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통해 본 17세기 후반 놀이 문화의 일면 = One Aspect of Late 17th Century's Entertainment Culture Seen Through a Korean classical long Novel, Sohyeonseong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6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전문학과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놀이 문화’에 관한 연구, 그 중에서도 ‘유흥 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고전문학과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놀이 문화’에 관한 연구, 그 중에서도 ‘유흥 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18세기 이후의 놀이 문화가 앞선 시기보다 ‘상대적’, 혹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과연 그보다 앞선 시기인 17세기 중후반의 놀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의문이 든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부터 18세기 이전까지에 해당하는 17세기 중후반이 ‘본격적인 조선 후기’로 가는 “전환기”에 해당한다면 그 시기 사람들이 인식했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17세기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나 취미 등이 당대의 놀이 문화를 그대로 재현한 것임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 않았다. 대신 다양한 놀이나 취미들을 작품에 등장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상상하거나 수용하고 묘사할 수 있는 문화적 성향, 기호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양상은 어떠하며 그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 문화의 양상을 “집 안팎에서 벌이는 소비적 놀이”와 “사치품들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라는 두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소현성록> 속 놀이문화는, 작품 내적으로는 이념의 이면에 존재하는 세속적 욕망과 취향을 강하게 노출함으로써 작품의 결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작품 외적으로는 18세기 이후가 되어서야 조선사회가 사치와 향락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기존의 논의와 달리, 17세기 중후반의 상층 구성원들 또한 숭검(崇儉)의 절대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사치와 향락을 누리고 즐기려는 욕망을 지녔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entertainment culture -- especially adult entertainment culture -- which take classic literature and works of art as their subject are focusing on their appearance and significance since 18th century. However, as many of...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entertainment culture -- especially adult entertainment culture -- which take classic literature and works of art as their subject are focusing on their appearance and significance since 18th century. However, as many of them describe the culture to have developed more ‘relatively’ and ‘earnestly’ than precedent era, the question arises that what was the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of mid-late 17th century lik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ntertainment culture perceived by people of mid-late 17th century -- for it was the ‘transition period’ to ‘late Choseon Dynasty true to the name’, betwee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war of 1636 and 18th century -- and w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ulture, as Sohyeonseong-rok, a 17th century's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ts subject. Not only aiming to confirm that the games and hobbies reproduce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time, but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appearance and significance of the fact that there existed cultural tendencies and preferences with which various plays and hobbies could be imagined, accepted, and described in the same forms as in the novel. In chapter 2, the appearance of entertainment culture from the work is examined with division into two categories of ‘consumptive leisure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and ‘hobbies of collecting and growing luxury items’. And in chapter 3, based on what was dealt with in chapter 2, entertainment culture from Sohyeonseongrok is understood to be significant, owing to its internal function which gives various colors by strongly exposing worldly desire and taste at the back of ideology. With an external focus on the work, unlike existing arguments that interest in extravagance and pleasure raised its head only after 18th century in Choseon society, the novel gets it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clearly shows the desire of upper classes of mid-late 17th century to enjoy extravagance and pleasure without being bound to frug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소현성록> 속 놀이 문화의 양상
      • 1) 집 안팎에서 벌이는 소비적 놀이 2) 사치품들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
      • 3. <소현성록> 속 놀이 문화의 의미
      • 1) 이념에 의해 가려진 세속적 욕망과 취향 노출 2) ‘소비’와 ‘취향’의 긍정으로 나아가는 상층 문화의 과도기적 일면 묘사
      • 1. 서론
      • 2. <소현성록> 속 놀이 문화의 양상
      • 1) 집 안팎에서 벌이는 소비적 놀이 2) 사치품들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
      • 3. <소현성록> 속 놀이 문화의 의미
      • 1) 이념에 의해 가려진 세속적 욕망과 취향 노출 2) ‘소비’와 ‘취향’의 긍정으로 나아가는 상층 문화의 과도기적 일면 묘사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정희,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239-270, 2012

      2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창작 방식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35) : 71-95, 2005

      3 요한 호이징하, "호모 루덴스" 까치 1-334, 2014

      4 조혜란, "취향의 부상-<임씨삼대록>의 반복 서술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7) : 135-173, 2010

      5 김경미, "지식 형성과 사유의 장(場)으로서의 소설의 가능성 - <삼한습유>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6) : 335-364, 2012

      6 조혜란, "조선후기소설에 나타난 유흥 서술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3 : 95-122, 1997

      7 하을란,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영정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2) : 199-235, 2005

      8 정인숙, "조선후기 도시의 발달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의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221-258, 2012

      9 강명관, "조선후기 경화세족과 고동서화 취미" 동양한문학회 12 : 5-38, 1998

      10 장진성,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한국미술연구소 (24) : 261-291, 2007

      1 남정희,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239-270, 2012

      2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창작 방식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35) : 71-95, 2005

      3 요한 호이징하, "호모 루덴스" 까치 1-334, 2014

      4 조혜란, "취향의 부상-<임씨삼대록>의 반복 서술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7) : 135-173, 2010

      5 김경미, "지식 형성과 사유의 장(場)으로서의 소설의 가능성 - <삼한습유>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6) : 335-364, 2012

      6 조혜란, "조선후기소설에 나타난 유흥 서술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3 : 95-122, 1997

      7 하을란,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영정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2) : 199-235, 2005

      8 정인숙, "조선후기 도시의 발달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의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221-258, 2012

      9 강명관, "조선후기 경화세족과 고동서화 취미" 동양한문학회 12 : 5-38, 1998

      10 장진성,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한국미술연구소 (24) : 261-291, 2007

      11 정지영, "조선시대 부녀의 노출과 외출: 규제와 틈새" 한국여성사학회 (2) : 149-181, 2005

      12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 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428, 1999

      13 박정애, "조선 후기 회화에 나타난 鶴의 이미지와 표현 양상" 미술사연구회 (26) : 105-138, 2012

      14 안대회,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65-96, 2012

      15 이종묵, "조선 후기 놀이문화와 한시사의 한 국면" 애산학회 34 : 157-188, 2008

      16 장진성, "조선 후기 고동서와 수집열기의 성격 : 김홍도의 <포의풍류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미술사와 시각문학회 3 : 154-203, 2004

      17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18 김광섭,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민족문화연구원 (53) : 517-545, 2010

      19 신경숙, "옥소 권섭의 음악경험과 18세기 음악환경" 국제어문학회 (36) : 39-73, 2006

      20 박일용, "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작품에 투영된 이념적 편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5-39, 2006

      21 조혜란, "소현성록 4" 소명출판사 1-567, 2010

      22 조혜란, "소현성록 3" 소명출판사 1-650, 2010

      23 조혜란, "소현성록 2" 소명출판사 1-458, 2010

      24 조혜란, "소현성록 1" 소명출판사 1-568, 2010

      25 고연희, "선비와 鶴… 마주한 두 시선의 맑고 깨끗한 교감이여" 문화일보

      26 이동환, "선비 정신의 개념과 전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8 : 5-53, 2001

      27 류준경, "사씨남정기" 문학동네 1-438, 2014

      28 송희경,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동양고전학회 (38) : 295-329, 2010

      29 권기록, "벌레들의 괴롭힘에 대하여" 휴머니스트 1-486, 2009

      30 조창록, "문헌 자료를 통해 본 조선의 원예 문화" 동방한문학회 (56) : 73-96, 2013

      31 김만중, "구운몽" 민음사 1-254, 2008

      32 서정민, "고전 대하소설 속 바둑문화의 특징과 의미" 국문학회 (27) : 35-53, 2013

      33 이민희,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의 서사적 성격과 놀이 문화" 열상고전연구회 (30) : 261-300, 2009

      34 차충환,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옥루몽>과 <옥선몽>을 중심으로 -" 한국공연문화학회 (24) : 373-404, 2012

      35 이민희, "고소설 삽입 ‘놀이’의 서사적 역할과 의미 연구 -『옥루몽』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5) : 239-267, 2008

      36 박수경, "鮮初 養老宴의 思想과 公演樣相 考察" 한국음악사학회 (30) : 314-344, 2003

      37 윤진영, "玉所 權燮(1671-1759)의 그림 취미와 繪畵觀"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41-171, 2007

      38 김은정, "東陽尉 申翊聖의 駙馬로서의 삶과 문화활동" 열상고전연구회 (26) : 215-254, 2007

      39 윤정분, "明末(16~17세기) 문인문화와 소비문화의 형성" 명청사학회 (23) : 255-284, 2005

      40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여성의 놀이문화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267-298, 2012

      41 朴英姬, "‘蘇賢聖錄' 연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42 조혜란, "<옥루몽>의 서사미학과 그 소설사적 의의" 한국고전문학회 22 : 8-256, 2002

      43 조혜란, "<소현성록>의 보여주기 서술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64, 2008

      44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45 장예준,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5) : 99-132, 2010

      46 한영규, "19세기 경화사족의 學藝 취향과 晩明思潮" 인문학연구원 (48) : 277-300, 2011

      47 남정희, "18세기 경화사족의 시조 향유와 창작 양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8 이태진, "18~19세기 서울의 근대적 도시발달 양상"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4 : 1-35, 1995

      49 이근호,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38) : 151-194, 2010

      50 이민희, "17~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화폐경제의 사회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29-15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