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mpact of Disaster Support Payments on Household Beef Purchases: Focusing on the Effects by Income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29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12월 발생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와 이로 인한 제1차 재난지원금이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2020년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패널토빗(Tobit)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코로나바이러스와 재난지원금은 가정 내 쇠고기 구입액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소득 5분위에 속한 가정에서 하위 소득분위의 가정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쇠고기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특성별 변수로는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구주가 전업주부인 경우, 가구원 중 미성년자가 포함된 경우 쇠고기 구입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9년 12월 발생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와 이로 인한 제1차 재난지원금이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2020년 농촌진흥청 소비자패...

      본 연구는 2019년 12월 발생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와 이로 인한 제1차 재난지원금이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2020년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패널토빗(Tobit)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코로나바이러스와 재난지원금은 가정 내 쇠고기 구입액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소득 5분위에 속한 가정에서 하위 소득분위의 가정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쇠고기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특성별 변수로는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구주가 전업주부인 경우, 가구원 중 미성년자가 포함된 경우 쇠고기 구입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in December 2019 and the first round of disaster support payments on beef purchases by income group. Consumer panel survey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2017 to 202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Tobit model was applied.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VID-19 and disaster support payments increased the amount of beef purchased within households, and in particular, after the disaster support payments were paid, households in the fifth income quintile purchased significantly more beef than households in the lower income quintile.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 variabl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igher income quintile, higher age range of the household head, the household head being a full-time housewife, and the presence of underage in the household were found to increase beef purchase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in December 2019 and the first round of disaster support payments on beef purchases by income group. Consumer panel survey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2017 to 2020 was u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in December 2019 and the first round of disaster support payments on beef purchases by income group. Consumer panel survey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2017 to 202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Tobit model was applied.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VID-19 and disaster support payments increased the amount of beef purchased within households, and in particular, after the disaster support payments were paid, households in the fifth income quintile purchased significantly more beef than households in the lower income quintile.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 variabl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igher income quintile, higher age range of the household head, the household head being a full-time housewife, and the presence of underage in the household were found to increase beef purchas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