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및 영상의 멀티모달분석을 이용한 트위터 사용자의 감성 흐름 모니터링 기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7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인 사용자의 트윗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감성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의 텍스...

      본 논문은 개인 사용자의 트윗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감성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시스템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쓴 텍스트와 영상 등으로부터 감성을 인식하는 멀티 모달 분석 기법이 개발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어휘분석 및 문맥을 이용한 텍스트분석기와 학습기반의 영상감성인식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영상 트윗에 숨겨진 개별 감성을 추출한다. 이후 이들은 규칙기반 통합 방법에 의해 날짜별로 통합되고, 마지막으로 개인의 감성흐름을 보다 직관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감성흐름그래프로 시각화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단계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먼저 4만여 개의 트윗으로부터 제안된 방법의 정확도 평가 실험이 수행되고, 최신 트윗 분석 기술과 비교 분석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40명의 우울증을 가진 사용자와 일반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이 수행된 결과, 제안된 기술이 실제 사용자의 감성흐름을 모니터하는데 효율적임을 증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onitoring mood trend of Twitter users by analyzing their daily tweets for a long period. Then,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ir tweets, we analyze all types of content in tweets, i.e., texts and emotico...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onitoring mood trend of Twitter users by analyzing their daily tweets for a long period. Then,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ir tweets, we analyze all types of content in tweets, i.e., texts and emoticons, and images, thus develop a multimodal sentiment analysis method. In the proposed method, two single-modal analyses first are performed to extract the users’ moods hidden in texts and images: a lexicon-based and learning-based text classifier and a learning-based image classifier. Thereafter, the extracted moods from the respective analyses are combined into a tweet mood and aggregated a daily mood.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a user daily mood flow graph, which allows us for monitoring the mood trend of users more intuitively. For evaluation, we perform two sets of experiment. First, we collect the data sets of 40,447 data. We evaluate our method via comparing the state-of-the-art techniques. In our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ultimodal analysis method outperforms other baselines and our own methods using text-based tweets or images only. Furthermore,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proposed method in monitoring users’ mood trend, we tested the proposed method with 40 depressive users and 40 normal users. It prov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in finding depressed us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3. 제안된 시스템의 개요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3. 제안된 시스템의 개요
      • 4. 문장의 어휘와 문맥 기반의 텍스트 분석
      • 4.1 개별 문장으로 부터의 특징 추출
      • 4.2 이모티콘 분석
      • 4.3 감성 분류
      • 5. 이미지 기반 감성 분석
      • 5.1 특징 추출
      • 5.2 감성 인식
      • 6. 통합 (Aggregation)
      • 7. 실험 결과
      • 7.1 멀티모달 감성 분석의 정확도 평가
      • 7.2 사용자 감성 흐름 모니터링 결과 분석
      • 8.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ikipedia"

      2 C. Xu, "Visual sentiment predic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3 H. Lin, "User-level psychological stress detection from social media using deep neural network" 507-516, 2014

      4 Y. Yang, "User interest and social influence based emotion prediction for individuals" 785-788, 2013

      5 A. Mogadala, "Twitter user behavior understanding with mood transition prediction" 31-34, 2012

      6 A. Go, "Twitter sentiment analysis"

      7 J. Bollen, "Twitter mood predicts the stock market" 2 : 1-8, 2010

      8 Y. R. Tausczik,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words : LIWC and computerized text analysis methods" 29 : 24-54, 2010

      9 H. Sueki, "The association of suicide-related Twitter use with suicidal behaviour : A cross-sectional study of young internet users in Japan" 170 : 155-160, 2015

      10 E. S. Dan-Glauser, "The 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GAPED) : a new 730-picture database focusing on valence and normative significance" 43 : 468-477, 2011

      1 "Wikipedia"

      2 C. Xu, "Visual sentiment predic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3 H. Lin, "User-level psychological stress detection from social media using deep neural network" 507-516, 2014

      4 Y. Yang, "User interest and social influence based emotion prediction for individuals" 785-788, 2013

      5 A. Mogadala, "Twitter user behavior understanding with mood transition prediction" 31-34, 2012

      6 A. Go, "Twitter sentiment analysis"

      7 J. Bollen, "Twitter mood predicts the stock market" 2 : 1-8, 2010

      8 Y. R. Tausczik,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words : LIWC and computerized text analysis methods" 29 : 24-54, 2010

      9 H. Sueki, "The association of suicide-related Twitter use with suicidal behaviour : A cross-sectional study of young internet users in Japan" 170 : 155-160, 2015

      10 E. S. Dan-Glauser, "The 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GAPED) : a new 730-picture database focusing on valence and normative significance" 43 : 468-477, 2011

      11 L. S. Radloff L 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 385-401, 1977

      12 C.K. Chung, "Social Conition and Communication" Psychology Press 25-42, 2014

      13 "Sentistrength"

      14 M. Thelwall, "Sentiment strength detection in short informal text" 61 : 2544-2558, 2010

      15 D. Borth, "Sentibank : large-scale ontology and classifiers for detecting sentiment and emotions in visual content" 459-460, 2013

      16 Q. You, "Robust image sentiment analysis using progressively trained and domain transferred deep networks" 381-388, 2015

      17 S. Tsugawa, "Recognizing depression from Twitter activity" 3187-3196, 2015

      18 S. Tsugawa, "Recognizing depression from Twitter activity" 3187-3196, 2015

      19 M. De Chounhury, "Predicting postpartum changes in emotion and behavior via social media" 3267-3276, 2013

      20 M. De Choudhury, "Predicting depression via social media" 1-10, 2013

      21 "Photo. Net"

      22 G. E. Simon, "Outcomes of recognized and unrecognized depression in an international primary care study" 21 : 97-105, 1999

      23 J. Yuan, "Multimedia Data Mining and Analy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1-59, 2015

      24 A. Hogenboom, "Exploiting emoticons in sentiment analysis" 703-710, 2013

      25 M. Marcus, "Depression : A global public health concern" WHO 6-8, 2012

      26 S. M. Mohammad, "Crowdsourcing a word–emotion association lexicon" 29 : 436-465, 2013

      27 G. Katz, "ConSent : Context-based sentiment analysis" 84 : 162-178, 2015

      28 L. Zhang, "Combining Lexicon-based and Learning-based Methods for Twitter Sentiment Analysis" HP 2011

      29 J. Jia, "Can we understand van Gogh's mood? : Learning to infer affects from images in social networks" 857-860, 2012

      30 Z. Rihmer, "Can better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reduce suicide rates? A brief review" 16 : 406-409, 2001

      31 S. Kobayashi, "COLOR IMAGE SCALE" Kodansha 1991

      32 S. Zhao, "Affective image retrieval via multi-graph learning" 1025-1028, 2014

      33 S. Park, "Activities on Facebook reveal the depressive state of users" 15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