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사지휘에 관한 공법적 체계화 =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Interpretive Theory o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n Public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6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which was exercised practically and experientially in the reality of Public Law, explains and systemizes it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Law.
      The study raises a need to review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n the area of Public Law as the command and supervision right in part of the organizational norms that were discussed in the area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ct and belonged to the particulars of the investigation area. It would promote the just positioning of the systematic status of discussions abou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and grant an academic cause to researchers.
      The study reviewed laws and cases about the major issues i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based on Public Law and established a rational interpretive theory, whose specific content is as follows: 1)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related to the command requirements is a mandatory authority. A lower-rank agency has its independent authority of command recognized based on its original right to command, and an upper-rank agency will claim superior force over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n terms of content. 2) There are no explicit formative or restrictive regulations about the objects and content of command,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ntion of legislators. There is no uniform regulation for the methods, timing, means, and procedures of investigations due to their atypical nature. The effect scope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s related to the scope of binding power. The subjects and content are mutually close in relations to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The content of command includes investigative administration work under indirect investigation work as well as direct investigation work. 3) In principle, there are no limitations to the forms, methods, places, and timing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f there are separate regulations about the procedures of command. There are some exceptions in which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forced in written form. 4) Whe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exercise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command, its effect can spread to the successor of each party despite changes to the subjects and objects of command. Since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has formative effects, it comes into effect from the moment tha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reaches an object of command.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an individual action, thus requiring no permission from an object of command. There are no explicit regulations about the rank of effect among different commands of investigations, which calls for a legislative solution. 5) There is no procedure to receive a judicial judgment other than a formal objection when following the current law abou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an objection. 6) When there is an objection raised by an object of command regarding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over the right to succeed and transfer a job in a special case, the commander should make a judgment separately according to whether there are separate written regulations about the replacement of the person in charge.
      The conclusion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which was exercised practically and experientially in the reality of Public Law, explains and systemizes it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Law. The study raises a need to review the systematiza...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which was exercised practically and experientially in the reality of Public Law, explains and systemizes it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Law.
      The study raises a need to review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n the area of Public Law as the command and supervision right in part of the organizational norms that were discussed in the area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ct and belonged to the particulars of the investigation area. It would promote the just positioning of the systematic status of discussions abou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and grant an academic cause to researchers.
      The study reviewed laws and cases about the major issues i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based on Public Law and established a rational interpretive theory, whose specific content is as follows: 1)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related to the command requirements is a mandatory authority. A lower-rank agency has its independent authority of command recognized based on its original right to command, and an upper-rank agency will claim superior force over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n terms of content. 2) There are no explicit formative or restrictive regulations about the objects and content of command,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ntion of legislators. There is no uniform regulation for the methods, timing, means, and procedures of investigations due to their atypical nature. The effect scope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s related to the scope of binding power. The subjects and content are mutually close in relations to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The content of command includes investigative administration work under indirect investigation work as well as direct investigation work. 3) In principle, there are no limitations to the forms, methods, places, and timing of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f there are separate regulations about the procedures of command. There are some exceptions in which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forced in written form. 4) When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exercise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command, its effect can spread to the successor of each party despite changes to the subjects and objects of command. Since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has formative effects, it comes into effect from the moment tha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reaches an object of command. The command of investigations is an individual action, thus requiring no permission from an object of command. There are no explicit regulations about the rank of effect among different commands of investigations, which calls for a legislative solution. 5) There is no procedure to receive a judicial judgment other than a formal objection when following the current law about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an objection. 6) When there is an objection raised by an object of command regarding the command of investigation over the right to succeed and transfer a job in a special case, the commander should make a judgment separately according to whether there are separate written regulations about the replacement of the person in charge.
      The conclusion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의 공법현실에서 실천적ㆍ경험적으로 이뤄져 온 수사지휘에 주목하여 그것을 둘러싼 논점들을 공법이론적으로 해명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그간 수사지휘가 주로 형사법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점과 비교하면 차별성이 있다.
      수사지휘 논제는 공법적 영역에서 체계화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조직규범의 일환인 지휘감독권은 종래 행정조직법 영역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수사영역에서의 각론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수사지휘 논의의 체계적 지위에 관한 정당한 자리매김이며 연구자에 대한 학술적 명분을 부여한다.
      수사지휘에 관한 주요쟁점별 공법적 검토를 통해 합리적 해석론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휘요건 관련 수사지휘는 의무적 권한이다. 하급기관에게 본래적 지휘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독자적 지휘권한은 인정하되 상급 기관의 수사지휘에 내용적 우위의 효력이 있다. 지휘대상과 지휘내용 관련, 형성적 혹은 제한적 규정을 찾을 수 없는 것은 입법자의 의도로 보아야 한다. 수사의 비정형성 때문에 수사의 방법, 시기, 수단, 절차 등을 획일적으로 규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사지휘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는 내용적 구속력의 범위 획정과 관련된다. 수사지휘의 대상과 내용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다. 지휘내용에는 직접수사사무뿐 아니라 비직접수사사무 가운데 수사행정사무까지 포함된다. 지휘절차 관련 별도의 규제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수사지휘의 형식, 방법, 장소, 시기에 관한 제한은 없다. 예외적으로 서면의 형식으로 수사지휘가 강제되는 경우가 있다. 지휘 효력 관련 수사지휘가 행해진 경우 지휘주체와 지휘객체의 구성원 변경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은 각 당사자의 후임자에게까지 미친다. 수사지휘는 형성적 효력을 가지므로 수사지휘가 지휘객체에게 도달한 때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수사지휘는 단독행위이므로 지휘객체의 승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러 건의 수사지휘가 존재할 때 각 지휘간 효력의 우열순위에 관해 명시적 규정이 없는 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하다. 불복방안 관련 현행 수사지휘법제에 따를 때 이의제기 외 사법적 판단을 받을 수 있는 절차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수한 경우로서 직무승계ㆍ이전권 관련, 수사지휘에 대하여 지휘객체의 이의제기가 있는 경우 지휘권자가 담당자 교체를 할 수 있는지 여부는 별도 명문규정의 존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의 공법현실에서 실천적ㆍ경험적으로 이뤄져 온 수사지휘에 주목하여 그것을 둘러싼 논점들을 공법이론적으로 해명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그간 수사지...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의 공법현실에서 실천적ㆍ경험적으로 이뤄져 온 수사지휘에 주목하여 그것을 둘러싼 논점들을 공법이론적으로 해명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그간 수사지휘가 주로 형사법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점과 비교하면 차별성이 있다.
      수사지휘 논제는 공법적 영역에서 체계화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조직규범의 일환인 지휘감독권은 종래 행정조직법 영역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수사영역에서의 각론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수사지휘 논의의 체계적 지위에 관한 정당한 자리매김이며 연구자에 대한 학술적 명분을 부여한다.
      수사지휘에 관한 주요쟁점별 공법적 검토를 통해 합리적 해석론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휘요건 관련 수사지휘는 의무적 권한이다. 하급기관에게 본래적 지휘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독자적 지휘권한은 인정하되 상급 기관의 수사지휘에 내용적 우위의 효력이 있다. 지휘대상과 지휘내용 관련, 형성적 혹은 제한적 규정을 찾을 수 없는 것은 입법자의 의도로 보아야 한다. 수사의 비정형성 때문에 수사의 방법, 시기, 수단, 절차 등을 획일적으로 규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사지휘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는 내용적 구속력의 범위 획정과 관련된다. 수사지휘의 대상과 내용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다. 지휘내용에는 직접수사사무뿐 아니라 비직접수사사무 가운데 수사행정사무까지 포함된다. 지휘절차 관련 별도의 규제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수사지휘의 형식, 방법, 장소, 시기에 관한 제한은 없다. 예외적으로 서면의 형식으로 수사지휘가 강제되는 경우가 있다. 지휘 효력 관련 수사지휘가 행해진 경우 지휘주체와 지휘객체의 구성원 변경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은 각 당사자의 후임자에게까지 미친다. 수사지휘는 형성적 효력을 가지므로 수사지휘가 지휘객체에게 도달한 때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수사지휘는 단독행위이므로 지휘객체의 승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러 건의 수사지휘가 존재할 때 각 지휘간 효력의 우열순위에 관해 명시적 규정이 없는 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하다. 불복방안 관련 현행 수사지휘법제에 따를 때 이의제기 외 사법적 판단을 받을 수 있는 절차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수한 경우로서 직무승계ㆍ이전권 관련, 수사지휘에 대하여 지휘객체의 이의제기가 있는 경우 지휘권자가 담당자 교체를 할 수 있는지 여부는 별도 명문규정의 존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2

      2 한견우, "현대행정법" 세창출판사 2011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0

      4 김명식, "행정조직법" 법우사 2014

      5 설계경, "행정법학(하)" 법률출판사 2006

      6 최정일, "행정법의 정석(행정법Ⅱ)" 박영사 2010

      7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박영사 2020

      8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21

      9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20

      10 장태주,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1

      1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2

      2 한견우, "현대행정법" 세창출판사 2011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0

      4 김명식, "행정조직법" 법우사 2014

      5 설계경, "행정법학(하)" 법률출판사 2006

      6 최정일, "행정법의 정석(행정법Ⅱ)" 박영사 2010

      7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박영사 2020

      8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21

      9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20

      10 장태주,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1

      11 김향기, "행정법개론" 탑북스 2021

      12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7

      13 김동희, "행정법Ⅱ" 박영사 2019

      14 김남진, "행정법Ⅱ" 법문사 2020

      15 유상현, "행정법Ⅱ" 형설출판사 2002

      16 조정환, "행정법(하)" 진원사 2011

      17 윤세창, "행정법(상)" 박영사 1993

      18 김남철, "행정법 강론" 박영사 2020

      19 정형근, "행정법" 피앤씨미디어 2019

      20 홍준형, "행정법" 법문사 2017

      21 하명호, "행정법" 박영사 2020

      22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21

      23 조연홍, "한국행정법원론(하)" 형설출판사 2005

      24 박윤흔, "최신 행정법강의(하)" 박영사 2001

      25 이동규, "자치경찰의 새로운 이해" 박영사 2021

      26 김도창, "일반행정법론(하)" 청운사 1993

      27 석종현, "일반행정법(하)" 삼영사 2013

      28 석종현, "일반행정법(하)" 삼영사 2005

      29 중앙일보, "윤석열, 추미애 지휘 일단 수용…檢 내부선 “사퇴는 없다”"

      30 "영장심의위, “검찰 영장기각은 부당” 첫 의결"

      31 이상규, "신행정법론(하)" 법문사 1988

      32 이명구, "신고 행정법학(하)" 대명출판사 1977

      33 이정원, "수사지휘 당사자에 관한 헌법적 해석론 - 법제분석을 통한 주체와 객체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103) : 53-98, 2021

      34 김연, "법학통론" 법문사 2018

      35 김향기, "법학개론" 대명출판사 2021

      36 신상현, "법무부장관의 구체적 사건에 대한 지휘권 폐지론 - 최근에 이루어진 법률개정 상황을 고려한 재고찰 -" 법학연구소 44 (44): 1-33, 2020

      37 김하중,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 지휘․감독권에 관한 고찰" 대한변호사협회 (422) : 139-158, 2011

      38 한상희, "법무ㆍ검찰의 개혁 - 그 목표와 방안" 참여연대 2003

      39 한겨레, "박범계 “윤석열 가족 사건, 서울중앙지검장이 수사지휘 유지 검토”"

      40 NEWSIS, "김오수 총장, 첫 출근.. “김학의 사건, 수사지휘 않겠다”(종합)"

      41 이천현, "검찰청법 제8조의 법적문제" 한양법학회 18 : 2005

      42 김종두, "검찰청법 일부개정법률안(양승조의원 대표발의) 검토보고" 2006

      43 한국일보, "秋․尹이 남긴 ‘윤석열 사건’ 수사지휘 공백…박범계는 뒷짐, 김오수는 눈치"

      44 국회사무처, "2020년도 국정감사 법제사법위원회회의록"

      45 국회사무처, "2019년도 국정감사 법제사법위원회회의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7 1.097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