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313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비협조 운동 중지, 1930년대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1940년대 힌두 무슬림 단합 기도회 등을 분석하여 간디의 사뜨야그리하, 신념, 고집 등의 특성을 고찰했다. 먼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대조개념을 살펴보고 뿌라나문헌에서 정의한 두라그라하의 부정적 고집의 영상을 검토했다. 고전 텍스트가 제시하는 고집과 신념의 의미가 간디의 시대적 사상을 완전히 투영할 수는 없지만, 그의 철학에 바탕이 되는『기따』에서의 고집과 신념의 텍스트적 맥락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922년 2월에 짜우리 짜우리에서 발생한 폭력으로 비협조 운동을 중단시킨 간디의 활동은 대중들에게 비폭력 원칙을 확고히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개심을 목표로 한 사뜨야그라하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32년 불가촉천민의 정치 권리와 관련된 간디의 행위 자체는 사뜨야그라하로 볼 수 있지만, 그 고집의 결과는 구라그라하 성격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47년 4월부터 힌두 사원에서 기도회를 개최하면서 꾸란을 낭송하고 이에 항의하는 사람들에게 나가라고 한 것은, 비록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는 엄격히 보자면 사뜨야그라하의 절차를 외면하고 균형을 잃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위대한 아뜨만'의 성자로 불리는 마하뜨마(Mahatma) 간디는 인도 독립을 최우선의 목표로 설정하면서 인도를 지키고자 노력했다. 본 연구의 간디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선과 철학적 평가는 그의 고집스러운 신념에 대한 임의적 진단일 수 있으나 진리를 추구하고 인도를 위한 것이 무엇인가를 고민했던 한 시대의 성자의 발자취를 따라가고 이를 재발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비협조 운동 중지, 1930년대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1940년대 힌두 무슬림 단합 기도회 등을 분석하여 간디의 사뜨야그리하, 신념, 고집 등의 특성을 고찰했다. 먼...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비협조 운동 중지, 1930년대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1940년대 힌두 무슬림 단합 기도회 등을 분석하여 간디의 사뜨야그리하, 신념, 고집 등의 특성을 고찰했다. 먼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대조개념을 살펴보고 뿌라나문헌에서 정의한 두라그라하의 부정적 고집의 영상을 검토했다. 고전 텍스트가 제시하는 고집과 신념의 의미가 간디의 시대적 사상을 완전히 투영할 수는 없지만, 그의 철학에 바탕이 되는『기따』에서의 고집과 신념의 텍스트적 맥락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922년 2월에 짜우리 짜우리에서 발생한 폭력으로 비협조 운동을 중단시킨 간디의 활동은 대중들에게 비폭력 원칙을 확고히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개심을 목표로 한 사뜨야그라하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32년 불가촉천민의 정치 권리와 관련된 간디의 행위 자체는 사뜨야그라하로 볼 수 있지만, 그 고집의 결과는 구라그라하 성격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47년 4월부터 힌두 사원에서 기도회를 개최하면서 꾸란을 낭송하고 이에 항의하는 사람들에게 나가라고 한 것은, 비록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는 엄격히 보자면 사뜨야그라하의 절차를 외면하고 균형을 잃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위대한 아뜨만'의 성자로 불리는 마하뜨마(Mahatma) 간디는 인도 독립을 최우선의 목표로 설정하면서 인도를 지키고자 노력했다. 본 연구의 간디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선과 철학적 평가는 그의 고집스러운 신념에 대한 임의적 진단일 수 있으나 진리를 추구하고 인도를 위한 것이 무엇인가를 고민했던 한 시대의 성자의 발자취를 따라가고 이를 재발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Gandhi’s characteristics such as Satyāgraha(眞理把持, holding firmly to truth), stubbornness and conviction by analyzing his declaration to suspend the Non-Cooperation Movement in the 1920s, his opposition to separate electorates for Untouchables in the 1930s, and his prayer meetings for Hindu-Muslim unity in the 1940s. Gandhi’s conviction, as reflected in thes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the 1920s, his conviction aligned with the spirit of satyagraha. In the 1930s, regarding the political rights of Untouchables, elements of duragraha began to emerge alongside satyagraha, showing a mix of both stances. By the 1940s, his focus on alleviating Hindu-Muslim tensions resulted in a practical loss of balance between conviction and stubbornness.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philosophical evaluation of Gandhi in this study may be an arbitrary diagnosis of his stubborn beliefs.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rediscovering the footsteps of a saint who sought truth and contemplated what was best for India.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Gandhi’s characteristics such as Satyāgraha(眞理把持, holding firmly to truth), stubbornness and conviction by analyzing his declaration to suspend the Non-Cooperation Movement in the 1920s, his opposition to separate electo...

      This study explores Gandhi’s characteristics such as Satyāgraha(眞理把持, holding firmly to truth), stubbornness and conviction by analyzing his declaration to suspend the Non-Cooperation Movement in the 1920s, his opposition to separate electorates for Untouchables in the 1930s, and his prayer meetings for Hindu-Muslim unity in the 1940s. Gandhi’s conviction, as reflected in thes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the 1920s, his conviction aligned with the spirit of satyagraha. In the 1930s, regarding the political rights of Untouchables, elements of duragraha began to emerge alongside satyagraha, showing a mix of both stances. By the 1940s, his focus on alleviating Hindu-Muslim tensions resulted in a practical loss of balance between conviction and stubbornness.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philosophical evaluation of Gandhi in this study may be an arbitrary diagnosis of his stubborn beliefs.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rediscovering the footsteps of a saint who sought truth and contemplated what was best for Ind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사뜨야그라하에 대한 고집
      • III. 짜우리 짜우라 사건과 사뜨야그라하 중지 선언
      • IV.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 V.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기도회
      • I. 서론
      • II. 사뜨야그라하에 대한 고집
      • III. 짜우리 짜우라 사건과 사뜨야그라하 중지 선언
      • IV.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 V.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기도회
      • VI.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