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드라마 <연인>(MBC, 2023)에 보이는 17세기 조선 지식인 사회 = The Literati Society of the 17th century’s Joseon in <My Dear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7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드라마 <연인>의 등장인물 연준을 중심으로 그 인물 형상화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지식인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표상함을 검토하였다. <연인>은 용골대나 각화 같은 청나라 인물을 악역으로만 그린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그들과 조선 인물과의 관계도 다면적이었다. 그러나 서사 진행에 있어서 장현과 길채의 결연에 집중하기 위해 당대실상과 어긋나는 부분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 글은 서사 진행에서 부차적으로 취급된 연준과 능군리 유생의 모습에 보이는 17 세기 조선 지식인 사회의 모습을 부연 설명하고자 하였다.
      드라마에서는 명나라와의 의리를 지키는 것이 현실 정세에 어두운 것처럼 표현되었지만 연준처럼 대명의리를 견지하는 것이 오히려 조선 후기에 지식인들 사이에서 지배적 정서였다. 중세는 화이론에 입각한 세계관을 따르고 있었다. 대명의리는 명나라라는 나라에 대한 의리라고 하기보다는, 명으로 상징되는 보편적인 문명에 대한 존숭이라는 의의를 지녔다. 연준이 감옥에 갇힐지언정 끝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지 않은 것은 폭력으로 문명을 찬탈한 청나라에 비록 물리적으로는 굴복했을지었정 문명에 대한 열망을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띤다.
      이처럼 답답하고 고지식한 인물로 그려진 연준이지만 그는 국난을 당하자 기꺼이 자신을 내던지고, 백성과 나라를 걱정하는 모습을보인다. 이러한 연준의 면모에서 당대 성리학적 세계관을 준수하는 지식인의 가능성과 시대적 의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드라마 <연인>의 등장인물 연준을 중심으로 그 인물 형상화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지식인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표상함을 검토하였다. <연인>은 용골대나 각화 같은 ...

      이 논문은 드라마 <연인>의 등장인물 연준을 중심으로 그 인물 형상화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지식인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표상함을 검토하였다. <연인>은 용골대나 각화 같은 청나라 인물을 악역으로만 그린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그들과 조선 인물과의 관계도 다면적이었다. 그러나 서사 진행에 있어서 장현과 길채의 결연에 집중하기 위해 당대실상과 어긋나는 부분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 글은 서사 진행에서 부차적으로 취급된 연준과 능군리 유생의 모습에 보이는 17 세기 조선 지식인 사회의 모습을 부연 설명하고자 하였다.
      드라마에서는 명나라와의 의리를 지키는 것이 현실 정세에 어두운 것처럼 표현되었지만 연준처럼 대명의리를 견지하는 것이 오히려 조선 후기에 지식인들 사이에서 지배적 정서였다. 중세는 화이론에 입각한 세계관을 따르고 있었다. 대명의리는 명나라라는 나라에 대한 의리라고 하기보다는, 명으로 상징되는 보편적인 문명에 대한 존숭이라는 의의를 지녔다. 연준이 감옥에 갇힐지언정 끝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지 않은 것은 폭력으로 문명을 찬탈한 청나라에 비록 물리적으로는 굴복했을지었정 문명에 대한 열망을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띤다.
      이처럼 답답하고 고지식한 인물로 그려진 연준이지만 그는 국난을 당하자 기꺼이 자신을 내던지고, 백성과 나라를 걱정하는 모습을보인다. 이러한 연준의 면모에서 당대 성리학적 세계관을 준수하는 지식인의 가능성과 시대적 의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at the figure represented the typical appearance of intellectual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Yeonjun, a character in the drama <My Dearest>. It epicted Qing figures such as Yonggoldae and Gakhwa not only as villains, but as figures with complex personalities.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Joseon figures was also multifaceted. However, in reality of the time, the world view based on the Hwayiron was dominant. It is rather consistent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that Yeonjun and Confucian scholars discuss the order of heaven and insist on resistance with the Qing Dynasty. In the drama, it was set as if keeping the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dark in the real situation, but keeping Daemyeong Euiri was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penetrated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d the significance of respect for the universal civilization symbolized by the Ming, not loyalty to the country Ming. Although Yeonjun may beimprisoned, the fact that he did not go to the Qing Dynasty as an envoy means that he will not give up his desire for civilization. the Qing Dynasty exploited violenceto usurp civilization.
      He is such a frustrating and dignified character, he is willing to throw himself out when he is in a state crisis and shows concern for the people and the country. In this respect,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s observing the Neo-Confucian worldview of the time was reviewed positively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d that the figure represented the typical appearance of intellectual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Yeonjun, a character in the drama <My Dearest>. It epicted Qing figures such as Yonggoldae and Gakhwa not onl...

      This thesis examined that the figure represented the typical appearance of intellectual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Yeonjun, a character in the drama <My Dearest>. It epicted Qing figures such as Yonggoldae and Gakhwa not only as villains, but as figures with complex personalities.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Joseon figures was also multifaceted. However, in reality of the time, the world view based on the Hwayiron was dominant. It is rather consistent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that Yeonjun and Confucian scholars discuss the order of heaven and insist on resistance with the Qing Dynasty. In the drama, it was set as if keeping the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dark in the real situation, but keeping Daemyeong Euiri was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penetrated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d the significance of respect for the universal civilization symbolized by the Ming, not loyalty to the country Ming. Although Yeonjun may beimprisoned, the fact that he did not go to the Qing Dynasty as an envoy means that he will not give up his desire for civilization. the Qing Dynasty exploited violenceto usurp civilization.
      He is such a frustrating and dignified character, he is willing to throw himself out when he is in a state crisis and shows concern for the people and the country. In this respect,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s observing the Neo-Confucian worldview of the time was reviewed positive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