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시각장애학교 교사 14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천적 지식 내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32851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47(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시각장애학교 교사 14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천적 지식 내용, ...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시각장애학교 교사 14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에 대한 설문지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96개 문항 중에서 26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시각장애 학교 교사의 배경변인별 분석을 위하여 t 또는 F검증하였고, 실천적 지식의 내용, 정향, 구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는 학력과 특수교사 경력 등과 같은 배경변인에 따라 달리 설명 되고 있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 정향, 구조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연구 에서는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은 실천적 지식의 세 양상이 함께 구동되는 구조임을 제안하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영역별에 따른 실천적 지식 척도 타당화의 차이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7-196, 2014
2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3 정은혜,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19-338, 2013
4 박선향,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관계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171-199, 2016
5 최성규,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01-228, 2013
6 이진명,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5
7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8 황순영,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95-209, 2011
9 최윤정,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09-132, 2014
10 류수연, "중도장애 학생과의 직업생활 영역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09-238, 2015
1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영역별에 따른 실천적 지식 척도 타당화의 차이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7-196, 2014
2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3 정은혜,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19-338, 2013
4 박선향,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관계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171-199, 2016
5 최성규,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01-228, 2013
6 이진명,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5
7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8 황순영,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95-209, 2011
9 최윤정,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09-132, 2014
10 류수연, "중도장애 학생과의 직업생활 영역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09-238, 2015
11 이성희,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19-353, 2012
12 박중휘, "시각장애학생의 수월성 교육을 위한 개혁과제" 47-55, 2014
13 김영일, "시각장애학생 교육: 공통 교육과정만으로 충분한가?" 1-7, 2015
14 박순희,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35-164, 2006
15 문성준, "시각장애 교육과정,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아야" 1-4, 2015
16 한혜진,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변화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22-42, 2009
17 안지혜, "보육실습 경험에서 나타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359-389, 2015
18 양수영, "교육실습 연계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177-200, 2013
19 김무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1-49, 2012
20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21 유은정,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971-987, 2010
22 James, S., "Special education teacher knowledge of literacy: An analysis of two preparation program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reading comprehension" University of Kansas 2011
23 Zahle, J., "Practical knowledg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55 (55): 50-65, 2012
24 Nordenstam, T., "Practical knowledge and ethics" 28 (28): 377-382, 2013
25 Boulton-Lewis, G., "Moral and social development :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in the early years" 36 (36): 6-14, 2011
26 Oonk, W., "Enriching practical knowledge : Exploring student teachers' competence in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ing" 46 (46): 559-598, 2015
시각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평정척도의 라쉬 모형 적용 개발
행동주의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 시각장애아동의 가족을 중심으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시각장애 연구의 지적구조 분석
시각장애 연주단체 공연 관람이 경찰공무원의 장애인식과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공연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5-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64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