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대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해석수준 = Factors Affecting Intentions of Reporting Child Abuse: The Interaction between Type of Abuse, Sex, and Construal-le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8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measures to promote the reporting of child abuse, instances of which are increasing year after year. To this end, 16 cases of child abuse, encompassing four instances of each of the four types of child abuse (physical, neglect, sexual, and emotional), were presented to participant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each type of abuse affected the degree of its perception as a case of child abuse. Next, the effects of the four types of child abuse on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low vs. high)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gender (male vs. female) and the construal leve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differed in the intent to report child abuse, depending on varied factors despite the fact that they perceived all cases as child abuse. In particula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intent to report child abuse for cases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However, women exhibited a stronger intent than men to report sexual and emotional abuse. Further, the intention of reporting child abuse was stronger at the high construal level (related to why child abuse must be reported) than it was at the low construal level (concerned with what to do about child abus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creation of publicity materials that place differing emphases on sex, and the application of low construal level education for reporting child abus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measures to promote the reporting of child abuse, instances of which are increasing year after year. To this end, 16 cases of child abuse, encompassing four instances of each of the four types of child abuse (physical, neglect, sex...

      This study explored measures to promote the reporting of child abuse, instances of which are increasing year after year. To this end, 16 cases of child abuse, encompassing four instances of each of the four types of child abuse (physical, neglect, sexual, and emotional), were presented to participant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each type of abuse affected the degree of its perception as a case of child abuse. Next, the effects of the four types of child abuse on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low vs. high)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gender (male vs. female) and the construal leve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differed in the intent to report child abuse, depending on varied factors despite the fact that they perceived all cases as child abuse. In particula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intent to report child abuse for cases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However, women exhibited a stronger intent than men to report sexual and emotional abuse. Further, the intention of reporting child abuse was stronger at the high construal level (related to why child abuse must be reported) than it was at the low construal level (concerned with what to do about child abus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creation of publicity materials that place differing emphases on sex, and the application of low construal level education for reporting child ab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아동학대 신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네 가지 유형별(신체 vs. 방임 vs. 성 vs. 정서)로 4개 씩 총 16개의 아동학대 사례를 구성한 후, 각 유형별로 아동학대라고 지각하는 수준이 다른지를 확인하다. 이어서 아동학대 유형별(신체 vs. 방임 vs. 성 vs. 정서), 성별(남 vs. 여), 그리고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해석수준( 저 수준 vs. 고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ㅣㅊ는 효과도 검증해 보았따. 결과적으로 참가자들은 아동학대의 모든 유형을 아동학대라고 지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신고의도에서는 요인별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학대와 방임에 대한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남녀간 차이가 없었지만, 성적학대와 정서적 학대에서는 여성의 신고의도가 남성의 신고의도보다 강했다. 또한 아동학대 신고를 왜 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고수준 해석을 할 때보다 아동학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관련된 저수준 해석을 할 때가 아동학대 신고의도가 강했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공조점이 다른 아동학대 교육 콘텐츠 및 홍보물 제작,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저수준 해석을 적용한 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아동학대 신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네 가지 유형별(신체 vs. 방임 vs. 성 vs. 정서)로 4개 씩 ...

      본 연구는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아동학대 신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네 가지 유형별(신체 vs. 방임 vs. 성 vs. 정서)로 4개 씩 총 16개의 아동학대 사례를 구성한 후, 각 유형별로 아동학대라고 지각하는 수준이 다른지를 확인하다. 이어서 아동학대 유형별(신체 vs. 방임 vs. 성 vs. 정서), 성별(남 vs. 여), 그리고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해석수준( 저 수준 vs. 고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ㅣㅊ는 효과도 검증해 보았따. 결과적으로 참가자들은 아동학대의 모든 유형을 아동학대라고 지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신고의도에서는 요인별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학대와 방임에 대한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남녀간 차이가 없었지만, 성적학대와 정서적 학대에서는 여성의 신고의도가 남성의 신고의도보다 강했다. 또한 아동학대 신고를 왜 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고수준 해석을 할 때보다 아동학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관련된 저수준 해석을 할 때가 아동학대 신고의도가 강했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공조점이 다른 아동학대 교육 콘텐츠 및 홍보물 제작,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저수준 해석을 적용한 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이세원, "한국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관점에서의 변화과정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217-246, 2018

      3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아동학대판례 100선"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2016

      4 이호균, "아동학대의 실태 및 법적 한계와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63-192, 2006

      5 박수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주요내용 및 개정방향" 한국범죄심리학회 14 (14): 73-90, 2018

      6 이봉주, "아동학대가 아동·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163-195, 2014

      7 하혜주, "아동학대 유형과 우울 증상 양상의 관계: 네트워크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251-277, 2019

      8 이성애, "아동학대 신고의무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4 (14): 121-136, 2018

      9 최경일, "아동학대 신고에 관련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55-74, 2010

      10 손지아, "아동복지적 관점을 고려한 아동‘학대’ 개념" 법학연구원 (63) : 347-372, 2018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이세원, "한국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관점에서의 변화과정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217-246, 2018

      3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아동학대판례 100선"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2016

      4 이호균, "아동학대의 실태 및 법적 한계와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63-192, 2006

      5 박수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주요내용 및 개정방향" 한국범죄심리학회 14 (14): 73-90, 2018

      6 이봉주, "아동학대가 아동·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163-195, 2014

      7 하혜주, "아동학대 유형과 우울 증상 양상의 관계: 네트워크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251-277, 2019

      8 이성애, "아동학대 신고의무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4 (14): 121-136, 2018

      9 최경일, "아동학대 신고에 관련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55-74, 2010

      10 손지아, "아동복지적 관점을 고려한 아동‘학대’ 개념" 법학연구원 (63) : 347-372, 2018

      11 김수정, "아동 보호를 위한 외국의 아동 학대 신고제도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5 (15): 21-43, 2011

      12 정원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행동 의도 배제원인 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7) : 133-152, 2009

      13 유영의,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연구소 32 (32): 123-147, 2013

      14 최경일,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7-46, 2011

      15 김광혁,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부모의 우울 및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847-859, 2008

      16 박연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 판결 비교 - 아동학대 사망사건의 양형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39-157, 2018

      17 Ernest Baskin, "Why Feasibility Matters More to Gift Receivers than to Givers: A Construal-Level Approach to Gift Giving" Oxford University Press (OUP) 41 (41): 169-182, 2014

      18 Eisenberg, N, "Who cares?: Theory,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thic of care" Praeger Publishers 127-143, 1989

      19 Tal Eyal, "When values matter: Expressing values in behavioral intentions for the near vs. distant future" Elsevier BV 45 (45): 35-43, 2009

      20 Jochim Hansen, "When time flies: How abstract and concrete mental construal affect the perception of tim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42 (142): 336-347, 2013

      21 Nira Liberman,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level of mental construal" Elsevier BV 38 (38): 523-534, 2002

      22 Nira Liberman, "The effect of level of construal on the temporal distance of activity enactment" Elsevier BV 43 (43): 143-149, 2007

      23 Glick, P,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ovolent sexism" 70 (70): 491-512, 1996

      24 N. Liberman, "The Psychology of Transcending the Here and Now"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322 (322): 1201-1205, 2008

      25 Ock Kyeung Hwang, "The Promoting the Fostering Care for Children`s Rights" 2 (2): 131-147, 2004

      26 Hyonjoo Lee,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Crisis on the Child Abuse in Low Income Families" 20 (20): 64-85, 2000

      27 Cheryl Wakslak,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on Subjective Probability Estimates" SAGE Publications 20 (20): 52-58, 2009

      28 Yaacov Trope, "Temporal construal."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10 (110): 403-421, 2003

      29 Nancy Eisenberg, "Sex differences in empathy and related capaciti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4 (94): 100-131, 1983

      30 Mee Sook Kim, "Korean Children in Crisis and Policy Measures" 2007 (2007): 5-20, 2007

      31 Kentaro Fujita,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near and distant objects" Elsevier BV 44 (44): 562-572, 2008

      32 Leonardo Christov-Moore, "Empathy: Gender effects in brain and behavior" Elsevier BV 46 : 604-627, 2014

      33 Min Sun Park, "Economic Hardship, Child Rearing Attitudes and Adjustment Behaviors of Adolescents" 20 (20): 57-74, 1999

      34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homepage"

      35 Trope, Y,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117 (117): 440-463, 2010

      36 Jason E. Plaks, "Construal level and free will beliefs shape perceptions of actors' proximal and distal intent" Frontiers Media SA 6 : 777-777, 2015

      37 Sean M. McCrea, "Construal Level and Procrastination" SAGE Publications 19 (19): 1308-1314, 2008

      38 N LIBERMAN,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Behavior" Wiley 17 (17): 113-117, 2007

      39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hild protection status of victims of abus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8

      40 Mee Hong, "Child Abuse and Neglect :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Measures" 2007 (2007): 47-59, 2007

      41 Glick, P, "An ambivalent alliance :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56 (56): 109-118, 2001

      42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2017 전국아동학대현황" Department of the Centr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gency 2018

      43 Ministy of Health and Welfare,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2 0.77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