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트버스 프로젝트, 오! 재미’에 참여한 작가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visit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artists in ‘the Art Bus Project, Oh! Jam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visit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For this purpose, the written interviews and the additional oral interviews, those of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Bus Project Oh! Jamee', were analyzed. Fifty artists were participated in 60 regular programs and several camp programs from 2009 to 2015, and wrote the reviews of engagement. The five components and 17 sub-components were derived from analysis of the interviews. Getting significance meaning of visiting art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siting art education increase th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children's art. Secondly, visiting art education provides a differentiated experience with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at schools. Third, visiting art education can enhance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 Fourth, visiting art education can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Fifth, visiting art education provides an experience that you can feel the children themselves as subjects of life. Finally, when we continue to compensate with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art education and to support for visiting art education, children could experience this new alternative art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visit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For this purpose, the written interviews and the additional oral interviews, those of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Bus Project O...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visit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For this purpose, the written interviews and the additional oral interviews, those of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Bus Project Oh! Jamee', were analyzed. Fifty artists were participated in 60 regular programs and several camp programs from 2009 to 2015, and wrote the reviews of engagement. The five components and 17 sub-components were derived from analysis of the interviews. Getting significance meaning of visiting art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siting art education increase th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children's art. Secondly, visiting art education provides a differentiated experience with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at schools. Third, visiting art education can enhance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 Fourth, visiting art education can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Fifth, visiting art education provides an experience that you can feel the children themselves as subjects of life. Finally, when we continue to compensate with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art education and to support for visiting art education, children could experience this new alternative art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작가가 직접 찾아가는 프로젝트 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트버스 프로젝트, 오! 재미’의 60개 정규프로그램과 단회모임 또는 캠프의 형식을 취한 특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 50명의 참여후기로 수집한 서면인터뷰와 보충적인 구두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작가가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아동의 미술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미술교육과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사고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이 스스로를 삶의 주체로 느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논의에서는 작가가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지속수행과 성과를 위해 해결해야하는 문제들과 지원의 필요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작가가 직접 찾아가는 프로젝트 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트버...

      본 연구는 작가가 직접 찾아가는 프로젝트 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트버스 프로젝트, 오! 재미’의 60개 정규프로그램과 단회모임 또는 캠프의 형식을 취한 특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 50명의 참여후기로 수집한 서면인터뷰와 보충적인 구두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작가가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의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아동의 미술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미술교육과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사고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이 스스로를 삶의 주체로 느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논의에서는 작가가 찾아가는 미술교육의 지속수행과 성과를 위해 해결해야하는 문제들과 지원의 필요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2 김지영, "현대 미술을 적용한 표현 중심의 통합적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중등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이지영, "찾아가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강윤정,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 영은미술관의 작가참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45) : 1-35, 2013

      5 박라미, "자기교육으로서 삶을 향한 미술교육 소고" 한국조형교육학회 (48) : 129-148, 2013

      6 김지혜, "심미적 교육을 위한 미적체험의 미학적 고찰과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7 최종혁,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질적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1-316, 2010

      8 홍석주,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14

      9 김인나,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교육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qualitative research" 28 (28): 235-261, 1997

      1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2 김지영, "현대 미술을 적용한 표현 중심의 통합적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중등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이지영, "찾아가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강윤정,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 영은미술관의 작가참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45) : 1-35, 2013

      5 박라미, "자기교육으로서 삶을 향한 미술교육 소고" 한국조형교육학회 (48) : 129-148, 2013

      6 김지혜, "심미적 교육을 위한 미적체험의 미학적 고찰과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7 최종혁,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질적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1-316, 2010

      8 홍석주,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14

      9 김인나,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교육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qualitative research" 28 (28): 235-261, 1997

      11 Henry, C., "The museum experience: The discovery of meaning"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2010

      12 Giorgi, A, "Qualitative psychology: A practical guide to research methods" Saga Publications 26-520, 2003

      13 최혜경, "'참여'와 '소통'을 위한 미술관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 현대미술작가와 함께하는 어린이아트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