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의 법리 = A Legal Theory of Claim for Damages on the Soil Pollution Damag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학계와 실무계에서 공히 법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토양오염피해의 문제인데,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해로운 각종 물질이 누적됨으로써 토양 본래 상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

      최근 학계와 실무계에서 공히 법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토양오염피해의 문제인데,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해로운 각종 물질이 누적됨으로써 토양 본래 상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것이다. 토양오염을 통한 토양오염피해는 토양 자 체의 피해와 그로 인한 2차적 생명, 신체, 재산상의 피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토양오염피해의 손해배상청구는 기본적으로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법리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먼저 피해자는 민법 제750조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즉 피해자는 일반불법행위의 요건을 증명하여 발생한 피해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민법 제750조에 기하여 손해배 상을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고의 · 과실, 가해행위의 위법성, 가해행위와 손해발생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피해자가 이를 모두 증명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는 것은 피해자보호에 한계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학설과 판례에서는 피해자 보호를 위하여 가해자의 고의 · 과실의 증명에서예견가능성설을 인정하거나 인과관계의 증명에서 개연성설을 취하는 등 특수한법리를 전개하고 있다. 둘째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민법 제758조의 공작물책임에 관한 규정도 손해배상청구권의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토양오염을 유발하는오염물질의 상당 부분이 기업설비 등의 공작물에서부터 비롯되므로 공작물책임 은 중요한 책임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최근의 우리 판례에서도 공작물책임에 근거하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예가 있다. 셋째로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가 환경오염에 대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의 효력 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고, 이 규정을 정책선언적 규정으로 본다면 이 규정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넷째로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1항은 “토양오염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에 해당 오염원인자는 그 피해를 배상하고 오염토양을 정화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서 토양오염피해에 대하여 원인자의 무과실책임과 정화책임을 규 정하고 있다.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에 의한 오염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의 규정은 피해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구제수단이 될 수 있다. 즉 토양오염으로 인한 피해자는 가해행위와 토양오염손해 사이의 인과관계만을 증명함으로써, 피해의 배 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as legal issue in both academic and executive circles is the problem of soil pollution. Soil pollution means losing function of soil’s original state as variou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for soil become accumulat...

      What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as legal issue in both academic and executive circles is the problem of soil pollution. Soil pollution means losing function of soil’s original state as variou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for soil become accumulated. The soil pollution damage through soi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damage of soil itself and the secondary damage of life, physical body and property due to such damage. The claim for damages on such soil pollution damage can only be solved with the legal theory on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the civil lawsuit. In case soil pollution has occurred, first of all, the sufferer may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illeg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n other words, the sufferer may claim for damages on the occurred damage by proving the conditions of general illegal activities. But in order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pursuant to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the sufferer has to prove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illegality of harmful act 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act and occurrence of damage. Accordingly, the sufferer claiming compensation for damages by proving all these things reveal limitations on the protection of sufferer. Therefore, a special legal theory is being developed in proving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or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protect the sufferer in theories and legal precedents. In cas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liability of structure in the Article 758 of the Civil Code also can be the legal ground of claim for compensation of damages. That is because the liability of structure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liability basis as considerable portion of contaminants causing soil pollution originates from structures such as corporate equipments. Even in our recent legal precedents, there is an example of acknowledg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liability on the soil pollution damage based on the liability of structure. As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provid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ne would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in case th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But there is controversy on the effect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and one would not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if this provision is seen as a policy declaration oriented provision. As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Paragraph 1 provides that “When there has been a damage due to soil pollution, the applicable polluter must compensate the damages and purify the contaminated soil”, the strict liability and liability of purification are provided on the soil contamination damages. The strict liability provision of polluter in accordance with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can become very useful means for the sufferer.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the sufferer from soil pollution is able to receive compensation of damage by proving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ful act and the soil pollution dam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 들어가며
      • ll. 일반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 lll. 공작물책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lV.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V.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3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l. 들어가며
      • ll. 일반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 lll. 공작물책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lV.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V.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3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 Vl. 마치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노일, "환경피해구제제도에 대한 법제적 검토" 국회사무처 법제실 2002

      2 연화준, "환경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충북개발연구원 14 (14): 2003

      3 전경운,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에 의한 무과실책임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 환경정책기본법의 개정안 제44조와 관련하여-" 한국환경법학회 31 (31): 319-347, 2009

      4 김홍균, "환경정책기본법 개정방향" 한국환경법학회 23 (23): 2001

      5 환경부, "환경오염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안 - 공청회 자료집"

      6 구연창, "환경오염의 사법적 구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1981

      7 안법영, "환경오염의 법적구제와 개선책" 한림과학원 1996

      8 최상호, "환경오염에 대한 민사책임"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9 권오승, "환경소송의 효용과 한계, In 민법학논총 제2권- 후암 곽윤직선생 고희기념" 박영사 1995

      10 오석락, "환경소송의 제문제" 삼영사 1996

      1 박노일, "환경피해구제제도에 대한 법제적 검토" 국회사무처 법제실 2002

      2 연화준, "환경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충북개발연구원 14 (14): 2003

      3 전경운,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에 의한 무과실책임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 환경정책기본법의 개정안 제44조와 관련하여-" 한국환경법학회 31 (31): 319-347, 2009

      4 김홍균, "환경정책기본법 개정방향" 한국환경법학회 23 (23): 2001

      5 환경부, "환경오염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안 - 공청회 자료집"

      6 구연창, "환경오염의 사법적 구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1981

      7 안법영, "환경오염의 법적구제와 개선책" 한림과학원 1996

      8 최상호, "환경오염에 대한 민사책임"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9 권오승, "환경소송의 효용과 한계, In 민법학논총 제2권- 후암 곽윤직선생 고희기념" 박영사 1995

      10 오석락, "환경소송의 제문제" 삼영사 1996

      11 조은래, "환경소송에 있어서의 인과관계론에 대한 고찰, In 이종상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문양사 1994

      12 전경운, "환경사법론" 집문당 2009

      13 이재협, "환경분쟁과 협상" 경희법학연구소 36 (36): 2001

      14 구연창, "환경법론" 법문사 1993

      15 이상규, "환경법론" 법문사 1998

      16 김홍균, "환경법" 홍문사 2010

      17 박균성, "환경법" 박영사 2010

      18 환경부, "환경백서" 2010

      19 박종원,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토양정화책임조항 입법론" 비교법학연구소 10 : 105-159, 2013

      20 안경희, "토지 소유자 상태책임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대한 민사법적 평가와 향후 전망" 비교법학연구소 10 : 23-57, 2013

      21 조홍식, "토양환경침해에 관한 법적 책임" 한국환경법학회 20 : 1998

      22 조은래, "토양환경의 보전과 책임" 한국토지법학회 28 (28): 209-234, 2012

      23 한상운, "토양환경보전법상의 무과실책임의 원인자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과 향후 전망" 비교법학연구소 10 : 1-22, 2013

      24 조은래, "토양오염의 피해에 대한 책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0 (10): 1-9, 2005

      25 김현준, "토양오염으로 인한 정화책임과 손해배상책임 -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토지법학회 28 (28): 173-207, 2012

      26 이은영, "채권각론" 박영사 2005

      27 이은영, "채권각론" 박영사 1995

      28 김상용, "채권각론" 화산미디어 2009

      29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02

      30 양창수, "자연력이 가공한 손해발생과 손해배상책임" 국가고시학회 1986

      31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09

      32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3

      33 김형석, "민사적 환경책임" 법학연구소 52 (52): 205-246, 2011

      34 지원림, "민법강의 제11판" 홍문사 2013

      35 강운산, "미국의 토양오염지역의 재개발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39 (39): 2004

      36 김홍균, "미국 종합환경대응책임법(CERCLA)상의 책임당사자와 토양환경보전법상의 오염원인자" 한국환경법학회 24 (24): 2009

      37 권용우, "광해배상책임의 법리, In 손해배상법의 문제점" 박영사 1990

      38 전경운, "광해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센터 (2) : 2002

      39 구연창, "공해와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동향, In 민사법과 환경법의 제문제 - 송헌 안이준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86

      40 전경운, "環境侵害被害의 私法上 救濟法理" 한국환경법학회 25 (25): 14-390, 2003

      41 김제완, "權利行使期間에 관한 爭點과 民法改正 方案 - 소멸시효 관련 논의에 부수하여 -" 한국민사법학회 50 : 35-121, 2010

      42 김현준, "土壤淨化責任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공법학회 34 (34): 187-211, 2005

      43 Rolf Schmidt, "Schuldrecht Besonderer Teil Ⅱ" 2009

      44 Klaus Vieweg, "Sachenrecht, 4. Aufl" 2010

      45 Karl Larenz, "Lehrbuch des Schuldrechts Besonderer Teil, Bd. Ⅱ, 13. Aufl" 1994

      46 Hein Kötz, "Deliktsrecht, 6. Aufl" 1993

      47 Hans Brox, "Besonderes Schuldrecht, 34. Aufl" 2010

      48 Volker Emmerich, "BGB-Schuldrecht Besonderer Teil, 11. Aufl"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1.23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