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Development of the Happines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s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3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에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개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은 크게 세 단계의 절차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였다. 유아교사 행복을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행복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체험·실천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현직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을 보완하였다. 다음 2단계는 1단계에서 진행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요구도조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립된 기본 방향을 기초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3단계는 전 단계에서 개발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 시안으로 유아교사에 게 적용 가능한지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알기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 개발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는 연구문제 1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담임교사 총 30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12차시에 걸쳐 실험집단 교사에게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효과를 면밀하게 검증하기 위해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의 두 측면의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한 측면에서는 양적 측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의 한국판(차경호, 김명소, 김혜원, 2001) 척도를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사용하여 t-Test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 요인을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영역으로 검증한 결과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고,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오히려 효과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프로그램 참여 기간 동안 유치원의 행사와 기관 평가로 인한 업무적인 부담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시행 전반, 중반, 후반의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유아교사 행복에 대한 의미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아교사 행복은 회기 진행에 따라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행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의 행복은 교육과 연습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군인 유아교사의 행복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예비교사 교육이나 현직교사의 재교육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에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에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개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은 크게 세 단계의 절차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였다. 유아교사 행복을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행복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체험·실천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현직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을 보완하였다. 다음 2단계는 1단계에서 진행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요구도조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립된 기본 방향을 기초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3단계는 전 단계에서 개발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 시안으로 유아교사에 게 적용 가능한지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알기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 개발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는 연구문제 1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담임교사 총 30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12차시에 걸쳐 실험집단 교사에게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효과를 면밀하게 검증하기 위해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의 두 측면의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한 측면에서는 양적 측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의 한국판(차경호, 김명소, 김혜원, 2001) 척도를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사용하여 t-Test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 요인을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영역으로 검증한 결과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고,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오히려 효과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프로그램 참여 기간 동안 유치원의 행사와 기관 평가로 인한 업무적인 부담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시행 전반, 중반, 후반의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유아교사 행복에 대한 의미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아교사 행복은 회기 진행에 따라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행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의 행복은 교육과 연습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군인 유아교사의 행복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예비교사 교육이나 현직교사의 재교육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 1. 행복의 개념 9
      • 2. 심리적 안녕감과 행복의 요소 12
      • 3. 유아교사와 행복 19
      • 4. 유아교사 행복관련 선행연구 27
      • Ⅲ.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 개발
      • 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35
      • 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35
      •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37
      • 3)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 협의 53
      • 2. 행복프로그램 시안 구성 75
      •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75
      • 2) 프로그램 내용 78
      • 3)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 85
      • 4) 평가 88
      • 3..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 개발 최종안 91
      • 1) 행복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91
      • 2) 행복프로그램 개발 최종안 92
      • Ⅳ.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 적용효과
      • 1. 연구방법 97
      • 1) 연구대상 98
      • 2) 연구도구 99
      • 3) 연구절차 100
      • 4) 자료분석 102
      • 2. 연구결과 104
      • 1)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104
      • 2) 유아교사의 행복 의미에 대한 변화과정 114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 139
      • 2. 결론 및 제언 151
      • 참고문헌 153
      • 부 록 174
      • Abstract 21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혁준, "유아교사론", 창지사, 서울; 학지사, 2010

      2 최관경, "행복과 교육", 교육사상연구, 12(3), 17-49, 2003

      3 김수향, "유아교육개론", 청목, 경기: 양서원, 2009

      4 이훈구, "행복의 심리학", 서울:법문사, 1998

      5 정동섭, "행복의 심리학",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기독교 상담 학회지, 4, 232-265, 2002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류지한, "서양 고대의 행복 사상", 부산: 동의대학교 문화콘텐츠연구소, 2009

      8 길병휘, 최창우, 최신일, 조용기, 조영남, 이종일, 이원희, 송언근, 송명섭, 송남희, 석문주, 명숙, 김현숙, 김영민, 김상룡, 김만희, "교사교육: 반성 과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null

      9 이경열,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0(22), 1259-1275, 2014

      10 Hoggard, L., "How To Be Happy. (이경아 역)", 서울; 예담, 2005

      1 문혁준, "유아교사론", 창지사, 서울; 학지사, 2010

      2 최관경, "행복과 교육", 교육사상연구, 12(3), 17-49, 2003

      3 김수향, "유아교육개론", 청목, 경기: 양서원, 2009

      4 이훈구, "행복의 심리학", 서울:법문사, 1998

      5 정동섭, "행복의 심리학",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기독교 상담 학회지, 4, 232-265, 2002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류지한, "서양 고대의 행복 사상", 부산: 동의대학교 문화콘텐츠연구소, 2009

      8 길병휘, 최창우, 최신일, 조용기, 조영남, 이종일, 이원희, 송언근, 송명섭, 송남희, 석문주, 명숙, 김현숙, 김영민, 김상룡, 김만희, "교사교육: 반성 과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null

      9 이경열,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0(22), 1259-1275, 2014

      10 Hoggard, L., "How To Be Happy. (이경아 역)", 서울; 예담, 2005

      11 구자영, 서은국, 김진주, "신체적매력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 술대회 자료집, No 1, 2006

      12 김영경, 최명민, 장연집, 이금재, 신경림, 김혜영, 김옥현, 김영혜, "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서울: 현문사, 2004

      13 이임선, "『웃음, 나를 치유하는 힘』", 랜덤하우스코리아, 서울: 랜덤하우스, 2008

      14 이경선, "보육의 질 연구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특수교육 사례연구, 3, 2002

      15 이효숙, "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2015

      16 신지혜, 최혜순,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4(1), 5-28, 2014

      17 방이정, 육근영, 옥정,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3), 2006

      18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이희재 역(2007)", 해냄 출판사, 1997

      19 한성열, "삶의 질과 내재적 동기의 실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 회문제, 2(1), 95-111, 1995

      20 문채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2005

      21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학지사, 2008

      22 양옥경,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No 24, 1994

      23 이경민(Lee Kyeong-Min),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2009

      24 강영하,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1(2). 159-177, 2008

      25 김종백, 김태은,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2(1), 2008

      26 薛耆汶,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동아대학교 학생 생활 연구, 18(2), 45-65, 1990

      27 박정양, 서경현, "대학생의 음악선호와 웰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13(2), 497-511, 2008

      28 황미숙, "유아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29 김은미 ( Eun Mi Kim ), 최명구 ( Myung Goo Choi ),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6(1), 2007

      30 Bryant, Fred B, "인생을 향유하기, 행복 체험의 심리학",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0

      31 이혜영, "행복교육 실현을 위한 학교 모형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3

      32 정종순, "웃음체조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송미선(Song, Mi-Sun),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2014

      34 원지현 ( Ji-hyun Won ), 이순복 ( Soon-bok Lee ),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위덕대학교 일반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35 임영심 ( Young Sim Lim ), 김호 ( Ho Kim ), 유구종 ( Gu Jong Yoo ), "교실이 행복한 관계지향 수업 방법 모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20(1), 2015

      36 김계중, "유아의 행복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접근", 가천대학교 일반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7 김명희, 신화식, "개인생활을 위한 교수전략과 유아의 반응",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발표논문집, No, 2007

      38 권정심, 이정수, 양지애, 양은정, 김성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의 교 육과정 분석",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방과후아동지도연구, 6(1), 2009

      39 강현경, "유아교육분야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89, 1-28, 2014

      40 이경애, 이경민,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육학회, 32(6), 509-523, 2012

      41 김명자, 박성연,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42 Erwin, 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박영신 역(2001)", 서울: 시그마 프레스, 1998

      43 김민정,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련연구 동향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 연구, 33(4), 2015

      44 이미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5 문혜련, 하경용,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치원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 교원교육연구, 26(3), 439-460, 2009

      46 김혜원,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타당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 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No1, 2000

      47 김도란, 김정원,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2008

      48 김유진, 정민정, "장애아동 이용 서비스에 대한 가족의 욕구 조사", 대한아동복지학회, 아 시아아동복지연구, 8(2), 2010

      49 정명자, 최혜순, "보육유아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 국영유아보육학, 88, No, 2014

      50 임영진, "성격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51 박진숙, "행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2 홍종관, "긍정심리학에서 본 행복한 유아교사에 관한 연구", 행복한 부 자연구, 4(1), 1-17, 2015

      53 이순미,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제주대학교 대학원,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4 임승렬 ( Seung Ryoul Lim ), 전방실 ( Bang Sil Jeon ), 김정림 ( Jung Lim Kim ), "영유아교사의 행복 측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8(1), 405∼431, 2014

      55 홍용희, 전우용, 김혜전,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한국육아지원학회, 육아지원연구, 9(4), 131-158, 2014

      56 이경민,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 직무만족, 강점과의 관계성 연구", 유 아교육연구, 29(3), 215-235, 2009

      57 김혜리,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8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9 구재선 ( Jai Sun Koo ), 김의철 ( Ui Chol Kim ),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2(2), 2006

      60 구자영, 서은국,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2007

      61 조진형, "‘행복한 어머니 되기’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62 신지혜,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천대 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63 서혜림, "유아교사용 유아행복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도구", 동의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4 김혜원, 한영석, 차경호, 김명소, 임지영,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8(2), 415-442, 2003

      65 Argyle,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김동기, 이은미 역). 행복심리학", 학지사, 2005

      66 김혜원, 한영석, 김명소, 임지영,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22(2), 2003

      67 김미진, 황해익, 탁정화,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2013

      68 박인숙, 허혜경,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2010

      69 장연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연구", 동 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0 장진우, 이윤주, "대학생을 위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7(2), 121-138, 2009

      71 김주리,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2 탁정화 ( Jeong Hwa Tak ), 강현미 ( Hyun Mi Kang ), 황해익 ( Hae Ik Hwang ),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긍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2014

      73 홍용희, 정미라, 장영희, 이기숙,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이화교육총서, No 2, 2003

      74 Nettle, D., "행복의 심리학. Happiness: the science behind your smile. (김상우 역)", 서울: 와이즈 북, 2006

      75 Lopez, S. J., Snyder, C. R.,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이희경 역(2008). 긍정심리학 핸드북", 서울: 학지사, 2002

      76 김경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7 이정화, "걸음마기 아동의 부모-자녀 관계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가족복지학, 10(2), 2005

      78 김나라,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직무만족도와 유아교사효능감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79 한종화,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전문성 인식이 행복감에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4), 271-287, 2014

      80 서현주, "어린이집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1 김영순, "집단놀이치료가 반항성장애아의 귀인반응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82 구은미,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 관련 변인 분 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83 서현아 ( Hyun Ah Seo ), 오소라 ( So Ra Oh ), 한희정 ( Hee Jung Han ), 하지민 ( Ji Min Ha ),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487-513, 2015

      84 박신영, "유치원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 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5 오소영, 이한우,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자녀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협회, 심리행동연구, 3(1), 2011

      86 최혜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87 하은실, 김미정, 정계숙,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2012

      88 강현미, "영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 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89 기은옥, "영유아의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 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0 김혜원, 차경호,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29, 2001

      91 김미진, "성격강점에 기반 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92 김애경,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감사성향 및 심리적 안녕감이 관 계", 한국보육학회지, 15(1), 71-91, 2015

      93 윤혜영, 최인수, "유치원 조직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12 No, 2009

      94 이명희,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동의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9

      95 박종흡, 신남철,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6 김하종, 송순옥, 성연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15(3), 2015

      97 민현기, 이재선, "대학생의 유머대체 및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 51-63, 2009

      98 진봉희,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9 탁진국 ( Jin Kook Tak ), 임그린(Green Lim), 정재희(Jae Hee Jung),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사단법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2014

      100 강정갑, "경남지역 초등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위상변화에 대한 지 각",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01 최수경, 석주영, 박인전,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81-198, 2013

      102 고일영, 황경열, "시설형태와 개인적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리연구, 11(1), 2004

      103 유구종 ( Ku Jong Yoo ), 이하나 ( Ha Na Lee ), "자유선택활동에서 그림책 매체 유형에 따른 유아의 몰입 양상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2014

      104 김원아,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5 김안나 ( An Na Kim ),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63-182, 2014

      106 유상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행복의 조건-14’의 효과검증",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107 배제현, 정경용, "긍정심리강화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4(3), 2013

      108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9 기은옥, 홍혜경, 양시내,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근무현황에 따른 직무만 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4), 147-170, 2011

      110 전선영, 최혜순,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13

      111 서현아, 김미옥,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회, 17(1), 435-453, 2013

      112 최현정, "직장인, 행복에 희망을 걸다 : 회사에 바라는 다섯 가지 행복 의 조건", 도어즈, 서울:도어즈, 2011

      113 박숙경, "현실요법을 적용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홍익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14 원지현, 이순복,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2013

      115 최윤정,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 계발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2(1), 395-415, 2012

      116 Noddings, N., "Happiness and education. 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역 (2008). 행복과 교육", 서울: 학이당, 2003

      117 조형숙, 김혜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지, 31(4), 275-292, 2013

      118 양은호, 최혜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011

      119 안정현,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과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20 유현정, "보육유아교사의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1

      121 김미진, 황해익, 탁정화,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근무환경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221-246, 2013

      122 한희정, 하지민, 오소라, 서현아,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43-164, 2014

      123 김지연, "감사노트쓰기 활동이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24 박유진,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5 서현아, 허수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4(4), 413-430, 2014

      126 양은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7 송지연, "유아의 자아존중감, 유머감각 및 감사성향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8 김정원, "자기표현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이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9 이지혜,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조직몰입 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143-164, 2010

      130 이광재, "웃음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1 정영희, 김윤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2011

      132 고희숙,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3 박제일, "유아교사의 성격, 낙관성, 희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19(3), 467-485, 2012

      134 George, E., Vailant, M. D., "‘What makes us happy?’.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이덕남 역 (2010). 행복의 조건", 서울: 프런티어, 2002

      135 김창기, 이화정,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육교사 정신건강에 대한 보육 서비스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6 No, 2011

      136 김수연,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7 오정희, 최남정,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17-438, 2013

      138 Compton, W. C.,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2007). 긍정심리학 입문", 서울: 박학사, 2005

      139 김지혜, "어머니와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행복과 유치원 적응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0 한종화,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연구-유아교사 효능감과 협동적 조 직문화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4(3), 221-238, 2014

      141 방정주, "중학교 담임교사의 행복이 학급학생들의 행복과 학교생 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개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2 Lyubomirsky, S., "How To Be Happy: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2008

      143 김정원 ( Jungwon Kim ), 방승연 ( Seung Yeon Bang ),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014

      144 강인정, "행복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 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5 박선민, "감사 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6 송아람,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태도의 관계가 유아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7 김애화, 이혜원, "교육적 통합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특수교육요구 아동연구, 21 No, 2008

      148 김은경, "어린이집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역할수행능력과 직무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9 최민수, 김정옥, 정영희, "유치원에서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2, 2012

      150 김성수, 이희경,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전공교육과정에 관한 연 구: 유아교사역할과 관련하여", 영유아교육학회, 영유아교육연구, 12, 2009

      151 김경연, 최원철, 최순, 정영숙, 심혜숙, 문소정, 김정자, 김선희,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Ⅲ);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1), 1598-9593, 2000

      152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인수 역(2005).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서 울: 한울림, 1990

      153 고영미, 김광수,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의 행복감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2(3), 2011

      154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55 오현숙, "어린이집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2013

      156 Lopez, S. J.,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 Positive psychology :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v. 1. (권석만, 정지현)역", 서울: 학지 사, 2011

      157 조재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 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58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유아교사효능감, 유아교 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59 박정희, "청소년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학급 단위 학교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60 우종완, "행복 쑥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공 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1 류칠선, 조인경,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아동보육연구. 10(1), 2014

      162 한지현,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행복감과의 관계-적응유연성과 스트 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3 허계형, 김남임, "유아의 사회정서문제행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전 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9(4), 435∼463, 2015

      164 최지원,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5 문태영, 박은주,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2), 2011

      166 이보은, "놀이를 활용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7 한희정, 하지민, 오소라, 서현아, "유아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행복연 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창조와 혁신, 8(3), 149-175, 2015

      168 정다우리,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유아교사 인성과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2013

      169 김시내,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및 창의성에 미치 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0 권나연, 이희영, "유치원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 진과의 관계에서 유아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 2012

      171 고태순, 이채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생활 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49-70, 2008

      172 오혜성, "긍정개입프로그램이 사회재활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 적 안녕감,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용문상담심리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173 이양희 ( Yang Hee Lee ), 이정미(Jeong Mi Lee),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4), 2007

      174 하미경, "원예활동이 중등 여고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 진 및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2

      175 양승현, "유아교사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구성과 적용효과를 위한 기초연구 : 홀리스틱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176 신남철,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학교조직효과 성과의 관계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77 전선영, "보육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원장 의 리더십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3

      178 Morgan, D. L.,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Focus Groups as Qualtative Research. (김성재, 오상은, 은 영, 손행미, 이명선 역)", 서 울: 군자출판사, 2007

      179 박진성 ( Jin Sung Park ), 신현정 ( Hyun Jung Shin ),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회지, 14(2), 147-170, 2010

      180 문태영,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적 표현 능력과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1 조진형 ( Jin Hyong Jo ), 김동원 ( Dong Won Kim ), 김경미 ( Kyoung Mi Kim ), 김정희 ( Jung Hee Kim ),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 11(2), 75-101, 2008

      182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0

      183 유선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 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84 김시연,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유아교사 효능감 및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5 박진아, 이경숙,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유아교사의 경험, 인 식 및 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유 아교육연구, 35(3), 27-54, 2015

      186 양진희,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 는 유아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18(5), 265-300, 2013

      187 Seligman, M. E. P.,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우문식, 윤상운 역).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경기: 물푸레, 2011

      188 고영미,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189 Lopez, S. J., Snyder, C. R.,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2008).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 서울: 학지사, 2003

      190 유선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 향상과 우울성향 감소를 위한 감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1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Simon and Schuster. 김인자 역(2006). 긍정심리학: 진정한 행복 만들기", 서 울: 물푸레, 2004

      192 Peterson, C., Seligman, M. E. P.,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 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백수현, 안선영 역(2010). 서울: 한국 심리상담 연구소", (원전은 2004년 출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