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자 의식 분석을 통한 광주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Gwangju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Analysis of Consumers'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large retailers have improved their quality and service, resulting in increased customer access and sales, while traditional markets are stagnating. In order for traditional market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the secondary market, creative revitalization methods must be sought. Therefore, in this study, Yangdong Market and Daein Market, which are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rkets in Gwangju, were set as research study area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ho visited the traditional markets.
      As a result, the revitalization measures of Yangdong and Daein marke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the traditional market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place with content that can attract people beyond simply selling and purchasing produ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oster merchants and merchants' associations who will participate in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traditional markets. Thir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anitation that hinder access to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address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orm a modern market space.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focus on fostering creative merchant associations and improving the logistics system to support traditional markets in terms of nurturing small and medium-sized retail businesses to revitalize local commercial areas. In the regional scop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olicy goals to increase the overall attractiveness of the surrounding commercial center including traditional markets.
      번역하기

      Today, large retailers have improved their quality and service, resulting in increased customer access and sales, while traditional markets are stagnating. In order for traditional market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the secondary market, creative ...

      Today, large retailers have improved their quality and service, resulting in increased customer access and sales, while traditional markets are stagnating. In order for traditional market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the secondary market, creative revitalization methods must be sought. Therefore, in this study, Yangdong Market and Daein Market, which are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rkets in Gwangju, were set as research study area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ho visited the traditional markets.
      As a result, the revitalization measures of Yangdong and Daein marke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the traditional market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place with content that can attract people beyond simply selling and purchasing produ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oster merchants and merchants' associations who will participate in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traditional markets. Thir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anitation that hinder access to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address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orm a modern market space.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focus on fostering creative merchant associations and improving the logistics system to support traditional markets in terms of nurturing small and medium-sized retail businesses to revitalize local commercial areas. In the regional scop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olicy goals to increase the overall attractiveness of the surrounding commercial center including traditional mark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대형유통업체들이 품질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용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매출액이 급증한 반면 전통시장은 접근성과 시설의 노후화 및 대고객 서비스의 미비로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전통시장이 유통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양동시장과 대인시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전통시장을 방문한 소비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양동시장과 대인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시장은 단순히 상품의 판매와 구입이 이뤄지는 장소를 넘어서 사람들을 유인할 수 있는 콘텐츠가 있는 장소로 변화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의 실질적인 개선에 참여할 상인들과 상인연합을 육성해야 한다. 셋째, 전통시장의 접근성을 저해하는 환경개선과 위생문제를 해결하고 현대화된 시장 공간 형성에 힘써야 한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중소유통업 육성 측면에서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창의적인 상인회 육성과 물류시스템을 개선하는데 집중해야하고, 지역적 범위 측면에서는 전통시장을 포함하는 주변 상업중심지역 전반의 매력을 높이는데 정책적 목표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대형유통업체들이 품질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용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매출액이 급증한 반면 전통시장은 접근성과 시설의 노후화 및 대고객 서비스의 미비로 침체를 거듭하...

      오늘날 대형유통업체들이 품질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용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매출액이 급증한 반면 전통시장은 접근성과 시설의 노후화 및 대고객 서비스의 미비로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전통시장이 유통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양동시장과 대인시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전통시장을 방문한 소비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양동시장과 대인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시장은 단순히 상품의 판매와 구입이 이뤄지는 장소를 넘어서 사람들을 유인할 수 있는 콘텐츠가 있는 장소로 변화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의 실질적인 개선에 참여할 상인들과 상인연합을 육성해야 한다. 셋째, 전통시장의 접근성을 저해하는 환경개선과 위생문제를 해결하고 현대화된 시장 공간 형성에 힘써야 한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중소유통업 육성 측면에서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창의적인 상인회 육성과 물류시스템을 개선하는데 집중해야하고, 지역적 범위 측면에서는 전통시장을 포함하는 주변 상업중심지역 전반의 매력을 높이는데 정책적 목표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환경개선사업 시행 후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5-35, 2005

      2 이재하, "한국의 시장" 믿음사 52-, 1992

      3 채지선 ; 전형연,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로서 ‘시장’의 문화정체성 연구 - 광주광역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오매광주>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66) : 115-156, 2019

      4 안지영 ; 박희대, "전통시장은 누구와 경쟁하는가? : 영세 소매업태 간의 경쟁관계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33 (33): 407-427, 2020

      5 박재수, "전통시장과 도심활성화 : 공주산성시장" 7 (7): 15-20, 2020

      6 이상준 ; 이정수,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효과분석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11-118, 2015

      7 최강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219-232, 2020

      8 최진희 ; 서승연 ; 김희균, "전통시장 환경 개선을 위한 디자인 개발 연구-경기도 조원시장 내 환경디자인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 (17): 99-110, 2019

      9 조동원 ; 이세규 ; 조순철, "전통시장 현대화가 서비스가치를 매개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1913송정역시장을 사례로" 관광경영학회 23 (23): 375-397, 2019

      10 김정훈, "전통시장 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과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2 (22): 607-626, 2018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환경개선사업 시행 후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5-35, 2005

      2 이재하, "한국의 시장" 믿음사 52-, 1992

      3 채지선 ; 전형연, "지역의 음식문화브랜드로서 ‘시장’의 문화정체성 연구 - 광주광역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오매광주>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66) : 115-156, 2019

      4 안지영 ; 박희대, "전통시장은 누구와 경쟁하는가? : 영세 소매업태 간의 경쟁관계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33 (33): 407-427, 2020

      5 박재수, "전통시장과 도심활성화 : 공주산성시장" 7 (7): 15-20, 2020

      6 이상준 ; 이정수,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효과분석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11-118, 2015

      7 최강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219-232, 2020

      8 최진희 ; 서승연 ; 김희균, "전통시장 환경 개선을 위한 디자인 개발 연구-경기도 조원시장 내 환경디자인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 (17): 99-110, 2019

      9 조동원 ; 이세규 ; 조순철, "전통시장 현대화가 서비스가치를 매개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1913송정역시장을 사례로" 관광경영학회 23 (23): 375-397, 2019

      10 김정훈, "전통시장 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과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2 (22): 607-626, 2018

      11 정경운, "일제강점기 식민도시화 정책과 오일장 변화과정 - 광주 양동시장을 중심으로 -" 택민국학연구원 (17) : 153-180, 2016

      12 윤상복, "부산시 재래시장의 특성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767-779, 2006

      13 강혜숙,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이 방문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151-170, 2018

      14 문준연, "마케팅" 청목출판사 403-404, 2000

      15 정영라, "관광목적지로서의 전통시장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분석: 서촌 통인시장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5-30, 2020

      16 이원기 ; 이도희 ; 유영설, "21세기 전통시장, 존재의 이유를 생각해보다!: 주관성연구, Q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경영교육학회 34 (34): 111-134, 2019

      17 소상공인진흥공단, "2019년 전통시장·상점가 및 점포경영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6-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9-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0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