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소년 위기문제 증가로, 이에 대해 국가적 개입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ommunity Youth Safety-Net : 이하 CYS-Net)라고 하는 지역사회 내 위기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60182
김해시: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인제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실무 전공 , 2010.08
2010
한국어
362.7 판사항(20)
경상남도
ⅳ, 54 p.: 삽화,도표; 26 cm.
지도교수:이성기
부록: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p.49-51) 및 서지적 각주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청소년 위기문제 증가로, 이에 대해 국가적 개입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ommunity Youth Safety-Net : 이하 CYS-Net)라고 하는 지역사회 내 위기청...
최근 청소년 위기문제 증가로, 이에 대해 국가적 개입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ommunity Youth Safety-Net : 이하 CYS-Net)라고 하는 지역사회 내 위기청소년 지원서비스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CYS-Net 서비스가 지역적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과 지역 청소년의 문제유형에 관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서비스 이용자 특히, 위기청소년들의 관점에서 서비스를 평가하는 만족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CYS-Net 서비스의 대상인 위기청소년의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CYS-Net 운영에 대한 청소년들의 평가뿐만 아니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CYS-Net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경남지역내 청소년종합지원센터 9개소이며, 응답대상자는 개인상담을 1회이상 받은 위기청소년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YS-Net 서비스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만족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4점 이상으로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위기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성별, 지역별, 소속별) 서비스 요인(문제별, 이용서비스유형별, 이동빈도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전반적 만족도에 어떤 변수가 구체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전반적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위기청소년상담지원서비스 CYS-Net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위기청소
년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보다, 상담자의 전문성, 상담자와 위기청소년간의 신뢰성, 위기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 상담으로 인한 위기청소년의 행동변화만족도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CYS-Net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YS-Net 서비스에 대해서 이용자들은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와 같은 서비스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서비스의 전문성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CYS-Net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의 전문성을 위기청소년들이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지역별 만족도를 조사하여, 지역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군단위의 청소년종합지원센터에서 전반적인 만족도와 차원별 만족도가 다 낮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YS-Net 운영에 있어서 시단위의 청소년종합지원센터에 우선적으로 예산, 인력 등이 편성되고, 군단위에는 그 역량이 미치지 못한 측면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CYS-Net의 전국적인 확대실시를 위해서는 군단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