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주된 목적은 이을호의 『간양록』 번역이 역사・문화 인식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번역과 관련된 그의 글을 검토하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이을호의 『간양록』 번역이 역사・문화 인식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번역과 관련된 그의 글을 검토하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이을호의 『간양록』 번역이 역사・문화 인식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번역과 관련된 그의 글을 검토하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간양록』 번역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그는 22세 이후 우리의 문화와 독립을 위해 자신의 방식으로 항일정신을 펼쳐나갔고, 『간양록』 구입 이후에는 번역을 통해 이 책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는 역사와 문화 발전에 있어서 번역의 중요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번역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번역은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번역은 특정인이 아닌 대중의 것이어야 하며, 익숙한 한자어가 있더라도 가능한 한 우리의 글(한글)을 찾아 번역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역사와 문화는 고유문화부터 소화해야 하고, 이웃 나라와는 문화교류를 통한 선린 우호관계가 유지되어야 하며, 문화교류는 편견과 독단을 버리는 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번역은 주체성을 잃지 않는 자주적 관점의 역사와 문화 이해에 기초해야 하며, 역사와 문화는 상호이해와 존중에 기초하여 시작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제안한 것이다. 이러한 제안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제시된 것으로서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야만 고유문화와 정체성을 잃지 않는 번역이 될 수 있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제안은 번역에 대한 방향성의 제시라는 점에서 번역에 대한 하나의 전범(典範)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을호, "李東武 四象說 論攷" 철학연구회 7 : 1972
2 이을호, "현암이을호전서" 한국학술정보 2015
3 오종일, "현암 이을호" 문원각 2009
4 최대우, "이제마의 철학 Ⅱ"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5 홍순용, "사상의학원론" 수문사 1973
6 이을호, "東武四象說의 經學的 基調" 일지사 3 (3): 1977
7 안동교, "『간양록(看羊錄)』의 편간 과정과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에 대한 분석" 호남사학회 (83) : 73-100, 2021
8 정약용, "(정본)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1 이을호, "李東武 四象說 論攷" 철학연구회 7 : 1972
2 이을호, "현암이을호전서" 한국학술정보 2015
3 오종일, "현암 이을호" 문원각 2009
4 최대우, "이제마의 철학 Ⅱ"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5 홍순용, "사상의학원론" 수문사 1973
6 이을호, "東武四象說의 經學的 基調" 일지사 3 (3): 1977
7 안동교, "『간양록(看羊錄)』의 편간 과정과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에 대한 분석" 호남사학회 (83) : 73-100, 2021
8 정약용, "(정본)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영・호남 지역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20세기 전반기 전남지역 풍류의 전개양상과 경향 ―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소비자 의식 분석을 통한 광주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 ![]() |
2019-06-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9-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0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