어적인 요소인 제스처가 교육공간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스처의 의미가 단순히 예술적인 퍼포먼스를 넘어서 신체언어, 언어 기호체계와 같은 상징적인 의미전달 체계로서 그 의미는 다양한 관점에서 드려다 볼 수 있는 흥미로운 기제 이다.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들 제스처는 신체언어와 언어행위로서 제스처로 구분하여 그 의미 전달체계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인간 행위에서 단순하게 행해지는 비언어적 요소 현상을 심도 깊게 드려다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인지과정으로서 제스처의 의미를 Merleau-Ponty와 Mead의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Merleau-Ponty는 몸이 세계를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 과정에서 제스처는 인간의 근원적인 표현도구라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Mead는 제스처의 의미를 언어의 구조보다 인간이 행하는 폭 넓은 문화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 안에 스며들어있는 언어의 의미로서 사회 행동주의적 관점으로 제스처를 해석한다. 따라서 제스처의 의미가 인간의 사회적 상호관계에서 중요한 기제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관점들로 제스처의미를 분석한 결과 교육행위관점에서 제스처는 의미전달체계와 인식확장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며 나아가 교수자와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비언어적인 요소인 즉, 제스처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수업 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변화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노경희, "초등영어교사 제스처의 기능과 학습자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19-143, 2011

      3 이종희,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145-166, 2012

      4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4

      5 이모영,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0

      6 Mead, G, "정신·자아·사회" 한길사 2010

      7 Tomasello. M.,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인간" 이음 2011

      8 서덕렬,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 기호" 프랑스학회 27 : 113-131, 2003

      9 윤성노, "언어 진화에 대한 기호-인식론적 소고" 한국기호학회 40 : 207-232, 2014

      10 조규락,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89-118, 2015

      1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노경희, "초등영어교사 제스처의 기능과 학습자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19-143, 2011

      3 이종희,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145-166, 2012

      4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4

      5 이모영,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0

      6 Mead, G, "정신·자아·사회" 한길사 2010

      7 Tomasello. M.,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인간" 이음 2011

      8 서덕렬,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 기호" 프랑스학회 27 : 113-131, 2003

      9 윤성노, "언어 진화에 대한 기호-인식론적 소고" 한국기호학회 40 : 207-232, 2014

      10 조규락,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89-118, 2015

      11 김기화,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65-274, 2012

      12 한정선, "메를로-퐁티의 언어를 탄생시키는 몸의 운동성과 암묵적 코기토: 그륀바움과 베르너를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63) : 65-96, 2014

      13 박신화, "메를로-퐁티의 언어 이론과 철학 개념" 철학사상연구소 (51) : 227-259, 2014

      14 김은경, "마르그리트 뒤라스 작품에 나타난 신체언어, 제스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7) : 311-330, 2008

      15 이경탁,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69-87, 2011

      16 김용수, "기호로서의 신체적 연기: 그것의 연극적 특성과 인지과학적 원리" 한국연극학회 1 (1): 271-318, 2014

      17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61-282, 2011

      18 Fischer-Lichte, E., "The Semiotics of Theater"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9 Wulf, Ch, "Anthropology: A Continent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