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주임씨가 언간에 나타난 남성의 구문 양상과 특징 = Aspects of Syntax Structure of Male Sender Appeared in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Naju Lim's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7세기에 작성된 나주임씨가 언간을 바탕으로 남성의 구문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그 특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언간은 발신자 개인의 언어 특성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자료이다. 이때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가 글을 작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나주임씨가 언간은 남성 발신자가 작성한 편지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구문을 살펴 그 구조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첫째, NP2의 격조사가 생략된 [NP1이 NP2∅ V] 구조이다. 나주임씨가 언간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생략된 형태가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임일유와 임영이 쓴 편지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임일유가 쓴 편지에서 [NP1이 NP2∅ V]의 예가 더 많이 확인이 되었는데 이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취하는 격식의 정도 차이로 보았다.
      둘째, ‘NP2으로’를 논항으로 취하는 이동 동사 구문의 구조이다. 이동 동사 구문은 [NP1이 NP2 V]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나주임씨가 언간에서는 [NP1이 NP2으로 V] 구조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드물지만 [NP1이 NP2을 NP3으로 V]와 같은 세 자리 서술어 구문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17세기에 작성된 나주임씨가 언간을 바탕으로 남성의 구문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그 특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언간은 발신자 개인의 언어 특성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자료...

      이 글에서는 17세기에 작성된 나주임씨가 언간을 바탕으로 남성의 구문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그 특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언간은 발신자 개인의 언어 특성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자료이다. 이때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가 글을 작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나주임씨가 언간은 남성 발신자가 작성한 편지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구문을 살펴 그 구조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첫째, NP2의 격조사가 생략된 [NP1이 NP2∅ V] 구조이다. 나주임씨가 언간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생략된 형태가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임일유와 임영이 쓴 편지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임일유가 쓴 편지에서 [NP1이 NP2∅ V]의 예가 더 많이 확인이 되었는데 이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취하는 격식의 정도 차이로 보았다.
      둘째, ‘NP2으로’를 논항으로 취하는 이동 동사 구문의 구조이다. 이동 동사 구문은 [NP1이 NP2 V]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나주임씨가 언간에서는 [NP1이 NP2으로 V] 구조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드물지만 [NP1이 NP2을 NP3으로 V]와 같은 세 자리 서술어 구문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한빛, "중세·근대국어 동사 구문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33) : 113-145, 2021

      2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2" 역락 2013

      3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 역락 2013

      4 신성철,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싶-' 구문의 사적 변화 일고찰 - 발신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97) : 67-108, 2016

      5 배영환, "조선시대 왕실 남성의 구개음화 현상 연구" 중앙어문학회 82 : 41-73, 2020

      6 배영환, "은진 송씨 가문 한글 편지에 나타난 방언형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96 : 33-67, 2018

      7 배영환, "왕실 여성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연구-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59) : 111-136, 2021

      8 박석무,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19) 우국의 구도자 창계 임영의 삶과 사상(上)" 경향신문

      9 배영환, "언간 연구의 국어사적 성과와 전망" 한말연구학회 (53) : 61-96, 2019

      10 선한빛, "나주임씨가 언간의 화계에 따른 상대경어법 사용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5) : 3-32, 2020

      1 선한빛, "중세·근대국어 동사 구문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33) : 113-145, 2021

      2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2" 역락 2013

      3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 역락 2013

      4 신성철,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싶-' 구문의 사적 변화 일고찰 - 발신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97) : 67-108, 2016

      5 배영환, "조선시대 왕실 남성의 구개음화 현상 연구" 중앙어문학회 82 : 41-73, 2020

      6 배영환, "은진 송씨 가문 한글 편지에 나타난 방언형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96 : 33-67, 2018

      7 배영환, "왕실 여성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연구-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59) : 111-136, 2021

      8 박석무,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19) 우국의 구도자 창계 임영의 삶과 사상(上)" 경향신문

      9 배영환, "언간 연구의 국어사적 성과와 전망" 한말연구학회 (53) : 61-96, 2019

      10 선한빛, "나주임씨가 언간의 화계에 따른 상대경어법 사용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5) : 3-32, 2020

      11 강희숙, "나주임씨 언간의 구개음화 교정 현상 연구" 한글학회 (289) : 79-106, 2010

      12 안예리, "근대국어 ‘-ㄴ가’와 ‘-ㄴ지’의 영향관계-송준길가와 송병필가 언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사학회 (21) : 325-355, 2015

      13 이주현, "근대 국어 언간의 인용구문 연구" 연세대학교 2021

      14 박부자, "『林滄溪先生墨寶國字內簡』 수록 언간에 대한 연구" 국어사학회 (21) : 157-193, 2015

      15 이래호, "<송규렴가 언간>에 나타나는 남녀 간 언어 차이" 중앙어문학회 79 : 7-37, 2019

      16 선한빛, "17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과 격 교체" 중앙어문학회 83 : 7-34,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6-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9-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0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