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프리카 망명 작가의 불편한 프랑스어 - 몽고 베티의 언어의식 - = Le malaise d’un écrivain africain exilédans la langue française : la conscience linguistique de Mongo Bet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1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카메룬 출신 소설가 몽고 베티가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사용에 대해 쓴 몇 편의 글을 다룬다. 한 세대 앞서 태어난 생고르가 프랑스어권과 ‘프랑스성’을 네그리튀드의 필수...

      이 논문은 카메룬 출신 소설가 몽고 베티가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사용에 대해 쓴 몇 편의 글을 다룬다. 한 세대 앞서 태어난 생고르가 프랑스어권과 ‘프랑스성’을 네그리튀드의 필수적 보완물로 삼았던 것과 달리 몽고 베티는 결코 외래의 언어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않는다. 현지어를 소외시키면서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제하는 정책은 아프리카인의 문화와 정신에 파국적 결과를 가져오며 동시에 프랑스의 신식민주의적 이해관계에 봉사한다. 그러나 몽고 베티는 프랑스어를 즉시, 완전하게 아프리카의 고유 언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언어민족주의적 입장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 화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근대화의 도구이자 문학의 도구로서 프랑스어의 장점을 인정한다. 프랑스어권이라는 허울을 벗어던지고 그 뒤에 숨은 ‘프랑사프리카’의 수탈 체제를 해체하여 민중의 정치·경제적 해방을 완수할 수 있다면 프랑스어도 아프리카의 언어로서 제 몫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고 베티의 이러한 성찰은 일각에서 ‘세계-문학’을 운위하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ser un certain nombre de textes consacrés par le romancier camerounais Mongo Beti au sujet du français en Afrique. Contrairement à Léopold Sédar Senghor, son aîné d’une génération et qui voulait compléter l...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ser un certain nombre de textes consacrés par le romancier camerounais Mongo Beti au sujet du français en Afrique. Contrairement à Léopold Sédar Senghor, son aîné d’une génération et qui voulait compléter la négritude par la francophonie et la francité, Mongo Beti sera à jamais resté suspicieux à l’égard de cette langue exogène. En effet, la politique qui impose le français comme la seule langue officielle au détriment des vernaculaires, risque de produire des ravages dans la culture et la mentalité des Africains, tout en servant les intérêts de la France comme puissance néocoloniale. Ce n’est pourtant pas que Mongo Beti tombe dans un nationalisme linguistique prônant le remplacement immédiat et total du français par les langues autochtones. Il tient compte de l’accroissement des locuteurs du français en Afrique, aussi bien que des avantages que présente cette langue comme outil de modernisation et véhicule de littérature. Si donc les sociétés africaines arrivent à déconstruire le système pillard de la Françafrique et à accomplir l’émancipation politico-économique populaire, le français se débarrassera à son tour du joug de l’impérialisme linguistique pour devenir enfin une langue africaine. Cette réflexion n’a rien perdu de son actualité au moment même où d’aucuns affirment l’avènement de la littérature-mond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