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령에서 고관절 골절에 영향을 주는 수상전 요인 = The Prefracture Factors on The Hip Fracture in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6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노령에서 고관절골절의 여러 원인적 요인들과 상관관계를 분석, 그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대퇴 고관절 골절로 본원에서 치...

      목 적 : 노령에서 고관절골절의 여러 원인적 요인들과 상관관계를 분석, 그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대퇴 고관절 골절로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중 60세 이상이고 골밀도 검사를 시행받은 158례를 대상으로, 수상전 요인을 나이, 성별, 흡연여부, 비만정도, 골절종류, 수상장소, 다른 이환 질환, 골절전 활동도, 골밀도 검사, 수상당시 바닥의 경도, 수상당시 넘어진 방향, 수상에너지에 따라 대퇴 경부골절과 전자간 골절, 전자간 골절중 안정골절과 불안정 골절로 나눠 비교하였다.
      결 과 : 80세 이상의 군에서 대퇴 전자간 골절이 대퇴 경부 골절에 비해 의미있게 많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잇었으며(p<0.001) 환자의 수상전 활동정도의 비교에서도 활동정도가 낮았던 군에서 대퇴 전자간 골절이 의미있게 많이 발생하였다(p<0.001). 골밀도 검사에 따른 비교에서는 T-score -3.0 이하인 군에서 대퇴 전자간 골절이 많았으며(p<0.005), 수상에너지에 따른 비교에서는 적은 에너지에 의한 골절이 전자간 골절에서 많았다(p<0.05). 대퇴 전자간 골절은 안정 골절과 비안정 골절로 나눈 비교에서는 사회 활동이 어려운 ADL C이하의 군과(p<0.05), 골밀도 T-score -3.0 이하인군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결 론 : 노령에서의 고관절 골절 중 80세 이상의 고령에서, 골밀도 T-score -3.0 이하인 경우, 일상생활 활동정도가 낮은 경우에, 비교적 적은 에너지에 의한 충격시에 대퇴 전자간 골절의 발생이 대퇴 경부 골절에 비해 의미있게 많았고 전자간 골절에서 불안정 골절은 사회활동이 적고 골밀도 T-score -3.0 이하인 경우 많음을 알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We studied the co-relation on the causes of the hip fra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a relevance on the etiological factors as increased incidence according increasing old age.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158 cases that treated on the hip...

      Purpose : We studied the co-relation on the causes of the hip fra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a relevance on the etiological factors as increased incidence according increasing old age.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158 cases that treated on the hip fracture from 2001 Jan. to 2002 May were studied. The parameters were age, gender, smoking, obesity, type of fracture, place of fracture, other comorbidity, activity of daily living, bone marrow densitometry, hardness of floor, orientation, injury energy. And then, w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femur neck fracture and femur intretrochanter fracture and between stable femur intertrochanter fracture and unstable femur intertrochanter fracture.
      Results : The incidence of th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was larger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femoral neck fracture in the older then 80(p<0.001). On the comparison of the pre-fractural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group revealed lower activity had larger incidence of femoral intertrochateric fracture(p<0.001). Also, th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was more larger osteoporosis patient group(p<0.005), and lower energy trauma(p<0.05). In a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21 cases(77.7%) of total 27 cases were belong to the group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below C(p<0.05), 24 cases pf 27 cases were belong to the osteoporosis patient who was estimated below -3.0 on T-score(p<0.001).
      Conclusion : In the hip fracture of the elderly patients, th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is more prevalance ratherthe femoral neck fracture on the cases of older patient more than 80 year-old, lower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lower T-score less than -3.0 on BMD, lower energy trauma. Also, in femur intertrochanter fracture, unstable fracture is more common in low daily activity and owteoporosi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 The Korean Fracture Soci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골절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5 0.21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