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VFSMOD-w 모형을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의 관리를 위한 식생대 설치 시 파종 식물의 종류, 식생대의 길이, 강우 조건이 저감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0785
2016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140-150(1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VFSMOD-w 모형을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의 관리를 위한 식생대 설치 시 파종 식물의 종류, 식생대의 길이, 강우 조건이 저감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VFSMOD-w 모형을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의 관리를 위한 식생대 설치 시 파종 식물의 종류, 식생대의 길이, 강우 조건이 저감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대상 지역으로 청미천 유역 내 원부교 부근의 나지를 선정하였다. 수정된 Manning의 조도계수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식물체의 경우 토사 저감 효율이 동일하게 계산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식생대의 길이 및 식물체의 파종 간격이 토사 저감 효율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식생대의 길이가 약 2배 증가할 때 토사 저감 효율이 많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생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나, 특정 길이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토사가 포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생대의 설치는 식생대 설치지역의 강우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식물체의 파종 간격 및 식생대 길이를 결정지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etation type,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and rainfall on trapping efficiency of the non-point source water pollution. Numerical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sing VFSMOD-w. It is known from this 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etation type,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and rainfall on trapping efficiency of the non-point source water pollution. Numerical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sing VFSMOD-w. It is known from this study that the vegetation having the same value of revised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 shows the similar trapping efficiency in VFSMOD-w. When the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increases twice, the trapping efficiency increases negligibly small under the same condition of rainfall. From this finding, it is also known that most of sediment are removed within a certain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s. It is concluded that the install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 is determin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space of vegetation, and length of vegetative filter str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환경연구원, "하천・호수의 수질보전과 유역관리에 관한 한・일 공동세미나"
2 장정렬, "포스터발표 : 비점오염원관리; 저수지내 침강지의 수질정화 효과" (단일) : 553-556, 2004
3 이기원, "파종시기가 톨 페스큐 생육특성 및 종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103-107, 2014
4 박윤식, "초생대의 유사 저감 효과 모의를 위한Web GIS VFSMOD 시스템의 구축"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단일) : 106-107, 2007
5 서정훈,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특성을 고려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 55 (55): 121-131, 2013
6 조남철,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식생대를 이용한 NO_3-N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53 (53): 51-57, 2011
7 환경부,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및 관리·운영매뉴얼"
8 환경부,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 4대강 대권역수질보전 기본계획(‘06 ∼ ’15)" 2006
9 김진호, "농촌유역의 강우사상별 농업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 24 (24): 69-77, 2008
10 김맹중,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별 파종량이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247-256, 2010
1 국립환경연구원, "하천・호수의 수질보전과 유역관리에 관한 한・일 공동세미나"
2 장정렬, "포스터발표 : 비점오염원관리; 저수지내 침강지의 수질정화 효과" (단일) : 553-556, 2004
3 이기원, "파종시기가 톨 페스큐 생육특성 및 종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103-107, 2014
4 박윤식, "초생대의 유사 저감 효과 모의를 위한Web GIS VFSMOD 시스템의 구축"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단일) : 106-107, 2007
5 서정훈,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특성을 고려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 55 (55): 121-131, 2013
6 조남철,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식생대를 이용한 NO_3-N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53 (53): 51-57, 2011
7 환경부,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및 관리·운영매뉴얼"
8 환경부,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 4대강 대권역수질보전 기본계획(‘06 ∼ ’15)" 2006
9 김진호, "농촌유역의 강우사상별 농업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 24 (24): 69-77, 2008
10 김맹중,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별 파종량이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247-256, 2010
11 남상용, "골프장 관리조건에서 시비와 토양에 따른 토양산도의 경시적 변화" 16 (16): 11-17,
12 C. A. Robinson,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s on sediment concentration in cropland runoff" 50 (50): 227-230, 1996
13 안재환, "VFSMOD를 이용한 경작지의 고형물질 유출 저감효과" 대한환경공학회 34 (34): 792-800, 2012
14 R. Muñoz-Carpena, "VFSMOD-w Vegetative Filter Strips Modelling System –Model Documentation and User’s Manual"
15 J. E. Parsons, "The effect of vegetation filter strips on sediment and nutrient removal from agricultural runoff" 324-332, 1991
16 L. W. Mays, "Stormwater Collection Systems Design Handbook" McGraw-Hill 2001
17 J. R. Williams, "Sediment-yield prediction with the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USDA-Agricultural Research Services 244-252, 1975
18 R. B. Daniels, "Sediment and chemical load reduction by grass and riparian filters" 60 (60): 246-251, 1996
19 R. Muñoz-Carpena, "Modeling hydrology and sediment transport in vegetative filter stips" 214 (214): 111-129, 1999
20 H. Blanco-Canqui, "Grass barrier and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iveness in reducing runoff, sediment, nitrogen, and phosphorus loss" 68 (68): 1670-1678, 2004
21 T. A. Dillaha, "Evalu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s as a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feed lots" 60 (60): 1231-1238, 1988
22 B. Gharabaghi, "Effectiveness of Vegetative Filter Strip in Removal of Sediments from Overland Flow" 41 (41): 275-282, 2006
23 Y. Park, "Development of Web GIS-based VFSMOD system with three modules for effective vegetative filter strip design" 5 (5): 1194-1210, 2013
24 C. T. Haan, "Design Hydrology and Sedimentology for Small Catchments" Academic Press 1994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