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인천지역 강우에 의한 작업불능일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Non-Working Days Based on the Rainfall in Incheon Area Us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0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공사는 주로 옥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 등은 강우에 의한 작업불능일 수가 다수 발생한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의한 강우량 변화는 공기산정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계획 수립 시 해당지역의 강우량 변화를 파악하고 작업불능일 수를 산정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의 1960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관측’자료와, 2018년부터 2074년까지의 기상‘예측’자료인 RCP 4.5를 활용하여 강우 변화시점을 파악하였고, 그 시점 전·후로 연 강우, 계절별 강우로 인한 작업불능일 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72년, 1988년, 2013년, 2038년, 2050년, 2069년에 강우량이 뚜렷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13년, 2038년, 2069년 기준으로 강우로 인한 작업불능일 수의 변화 폭이 큰 것으로 파악 되었다.
      번역하기

      건설공사는 주로 옥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 등은 강우에 의한 작업불능일 수가 다수 발생한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의한 강우량 변화는 공기산정을 더욱 어렵...

      건설공사는 주로 옥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 등은 강우에 의한 작업불능일 수가 다수 발생한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의한 강우량 변화는 공기산정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계획 수립 시 해당지역의 강우량 변화를 파악하고 작업불능일 수를 산정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의 1960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관측’자료와, 2018년부터 2074년까지의 기상‘예측’자료인 RCP 4.5를 활용하여 강우 변화시점을 파악하였고, 그 시점 전·후로 연 강우, 계절별 강우로 인한 작업불능일 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72년, 1988년, 2013년, 2038년, 2050년, 2069년에 강우량이 뚜렷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13년, 2038년, 2069년 기준으로 강우로 인한 작업불능일 수의 변화 폭이 큰 것으로 파악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호,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 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 39 (39): 819-832, 2004

      2 이경미, "한국에서 평균기온 및 극한기온의 변화시점 분석" 대한지리학회 46 (46): 583-596, 2011

      3 김창덕, "기후요소에 의한 철골공사 작업불가능일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137-145, 2006

      4 정석남, "기후요소를 고려한 최적 착공시기 결정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13-120, 2003

      5 신종현, "기후요소를 고려한 인천지역의 작업불가능일수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6 (6): 58-64, 2005

      6 배덕효, "기후변화에 의한 건설시공환경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513-521, 2008

      7 이관호,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물부분의 영향" 한국태양에너지학회 33 (33): 64-69, 2013

      8 조형경,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의 강설량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88-202, 2011

      9 이근효, "국내 건설공사의 기후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예측방법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100-108, 2006

      10 한봉구, "강수지표의 시간에 따른 변화 조사" 한국습지학회 15 (15): 233-250, 2013

      1 이승호,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 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 39 (39): 819-832, 2004

      2 이경미, "한국에서 평균기온 및 극한기온의 변화시점 분석" 대한지리학회 46 (46): 583-596, 2011

      3 김창덕, "기후요소에 의한 철골공사 작업불가능일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137-145, 2006

      4 정석남, "기후요소를 고려한 최적 착공시기 결정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13-120, 2003

      5 신종현, "기후요소를 고려한 인천지역의 작업불가능일수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6 (6): 58-64, 2005

      6 배덕효, "기후변화에 의한 건설시공환경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513-521, 2008

      7 이관호,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물부분의 영향" 한국태양에너지학회 33 (33): 64-69, 2013

      8 조형경,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의 강설량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88-202, 2011

      9 이근효, "국내 건설공사의 기후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예측방법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7 (7): 100-108, 2006

      10 한봉구, "강수지표의 시간에 따른 변화 조사" 한국습지학회 15 (15): 233-250, 2013

      11 Erdman, C., "bcp: A Package for Performing a Bayesian Analysis of Change Point Problems" 43 (43): 645-655, 2007

      12 R Studio, "bcp packages"

      13 Kang, W. S., "The Impacts and Measures of Climate Change on Construction Industry" 2007

      14 Kang, U. S., "The Impact of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on Construction Industry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53 (53): 24-29, 2004

      15 Kwon, S. B.,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Weather Factors on Productivity and Number of Working Days in Marine Constru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

      16 Lee, D. H., "Study on Calculation of Non-Working Days for Steel Structure Work with Consideration of Weather Element" KICEM 244-247, 2005

      17 Climate Information Center, "Revised Evaluation Report"

      18 주진걸,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가 및 보정방법 제시" 한국방재학회 15 (15): 79-91, 2015

      19 정세진,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극한지수 변화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089-1101, 2013

      20 Jo, K, D., "Preliminary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limate change and the necessity of adaptation strategies in Incheon" 2010

      21 Bang, J. K., "Necessity & Efficient Utilization of NonWorking Days by Weather Condi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KICEM 123-124, 2010

      22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Korea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3 Chae, H, M., "Influence of the Global Warming in Domestic Construction Schedules" KICEM 11 : 567-571, 2007

      24 Cho, H J., "Evaluation Model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2017

      25 Kim, B. G.,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rainfall in Seoul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39 : 1786-1789, 2013

      26 Meteorological Agency, "Domestic Climate Incheon Regional Characteristics"

      27 Climate information portal, "Climate change in observation"

      28 Meteorological Agency, "Climate Prediction"

      29 Shin, S, H., "Climate Change and Construction" 26 (26): 74-82, 2009

      30 황석환, "BH 베이지안 분석을 통한 서울지점 강우자료의 확률적 변화시점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3 (43): 645-655, 2010

      31 고규진, "BCP분석을 통한 인천지역 작업불능일 변화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6 (16): 80-88, 2015

      32 Barry, D., "A bayesian analysis for change point problems" 88 (88): 309-319, 1993

      33 Lee, J. K,., "A Study on Selection of Standard Scenarios in Korea for Climate Change" 1 (1): 59-7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77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