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중가요 속 효 가사에 나타난 세대 간 소통 =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represented in hyo lyric of popular so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3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효는 자녀가 부모와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부모와 공동체의 삶에 참여하는 적극적 의지로 볼 때 효의 개념이 자녀의 몫이라는 점은 부모와 상호작용 속에서 자녀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효는 부모와 사회의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드는 것을 위해 자녀는 판독과 표현을 잘해야 한다는 행위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효를 한다는 것은 부모의 이야기를 자녀의 이야기로 가져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의 통합성과 부모, 사회, 자녀의 긍정적 변화는 효문화의 내용과 형식을 담아낼 수 있는 두 개의 주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문화적 전파력이다. 좋은 것은 내 이웃과 나누고 싶어 하는 욕구, 그 경우 나의 즐거움이 배가된다는 경험, 나의 자녀는 행복해야 한다는 책임적 감정은 문화적 전파력을 위해 중요한 요인들이다. 문화적 전파력으로 볼 때 조화로움은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문화라고 하는 것은 역사 속에서 문화로 향유하며 살아가고 출발점과 목적지는 서로 다를지라도 어느 순간 같은 지점에서 만나 함께 걸을 수도 있다. 모르는 사이 무한한 것들이 몸의 언어, 대화, 이야기로 불러내는 ‘삶의 노래’로 대중가요는 다시 태어나고 또 사라져 간다.
      같은 세상에 살고 있으나 타인일 수밖에 없는 어느 가족의 노래는 삶에서 나오고 삶은 세상과 따로 떨어질 수 없다. 이에 중립적이거나 방관하는 것도 사회의 중심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음악은 어떤 식으로든 세상과의 대화, 즉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대중가요는 사회와 역사, 아울러 공동체로서의 세상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해 왔다. 음악의 기쁨과 슬픔은 사람들과의 소통과 교감에서 나온다. 과거의 모든 음악이 현재와 미래의 밑거름이 된다.
      본 연구는 효문화가 세대간 소통에 의해 전수됨에 따라 정착된다는 점에서 세대간 전수의 효과적 방법인 대중문화에 주목하고, 그 가운데 대중가요의 가사를 중심으로 효 개념과 감정이 이야기하기 방식으로 화자와 청자 간에 소통이 이루어짐을 밝혔다. 연구의 분석을 통해 효 가사의 대중가요는 세대와 세대를 넘나들며 심리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편견을 극복하며 세대간 공감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하였음을 찾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효는 자녀가 부모와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부모와 공동체의 삶에 참여하는 적극적 의지로 볼 때 효의 개념이 자녀의 몫이라는 점은 부모와 상호작용 속에서 자녀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

      효는 자녀가 부모와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부모와 공동체의 삶에 참여하는 적극적 의지로 볼 때 효의 개념이 자녀의 몫이라는 점은 부모와 상호작용 속에서 자녀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효는 부모와 사회의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드는 것을 위해 자녀는 판독과 표현을 잘해야 한다는 행위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효를 한다는 것은 부모의 이야기를 자녀의 이야기로 가져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의 통합성과 부모, 사회, 자녀의 긍정적 변화는 효문화의 내용과 형식을 담아낼 수 있는 두 개의 주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문화적 전파력이다. 좋은 것은 내 이웃과 나누고 싶어 하는 욕구, 그 경우 나의 즐거움이 배가된다는 경험, 나의 자녀는 행복해야 한다는 책임적 감정은 문화적 전파력을 위해 중요한 요인들이다. 문화적 전파력으로 볼 때 조화로움은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문화라고 하는 것은 역사 속에서 문화로 향유하며 살아가고 출발점과 목적지는 서로 다를지라도 어느 순간 같은 지점에서 만나 함께 걸을 수도 있다. 모르는 사이 무한한 것들이 몸의 언어, 대화, 이야기로 불러내는 ‘삶의 노래’로 대중가요는 다시 태어나고 또 사라져 간다.
      같은 세상에 살고 있으나 타인일 수밖에 없는 어느 가족의 노래는 삶에서 나오고 삶은 세상과 따로 떨어질 수 없다. 이에 중립적이거나 방관하는 것도 사회의 중심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음악은 어떤 식으로든 세상과의 대화, 즉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대중가요는 사회와 역사, 아울러 공동체로서의 세상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해 왔다. 음악의 기쁨과 슬픔은 사람들과의 소통과 교감에서 나온다. 과거의 모든 음악이 현재와 미래의 밑거름이 된다.
      본 연구는 효문화가 세대간 소통에 의해 전수됨에 따라 정착된다는 점에서 세대간 전수의 효과적 방법인 대중문화에 주목하고, 그 가운데 대중가요의 가사를 중심으로 효 개념과 감정이 이야기하기 방식으로 화자와 청자 간에 소통이 이루어짐을 밝혔다. 연구의 분석을 통해 효 가사의 대중가요는 세대와 세대를 넘나들며 심리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편견을 극복하며 세대간 공감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하였음을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4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4
      • Ⅱ. 효 개념과 공동체 간의 소통
      • 1. 효의 연결성 8
      • 가. 체계와 연결 9
      • 나. 가족관계의 속성 12
      • 다. 효의 속성들 15
      • 2. 인격적 만남의 효 18
      • 가. 보답과 공경을 통한 만남 20
      • 나. 배려와 정의를 통한 만남 22
      • 다. 소통과 책임을 통한 만남 23
      • 라. 보호와 존중을 통한 만남 24
      • 3. 효의 세대성과 소통
      • 가. 동시대적 효와 사회적 공감 29
      • 나. 세대적 효와 사회적 소통 32
      • 다. 공동체 간 소통 35
      • Ⅲ. 이야기하기 방법의 효 소통
      • 1. 이야기하기의 통합성 38
      • 가. 이야기하기(narrative)의 기능 38
      • 나. 이야기하기에서 감성과 지성의 통합 47
      • 다. 이야기하기와 만남 54
      • 2. 대화적 자아의 인격적 만남 57
      • 가. 대화적 자아의 의미 58
      • 나. 대화적 자아의 인격성과 효 60
      • 다. 진정한 대화의 소통적 효과 63
      • 3. 이야기하기의 인격적 소통 68
      • 가. 이야기하기의 접근법 68
      • 나. 복합적 이야기하기 분석틀 73
      • 다. 복합적 이야기하기 접근을 통한 효교육 79
      • Ⅳ. 대중가요 가사와 효의 세대간 소통
      • 1. 대중가요의 효 읽기 88
      • 가. 대중가요의 이론적 근거 89
      • 나. 대중가요 가사 분석틀 98
      • 다. 대중가요 가사 속의 효의식 100
      • 2. 효 가사에 대한 분석 102
      • 가. 부모님 노래 가사 속에 나타난 효 103
      • 나. 아버지 노래 가사 속에 나타난 효 110
      • 다. 어머니 노래 가사 속에 나타난 효 123
      • 라. 효의식 요소 분석과 문화 전파력 134
      • 3. 대중가요를 이용한 세대간 소통 141
      • 가. 심리적 거리 극복의 소통 142
      • 나. 공간적 거리 극복의 소통 144
      • 다. 시간적 거리 극복의 소통 146
      • Ⅴ. 결 론 152
      • 참고문헌 156
      • ABSTRACT 16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남경태, "“페다고지”",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이 론과 실천 제3권 3호, -141, 2002

      2 김유숙, "『가족치료』", 서울 : 학지사, 2005

      3 강선보, "『인성교육』", 파주: 양서원, 2015

      4 이석원, "음악인지과학", 심설당, 서울: 심설당, 2013

      5 나도원, "『결국 음악』", 파주: 북노마드, 2011

      6 이덕환, "엮음. 『소통』",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7 유영주, "『가족관계학』", 교문사, 파주: 교문사, 2010

      8 김일철, "『스토리두잉』", null

      9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1997

      10 정순우, "「공부의 발견」", 현암사, 서울: 현암사, 2007

      1 남경태, "“페다고지”",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이 론과 실천 제3권 3호, -141, 2002

      2 김유숙, "『가족치료』", 서울 : 학지사, 2005

      3 강선보, "『인성교육』", 파주: 양서원, 2015

      4 이석원, "음악인지과학", 심설당, 서울: 심설당, 2013

      5 나도원, "『결국 음악』", 파주: 북노마드, 2011

      6 이덕환, "엮음. 『소통』",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7 유영주, "『가족관계학』", 교문사, 파주: 교문사, 2010

      8 김일철, "『스토리두잉』", null

      9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1997

      10 정순우, "「공부의 발견」", 현암사, 서울: 현암사, 2007

      11 연규동, "『말한다는 것』", 너머학교, 서울 : 너머학교, 2016

      12 최성규, "『효HYO(3통7행)』", 서울: 성산서원, 2009

      13 신명호, "교육과 빈곤탈출", 서울: 도시연구 9호, 2004

      14 정일서, "『365일 팝음악사』", 돋을새김, 서울: 돋을새김, 2005

      15 정여주, "『노인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06

      16 정민경, "『공감 혹은 반감』", 라온북, 서울: 라온북, 2014

      17 박용익 ( Yong Ik Bak ), "이야기란 무엇인가?",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20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63, 2006

      18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7

      19 최성규, "편저. 『효와 행복』", 서울: 성산서원, 2012

      20 전현수, "『마음치료 이야기』", 서울: 불광 출판사, 2010

      21 김창국, "『스토리를 팔아라』", 서울: 21세기북스, 2013

      22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서울: 학지사, 1997

      23 박종덕, "인성교육과 가정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한국도덕교육학회,『도덕교육연구』. 제24 권 제3호, -174, 2012

      24 박성서, "『100년 음악 박시춘』", 서울: 소동, 2012

      25 김동민, 정현주, "역. 『음악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13

      26 김덕영, "『이론 경험 실천』", 일신사, 서울: 일신사, 2002

      27 한홍진, "미래학교의 5가지 기반", 두남, 서울 : 두남, 2009

      28 정재성, "『정치는 도덕적인가』", 서울: 한길사, 2012

      29 도홍찬, "“대화와 도덕과 교육”", 한국윤리학회, 한국윤리교육학회,『윤리교육연구』70집, -210, 2008

      30 박철호, "『효학의 이론과 실천』", 한국학술정보,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0

      31 류한근, "「시스템관점에서 본 효」", 『성산논총』제11집. -259, 2010

      32 황경식,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서울: 아카넷, 2013

      33 김종인, "『행복을 주는 음악치료』", 서울: 지식산업사, 2006

      34 최연규,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파주 : 살림, 2012

      35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과 실천』", 파주: 교육과학사, 2015

      36 김은령, "『포스트 휴머니즘의 미학』", 서울: 그린비, 2015

      37 이근후, "『행동치료의 이론과 실제』", 하나의학사, 서울: 하나의학사, 1989

      38 Baer, Ruth A,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9

      39 박철호, "『기독교도덕형성체계연구』", 홍익재, 서울: 홍익제, 2003

      40 고미영, "이야기 치료와 이야기의 세계", 청목, 서울: 청록출판사, 2004

      41 마사유키, 마에다, "“이야기로써의 내셔널리즘”", 『비교문화연구』11권 1호, -162, 2007

      42 김경일,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서울: 푸른 역사, 2012

      43 류한근, "효의식 조사를 위한 척도 연구", 한국효학회, 한국효학회,『효학연구』. 제13호, -122, 2011

      44 김용직, "『한국현대문학의 사적 탐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45 황선미, "『받아들이면 알게 되는 것들』", 서울: 소울메이트, 2016

      46 조정현, "『원불교 효사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47 안배근, "“설화 속에 나타난 효의 의미”", -주로 전주 완주 지방의 설화를 중 심으로-, 한국효학회,『효학연구』. 제19호, -88, 2014

      48 김형철, "『이야기를 통한 도덕교육방안』",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2003

      49 장유정, "「근대 대중가요의 매체와 문화」", 소명출판, 서울: 소명출판, 2012

      50 이은주, "『음악치료에 대한 이론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91

      51 조병춘, "『한국 현대시의 전개양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대학원, 1979

      52 박영웅, "『K-POP으로 보는 대중문화 트렌드 』", 서울: 마리북스, 2015, 2016

      53 박용석, "『음악이 인간심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대학 원, 1993

      54 윤주, "『스토리텔링에서 스토리두잉으로』", 살림, 서울: 살림, 2017

      55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사회과학』",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1

      56 차경명, "인성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 교 대학원, 2013

      57 김관도, 하세봉, "역. 『중국사의 시스템 이론적 분석』", 서울: 신서원, 1995

      58 류한근, "“세대갈등 극복을 위한 효 반응체계”", 한국효학회, 한국효학회,『효학연구』12 호. -82, 2010

      59 박성서,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 책이있는풍경, 서울:책이있는풍경, 2010

      60 류한근, "“효 개념 요소의 세대 개념의 필요성”", 『성산논총』제14집. -87, 2014

      61 이민용,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의 치유적 기능”", 『독일언어문학』. 43권, 225-242, null

      62 김대군, "내러티브 도덕교육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1 집, -48, 2010

      63 송태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감수성』",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 교 대학원, 1992

      64 김병희, "현대사회에서 효의 의미와 효 교육의 원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4(2), -185, 2006

      65 류한근, "“초중등 과정 학생의 효 정신 함양 방안”", 『성산논총』제13집. -91, 2012

      66 류한근, "“효실천의 연결망과 효의 가치발생체계”", 『성산논총』제9집. -352, 2008

      67 Schildhammer Georg, "Konrad Paul Liessmann. Gl ck. 최성욱 역, 『행 복』", 이론과 실천, 2014

      68 이경엽, "“서남지역 민속 문화의 특성과 활용방향”", 한국민속학회,『한국민속 학』. 37집, -187, 2003

      69 류한근, "“효와 복지 융합으로서 사회보장의 철학”", 『성산논총』제15집. -116, 2014

      70 김재호, "『문화 변동과 한국 민속학의 대응과 역할』", 민속원, 한국 민속학술단체 연합회, 서울: 민속원, 2011

      71 성규탁, "『한국인의 서로 돌봄-사랑과 섬김의 실천』",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72 이언주, "인문학을 활용한 도덕과 교육 개선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 울대학교, 2016

      73 김정경,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학회,『한 국고전연구』 23권, , 263-289, 2011

      74 박철호,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도덕형성체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장로회 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75 홍석영, "인성 개념 및 인성의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중등교육연구』. 제25집, -198, 2013

      76 Sandel, M., "Why Morality? 안진환 이수경 역, 『왜 도덕인가?』", 서울: 한 국경제신문, 2010

      77 김성환, "『초등학교 효 교육내용의 복합적 체계 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성산 효대학원대학교, 2014

      78 고춘화, "“이야기 생성과 표현을 통한 문법 수업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44권, , 5-35, 2012

      79 이두성,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한국연극예술치료학 회, 『연극예술치료연구』 2권, -79, 2012

      80 류한근, "“조화(harmony)로 효(HYO)의 개념과 조화의 실천”", 『성산논총』제 18집. -427, 2017

      81 김재은, "『예술이 어떻게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서울: 교육과학사, 2014

      82 최상열,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화 양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 남대학교 대학원, 2010

      83 김기홍,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이론적 연구”",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에스니시티와 다문화 주의의 통합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12권 3호, -486, 2012

      84 한미양, "미술활동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육아지원학회, 박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대학원, 2013

      85 배상식, 서미옥,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실태",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 학총론』. 33(1), -76, 2012

      86 박철호, "『기독교 효 체계에 의한 북한 주체사상 효 분석』", 나눔사, 서울: 나눔사, 2012

      87 김명운, "전통과 현대의 효교육 비교 :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석사학위논 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88 최지윤, "공감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 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89 최재천, "『10년 후 세상-개인의 삶과 사회를 바꿀 33가지 미래상』", 청림, 서울: 청림출판, 2012

      90 송현종,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귀인 모형의 인과적 분석』",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3

      91 장만석, "『초고령사회 일본의 효문화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6

      92 박인기, "「학생 언어문화 개선을 통한 인성교육 강화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pp203, 2012

      93 김소희, "『수련활동체험이 청소년의 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 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94 김현자, "“그림이야기책의 활용을 통한 부모와 자녀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아동복지학회, 『아 동복지연구』 5권 1호, -53, 2007

      95 조은미, "실천지향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바른 인성함양 방안연 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9

      96 이동원, "“청소년비행의 통제요인과 유발요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97 이민용, "「재소자 인성교육, 스토리텔링 치료, 내러티브 콘텐츠의 활용」",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강 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인문과학연구 제45집 441-463, 2015

      98 이혜숙, "“학업중단 학생을 위한 사랑과 관심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경남』. 제 194호 통권211호가을), 120-125, 2013

      99 방진하 ( Jin A Bhang ), ""맥킨타이어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철학학회,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2호, -99, 2014

      100 손경, 전창우, "“초 중 고학생들의 인성실태 분석 및 인성교육 개선 방안 연 구”", 『윤리교육연구』. 제33호, 27-52, 2014

      101 김국태, 조현호, "가나이 노부요시 김만석 최희경 공저. 『대중 문화와 문화 기획』", 서울: 글누림, 2005

      102 강경숙, 최세민, 오가영, "통합예술치료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13권 2호, -112, 2009

      103 이두성, "『공감 공동체를 향한 자전적 스토리텔링 공연 만들기 프로그램연 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대학원, 2011

      104 교육부,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 정책의 효과성 분석 및 성과지표 개발 연 구』", 교육부 전자자료, 2015

      105 이주영,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9

      106 최혜향, "『창의 인성교육을 위한 음악수업 지도 방안-고등학교 음악 가창영 역 중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107 이재호 ( Lee Jae-ho ), "내러티브 접근에서의 도덕성 발달과 도덕교육: 태펀(M. B. Tappan)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초등도덕교 육』. 제58집 -198, 2017

      108 Joy A., "Palmer. FIFTY MODERN THINKERS ON EDUCATION. 조현철 박혜숙 공역, 『50인의 현대 교육사상사』", 서울: 학지사, 2009

      109 김숙자, 김현정, "“전통적 가치의 현재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 그램 개발 방향 모색”", 『아동교육』제21권 제3호 -34, 2012

      110 김기호, "“이야기 만들기의 치유적 가능성 -대학생 우울과 DAS 이야기의 상 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한국사상과 문화』 58권, , 67-98, 2011

      111 염철현, "미국 초 중등학생의「학업적, 사회적, 감성적 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법」소개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개발원』. pp42, 2012

      112 이송은, "“세 연구자들의 스토리텔링 탐험기: 그림책으로 아이들과 소통 하는 할머니 할아버지 세워가기”,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9권, -119,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