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운동프로그램 유형이 비만여고생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혈중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신대철 지도교수 조현철 본 연구에서는 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72058
삼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 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692.9 판사항(4)
전북특별자치도
5, 46p.: 삽도; 26 cm.
지도교수: 조현철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운동프로그램 유형이 비만여고생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혈중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신대철 지도교수 조현철 본 연구에서는 체지...
국문초록
운동프로그램 유형이 비만여고생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혈중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신대철
지도교수 조현철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여고생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과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신체구성과 건강관련체력 그리고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구성에서 체중의 변화는 복합 운동군이(p<.05), 유산소 운동군은(p<.001), 체지방률은 복합 운동군과 유산소 운동군 모두(p<.001)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건강관련체력 복합 운동군은 근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1), 심폐지구력(p<.05)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산소운동군은 심폐지구력(p<.05)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지질 변화에서 복합 운동군은 중성지방(p<.001),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운동군은 중성지방(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감소는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 규칙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과 유산소운동프로그램 모두 비만 여고생의 대사성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체중, 체지방률 감소에 효과적이며, 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시간이 여의치 않아 신체활동이 부족한 비만 여고생들이 학교생활을 하면서도 규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Effects of Exercise Program Types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Changes of Blood Lipid for Obese High School Girls Shin, Dae Chul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 Suk University This s...
ABSTRACT
Effects of Exercise Program Types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Changes of Blood Lipid for Obese High School Girls
Shin, Dae Chul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 Suk University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ore th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for more than 30% body fat obesity high school girls to conduct combined exercise program and aerobic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nclusion
1) In the case of body composition, aerobic exercise group(p<.05) and the combined exercise group (p<.001) showed significantly change in body weight.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p<.001) and the aerobic exercise group(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2)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mbined exercise group (p<.001), muscle endurance (p<.001), flexibility (p<.01), cardiovascular endurance (p<.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regards changes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orespiratory endurance(p<.05)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3) Changes in blood lipids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iglycerides(p<.001)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p<.001)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h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iglycerides(p<.001) despit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decrease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Suggestions
Both Combined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program to program for regular 12 weeks were effective in reducing weight and body fat rate for obese high school girls. Also, it is confirmed a useful exercise program by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ollowing study need to be developed in the ongoing exercise programs regularly during school life for obese high school girls that insufficient time to exercise less physical activ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