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규정, "법무사", 행정학원론, 1999
2 조항록, "한국어 교육정책론", 한국문화사, 2010
3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 출판사, 2003
4 최봉기, "정책형성과정과 정책변화", 사회과학논총. 제5집, 1987
5 Steiner-Khamsi , G., "New directions in policy borrowing research", 17 , 381 ? 390, 2016
6 Oliver,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16 ( 1 ) : 145-179, 1991
7 김재욱,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외 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Vol.22 No.3, 2013
8 최용기,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세종학당 운영방향", 한국문 법교육학회, 2007
9 이병규,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론 정립을 위한 탐색",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Vol.19. No.3, 2008
10 신희영, "정책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의 방법론적 함의", 한 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4
1 김규정, "법무사", 행정학원론, 1999
2 조항록, "한국어 교육정책론", 한국문화사, 2010
3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 출판사, 2003
4 최봉기, "정책형성과정과 정책변화", 사회과학논총. 제5집, 1987
5 Steiner-Khamsi , G., "New directions in policy borrowing research", 17 , 381 ? 390, 2016
6 Oliver,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16 ( 1 ) : 145-179, 1991
7 김재욱,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외 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Vol.22 No.3, 2013
8 최용기,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세종학당 운영방향", 한국문 법교육학회, 2007
9 이병규,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론 정립을 위한 탐색",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Vol.19. No.3, 2008
10 신희영, "정책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의 방법론적 함의", 한 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4
11 하민철, "조직의 정당성 인식. 프레임 구성. 그리고 성장", 한국조직학회, 5(2), 217-266, 2008
12 박준형,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행정학연구, 24(3), 27-50, 2006
13 채오병, "실증주의에서 실재론으로: 역사연구 논리의 전환", 한국사회학, 41(5), 249-283, 2007
14 성열관,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글로벌 규범과 로컬의 전유", 교육과정연구, 32(3), 21-44, 2014
15 신희영, "행정윤리에 대한 제한적인 윤리적 자연주의 접근", 한국행정학보, 48(3), 2014
16 박은순 , 하태수, "성인지 예산제도 디커플링(decoupling) 영향특 징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9권, 제2호, 2018
17 이지향, "주인의식의 발전을 통해 본 스리랑카 평화교육 분 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 Meyer , J , W & Rowan , B,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83 ( 2 ) :340-363, 1977
19 이우미, "국외 파견 한국어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 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김별희, "학교운영위원회 도입과 정착 과정 분석: 정책차용과 맥락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21 정헌주, "공공외교와 해외 한국어 교육: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 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15
22 김훈호, 최혜림 , 오상은, 신철균 , "대학발전계획에 나타난 비전 과 발전목표의 동형화현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4), 357-393, 2011
23 김휘정,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 부문 조율 기능 확보의 쟁점 과 과제", 문화정책논총. Vol.26. No.1, 2012
24 DiMaggio , Paul J., "Constructing an Organizational Field as A Professional Project US Art Museums 1920-1940", 143 -, 1991
25 성열관, "교육정책 전이 및 차용 연구의 종합적 분석틀에 대한 이론적 고찰", 비교교육연구, 20(2), 1-25, 2010
26 최세경, 현선해, "“ 제도적 동형화와 조직 정당성: 자원의존이론과 제도론의 결합,”", 대한경영학회. 24(2), 1029-1050, 2011
27 정헌주, "한국의 공공외교와 세종학당:2007-2015년 국가별 지정 특징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정치학회보, 2018
28 김선희, "정책변화의 제도적 조건과 메커니즘 분석 - 의료보험 규제 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9 이한별, "한국의 교육훈련 정책차용 메커니즘 연구-일학습병행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0 김 용, "교육과정 정책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제7차 교 육과정 개정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1 장은정, "케냐 보편초등교육 분석: 국가정책 프랙티스에서의 국 제개발원조 의제 영향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2 공병규, "외부로부터의 정책 차용: 보츠와나 기술교육프로그램 의 정책 차용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33 김동수, 차현진, 박상찬,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연구를 중심으로", 인사조 직연구, 25(3), 121-150, 2017
34 강경애, "평생교육기관의 동형화와 탈동형화 현상 분석 연구: 춘천시 소재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5 권영식, "중앙부처의 정책조정에 관한 연구 -정책조정 결과에 대 한 조정 주체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Vol.25 No.1, 2016
36 박은숙, "공공정책의 제도적 동형화와 탈동형화 메커니즘 분석 : 중소기업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지원정책 비교", 경기대학교 정치 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20
37 김정인, "공공기관 인사관리 제도의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과 원 인 분석: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4(2), 1-26, 2017
38 이창길, "세계화 과정에서 정책의 동형화(Isomorphism) 메커니즘 분석 : 인력감축, 정보공개 및 민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6(4), 1-2, 2008
39 변수연, "정책 집행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디커플링 행동 분석: 대학입학사정관제 참여대학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 구. (제36권, 제3호), 2018
40 변지영, "교육공공외교로서 해외 한국어 보급의 국가별 배분 특 징에 대한 연구:2009-2015년 국가별 세종학당 운영 및 신규 지정 수에 대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1 정헌주, "한국 공공외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탐색적 분석: 세 종학당, 공적개발원조,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가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