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寡尤 洪重三의 家系와 著述活動 = A Study on Hong, Jung-sam's Family Line and Writing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48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intend to be positioned as one of scholar of silhak (practical school) connecting Bangye Yu, Hyeongwon and Sunam Ahn, Jeongbok through HyangyakTongbyeon(interpretation of village compact) compiled by Hong, Jungsam in the early 18th ce...

      In this paper, I intend to be positioned as one of scholar of silhak (practical school) connecting Bangye Yu, Hyeongwon and Sunam Ahn, Jeongbok through HyangyakTongbyeon(interpretation of village compact) compiled by Hong, Jungsam in the early 18th centuries. Only the relevant facts that Hong, Jungsam wrote HyangyakTongbyeon(interpretation of village compact) and all the fact that his family clan is Namyang.
      I confirmed Manjeondang, Hong, Gasin's great-great-grandson as Hong, Jungsam is family lineage of Tohonggye of Namyang Hong and identifies the family with Namin (Southerns) school of Bukin (Northerns). And I pursued that his family's school group and thought were involved to the formation of and content of HyangyakTongbyeon (interpretation of village compact) in this paper.
      On the type of Writings, The authors propose the his idea and thinking through the format of Bangyesurok is Goseol, HyangyakTongbyeon is Tongbyeon, Sunamgip is Sinan. By presenting the contents of Chinese Sages and the Classic, I confirmed the three books have the same forms and contents points, such as criticism on the objective facts and that way verification.
      Realities villages' society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it became disorderly over the course the invasion of the Imjin and byeongja year and in the context of hazard villages, conducted all Hyangyak (village compact) and Gyanhonsangjae (four ceremonial occasion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the abolition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Hong Jungsam organized such information his comments under in the name of Tongbyeon (interpretation). This was access as view of Encyclopedia the subject of various villages and communities and that Hong Jungsam can be positioned as one of silhak (practical school) linking Bangye and Sun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7世紀 홍중삼이 편찬한 『鄕約通變』을 통해 磻溪 柳馨遠과 順菴 安鼎福을 잇는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목적이다. 홍중삼과 관련되어 확인된 사실은 『鄕約...

      본 논문은 17世紀 홍중삼이 편찬한 『鄕約通變』을 통해 磻溪 柳馨遠과 順菴 安鼎福을 잇는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목적이다. 홍중삼과 관련되어 확인된 사실은 『鄕約通變』을 저술했으며, 南陽을 本貫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부였다.
      필자는 홍중삼이 남양 홍씨 토홍계로, 임란 당시 李夢鶴亂 진압에 공을 세웠던 晩全堂 洪可臣의 4代孫임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北人系 南人의 학맥을 가진 가문임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홍중삼의 師承關係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는 없지만, 그가 속해있는 直系의 學脈과 思想이 『鄕約通變』의 編制와 引用人名, 引用書名을 조사·분석한 결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술 형식에서는, 『磻溪隨錄』 「攷設」, 『鄕約通變』 「通變」, 『順菴集』 「臣按」과 같은 형식으로 著者의 생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中國 聖賢과 古典의 내용을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으로 사실에 대한 비판과 검증을 거치는 등, 위에서 언급한 세권의 저서들이 모두 동일한 形式과 內容을 가지고 있는 점을 필자는 주목하였다.
      홍중삼이 『鄕約通變』을 저술할 당시, 17세기 조선의 현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양란을 거치면서 향촌사회는 더욱 기강이 해이해져가고 문란해지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현실인식은 홍중삼으로 하여금 鄕村에서 행해지고 있는 諸鄕約, 冠婚喪祭, 諸約令, 鄕任選出, 科擧制 廢止와 薦擧制實施 등 당시 향촌의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내용은 「通變」이라는 題目下에 자기의견을 添記하여 행동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편제는 다양한 향촌사회내 주제를 百科事典的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어, 홍중삼이 갖는 학문적, 사상적 위치를 磻溪와 順菴을 잇는 實學者의 한 사람으로서 규정한다 해도 손색이 없을 듯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序言
      • 2. 洪重三의 家系
      • 3. 洪重三의 生涯와 著述活動
      • 4. 結言
      • 국문요약
      • 1. 序言
      • 2. 洪重三의 家系
      • 3. 洪重三의 生涯와 著述活動
      • 4. 結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寧城郡誌"

      3 "論語"

      4 신병주, "화담학과 근기사림의 사상" 7 : 2005

      5 김기승, "홍가신과 임진왜란 - 충청 지역 지방관이 경험한 임진왜란 전후의 조선사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221-247, 2007

      6 유병준, "한국인의 족보" 일신각 1977

      7 정구선, "한국 중세의 천거제도" 서경문화사 2007

      8 최기엽, "사회적 재현으로서의 촌락 경관과 장소성-화성 남양 홍씨 등의 종족촌과 해미 인근의 개간지 민촌을 사례로-" 31 : 2005

      9 박을수, "만전당 홍가신의 생애와 활동, In 조선시대 아산지역의 유학자들" 외암사상연구소, 지영사 2007

      10 주유나, "곤재 정개청의 학문과 정론"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禮記"

      2 "寧城郡誌"

      3 "論語"

      4 신병주, "화담학과 근기사림의 사상" 7 : 2005

      5 김기승, "홍가신과 임진왜란 - 충청 지역 지방관이 경험한 임진왜란 전후의 조선사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221-247, 2007

      6 유병준, "한국인의 족보" 일신각 1977

      7 정구선, "한국 중세의 천거제도" 서경문화사 2007

      8 최기엽, "사회적 재현으로서의 촌락 경관과 장소성-화성 남양 홍씨 등의 종족촌과 해미 인근의 개간지 민촌을 사례로-" 31 : 2005

      9 박을수, "만전당 홍가신의 생애와 활동, In 조선시대 아산지역의 유학자들" 외암사상연구소, 지영사 2007

      10 주유나, "곤재 정개청의 학문과 정론"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高靈申氏派譜" 농경출판사 1995

      12 "顯宗實錄"

      13 "順菴集"

      14 "雜同散異"

      15 김학권, "鄭介淸의 生涯와 思想" 3 : 2002

      16 "鄕約通變"

      17 "邑誌 7"

      18 "象村集"

      19 "記言"

      20 "葵窓遺稿"

      21 "葛庵集"

      22 "萬姓大同譜"

      23 "草堂集"

      24 "芝山集"

      25 "肅宗實錄"

      26 "磻溪隨錄"

      27 "磨鏡錄"

      28 "白湖全書"

      29 "白沙集"

      30 "燃藜室記述"

      31 "潛谷集"

      32 "潛谷遺稿"

      33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淸州市誌"

      34 "沙溪全書"

      35 "朽淺集"

      36 朴京夏, "朝鮮後期 鄕約硏究 : 鄕約의 性格變化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37 정호훈, "朝鮮後期 政治思想硏究-17세기 北人系 南人을 중심으로" 혜안 2004

      38 金駿錫, "朝鮮後期 國家 再造論의 대두와 그 展開"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1

      39 "晩全集"

      40 朴乙洙, "晩全堂 洪可臣硏究" 글익는 들 2006

      41 "星湖全集"

      42 崔在錫, "族譜에 있어서의 派의 形成" 7 : 1981

      43 崔在錫, "族譜에 있어서의 派의 形成" 1984

      44 "新定牙州誌, 奎 17384, 韓國地理志叢書 忠淸道 1" 亞細亞文化社 1984

      45 "新增東國輿地勝覽"

      46 "承政院日記"

      47 "愚得錄"

      48 "愚伏集"

      49 "常變通攷"

      50 "寒岡集"

      51 "宣祖實錄"

      52 "宣祖修正實錄"

      53 "宋子大全"

      54 "國朝文科榜目(奎 106)"

      55 "周禮"

      56 "司馬榜目 CD-ROM"

      57 "南陽洪氏世譜"

      58 洪賢玉, "南陽洪氏 同族社會集團의 地域化 過程 -華城郡 弘法里 同族村의 社會地理學的 硏究" 10 (10): 1985

      59 "南坡集"

      60 "光海君日記"

      61 "備邊司謄錄"

      62 宋榮培, "中國社會思想史" 한길사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