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883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f God Centered Healing Preaching

      • 형태사항

        III, 70 p.: 차트; 26cm

      • 일반주기명

        총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창훈
        국문 및 영문 초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4-20000017749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원리에 입각해 치유 설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현대 사회는 수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마치 온 세상이 거대한 종합병원이 된 것 같은 상황이다. 심지어는 청중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말씀으로 돌보는 역할을 해야 할 목회자들마저 목회 현장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마음의 상처로 인해서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그런 상황에서 교회에는 심리학과 인본적 상담학이 은연 중에 스며들어와 마치 그것이 성경적인 방법인 것처럼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그래서 치유 설교를 하는 목회자들도 본인의 설교 가운데 인본적인 심리학적 전제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강의하듯 설교하는 설교자들도 많은 현실이다. 설교자들에게 조차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런 현실들을 다루고 치유의 정의는 인본적 심리학에서 말하는 마음의 웰빙의 상태가 아니라 영과 마음과 몸의 온전함이라는 것을 말하고, 하나님 중심적 치유 설교란 “성경으로부터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여, 이 시대의 청중들의 아픔과 삶에 하나님의 뜻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하나님을 만나게 함으로써 청중들의 삶이 성령의 능력으로 전인적으로 회복되고 치유되도록 하는 설교”라는 것을 논증한다.
      그리고 치유설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을 일곱 가지의 방법으로 논한다. 청중들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을 설교의 진입구로 삼아야 한다는 진입구 전략, 상대주의와 개인주의가 팽배한 포스트모던 사회의 청중들에 대한 하나님 중심적 청중 분석 방법, 설교 가운데 청중들로 하여금 설교자와 함께 동질감을 느끼게 만드는 동일시 전략, 본문과 상황에 대한 이매지네이션과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하는 외현화 전략, 현재의 상처와 아픔에 대해서 성경적인 대안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하나님 중심적 재저술, 치유 설교에서의 효과적인 전달을 도모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모든 노력 위에 모든 것인 성령의 역사를 기대하는 것 등에 대해서 논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약하나마 하나님 중심적 치유 설교의 가이드 라인이 제시되고, 치유 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들에게 도움이 되어 청중들의 삶이 회복되고 치유되는 은혜가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원리에 입각해 치유 설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현대 사회는 수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마치 온 ...

      본 연구는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원리에 입각해 치유 설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현대 사회는 수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마치 온 세상이 거대한 종합병원이 된 것 같은 상황이다. 심지어는 청중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말씀으로 돌보는 역할을 해야 할 목회자들마저 목회 현장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마음의 상처로 인해서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그런 상황에서 교회에는 심리학과 인본적 상담학이 은연 중에 스며들어와 마치 그것이 성경적인 방법인 것처럼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그래서 치유 설교를 하는 목회자들도 본인의 설교 가운데 인본적인 심리학적 전제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강의하듯 설교하는 설교자들도 많은 현실이다. 설교자들에게 조차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런 현실들을 다루고 치유의 정의는 인본적 심리학에서 말하는 마음의 웰빙의 상태가 아니라 영과 마음과 몸의 온전함이라는 것을 말하고, 하나님 중심적 치유 설교란 “성경으로부터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여, 이 시대의 청중들의 아픔과 삶에 하나님의 뜻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하나님을 만나게 함으로써 청중들의 삶이 성령의 능력으로 전인적으로 회복되고 치유되도록 하는 설교”라는 것을 논증한다.
      그리고 치유설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을 일곱 가지의 방법으로 논한다. 청중들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을 설교의 진입구로 삼아야 한다는 진입구 전략, 상대주의와 개인주의가 팽배한 포스트모던 사회의 청중들에 대한 하나님 중심적 청중 분석 방법, 설교 가운데 청중들로 하여금 설교자와 함께 동질감을 느끼게 만드는 동일시 전략, 본문과 상황에 대한 이매지네이션과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하는 외현화 전략, 현재의 상처와 아픔에 대해서 성경적인 대안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하나님 중심적 재저술, 치유 설교에서의 효과적인 전달을 도모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모든 노력 위에 모든 것인 성령의 역사를 기대하는 것 등에 대해서 논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약하나마 하나님 중심적 치유 설교의 가이드 라인이 제시되고, 치유 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들에게 도움이 되어 청중들의 삶이 회복되고 치유되는 은혜가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how sermons for healing should be delivered in light of the principles that define what makes a sermon God-centered. Modern society is full of people with wounds deep in their heart. It is as if the whole world is a hospital. Even pastors, who tend to the congregation with God's words and heal their wounds, suffer from the stress from work and sustain wounds to their heart. Under these circumstances, secular psychology and humanistic counseling have penetrated the Christian church, disguised as scriptural and accepted without check.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many preachers who have accepted the logic of humanistic psychology into their sermons for healing and deliver them as if they are lecturing because they do not have clear guidelines to which refer. paper seeks to touch upon the reality mentioned above and explore that healing is not about achieving a wellness of mind, as argued by humanistic psychology, but about the wholeness of the spirit, mind and body. The paper will look at what constitutes God-centered sermons for healing to prove that they are meant to "find the will of God in the Bible, deliver the message of God effectively to those suffering in life, help people meet God and experience the holistic healing in life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methods are proposed for healing messages: i) the entrance strategy that urges pastors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ngregation and use them to introduce the congregation to the sermon; ii) God-centered analysis of congregation in the post-modern society where relativism and individualism are rampant; iii) the identification strategy to ensure that the congregation sympathize with the preacher with the sermon; iv) the externalization strategy for the imagination of circumstances and the exposure of wounds for healing; v) God-centered re-writing of stories about the current suffering and pain that are scriptural; vi) the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effective delivery of healing messages; and vii)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to work over all such endeavor.
      It is my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though incomplete it may be, for God-centered sermons for healing and enables preachers to deliver healing messages to help the congregation restore life and enjoy the blessing of healing.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how sermons for healing should be delivered in light of the principles that define what makes a sermon God-centered. Modern society is full of people with wounds deep in their heart. It is as if the whole world is a hospital. Eve...

      This study focuses on how sermons for healing should be delivered in light of the principles that define what makes a sermon God-centered. Modern society is full of people with wounds deep in their heart. It is as if the whole world is a hospital. Even pastors, who tend to the congregation with God's words and heal their wounds, suffer from the stress from work and sustain wounds to their heart. Under these circumstances, secular psychology and humanistic counseling have penetrated the Christian church, disguised as scriptural and accepted without check.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many preachers who have accepted the logic of humanistic psychology into their sermons for healing and deliver them as if they are lecturing because they do not have clear guidelines to which refer. paper seeks to touch upon the reality mentioned above and explore that healing is not about achieving a wellness of mind, as argued by humanistic psychology, but about the wholeness of the spirit, mind and body. The paper will look at what constitutes God-centered sermons for healing to prove that they are meant to "find the will of God in the Bible, deliver the message of God effectively to those suffering in life, help people meet God and experience the holistic healing in life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methods are proposed for healing messages: i) the entrance strategy that urges pastors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ngregation and use them to introduce the congregation to the sermon; ii) God-centered analysis of congregation in the post-modern society where relativism and individualism are rampant; iii) the identification strategy to ensure that the congregation sympathize with the preacher with the sermon; iv) the externalization strategy for the imagination of circumstances and the exposure of wounds for healing; v) God-centered re-writing of stories about the current suffering and pain that are scriptural; vi) the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effective delivery of healing messages; and vii)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to work over all such endeavor.
      It is my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though incomplete it may be, for God-centered sermons for healing and enables preachers to deliver healing messages to help the congregation restore life and enjoy the blessing of heal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연구의 필요성 1
      • 1. 현대 사회의 특징1
      • 2. 치유설교자 훈련의 필요성5
      • 목 차
      • I. 연구의 필요성 1
      • 1. 현대 사회의 특징1
      • 2. 치유설교자 훈련의 필요성5
      • II.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의 이해 10
      • 1. 치유의 정의 10
      • 2. 치유설교의 역사 11
      • 3.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의 정의13
      • III.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의 방법론 18
      • 1. 치유설교의 진입구 전략 18
      • 2. 치유설교의 하나님 중심적 청중 분석 22
      • 3. 치유설교의 동일시 전략 26
      • 4. 이매지네이션과 상처의 외현화 30
      • 5. 하나님 중심적 재저술 37
      • 6. 치유설교의 커뮤니케이션 42
      • 7. 치유설교의 에너지: 성령의 역사 49
      • Ⅳ. 치유설교의 예시 – 슬픔의 강물 앞에서 (애 3:19-26) 55
      • V. 결론 67
      • 참고문헌 68
      • ABSTRACT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