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역계약 촉진을 위한 무역전시회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utilization of Trade Show of Korean Trade Compan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26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는 전통적인 상품 무역 거래와는 다른 특수거래 형태로서 특허권, 상표권, 의장(디자인)권, 실용신안권 따위의 산업소유권이나 노하우 등을 수출하고 로열티를 받는 수출도 늘고 있으...

      최근에는 전통적인 상품 무역 거래와는 다른 특수거래 형태로서 특허권, 상표권, 의장(디자인)권, 실용신안권 따위의 산업소유권이나 노하우 등을 수출하고 로열티를 받는 수출도 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여전히 상품 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무역 기업이 수출드라이브 시대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래 전통의 재래산업에서 자동차, 반도체, 핸드폰 등의 ICT산업과 물류산업 등의 고부가가치산업 위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나, 아직도 무역기업이 수출업무에 있어서 애로사항은 해외시장에 대한 어려움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국간 거래의 어려움은 계약의 중요성을 더욱 높여주고 있으며, 이머징 마켓 개척 시에는 수출입 이행력이 있는 계약 당사자를 발굴하는 것이 관건이나 이러한 발굴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수출입기업에는 더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계약에 대한 이행력 있는 수출입 당사자 발굴은 계약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개개의 무역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전제조건으로 목표시장, 대상상품, 거래처 선정과 계약 체결과 이에 대한 성실한 이행이다. 최근 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의 93.4%가 해외사업 추진과정에서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 했으며, 애로 유형으로는 전시회참가 애로(41.1%),를 많이 지적 하였다. 다음으로 해외시장 정보부족(17.5%), 수출절차상 애로(16.8%), 무역금융애로(9.9%) 등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적이고 이행력 있는 수출입 기업을 발굴 하기위해서는 수출거래의 개시에 앞서서 해외시장에 대한 조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하며, 여러 해외시장 조사를 수행하는 해외 유수의 많은 기업들도 무역전시회를 활용하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 다른 나라 기업들도 무역전시회의 특성을 살려서 수출입 효율성을 제고 하고 상품 수출 증대에 적극 활용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무역전시 활용성이 증대 되고 있는데, 수출입 기업들의 무역전시회 활용 제고에 대한 전략이 필요 하며, 무역전시회도 향후 수출입기업의 유관산업의 동력으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육성 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 하도록 하여 산업 간의 시너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심화되어가고 있는 국제 경쟁 속에서 국가의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수출입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무역전시회의 활용이 필요하며,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각국의 수많은 기업들이 무역전시회를 활용 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유망무역전시회를 육성하여 해외바이어 발굴과 해외 유명전시회에 우리나라 무역기업의 참가 지원을 통해 수출입기업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수출입기업들이 무역 계약의 효율성을 높이고 계약에 대한 이행력 있는 해외 수출입 기업들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무역전시회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무역전시회의 관련 산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역전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무역 전시산업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무역인프라 확충 등에 기여 하고 무역전시기획사 등은 무역전시회 개최와 관련된 기업들에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무역전시산업의 중요성은 무역인프라의 확충을 통한 수출기반을 강화하고, 교역ㆍ투자증진, 고용확대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막대한 재원을 투입한 무역전시장 시설의 활용도를 제고함으로써, 공공재로서의 역할 강화와 국내무역전시회의 발전은 국내 수출기업의 해외 유명전시회 참가 지원정책의 내실화에도 기여하게 되며. 수출입 기업의 해외시장 조사와 개척에 등 무역실무상의 애로 해소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전시회는 크게 전시회가 열리는 전시장과 전시회를 주최하는 무역 전시 기획업 및 무역전시디자인ㆍ장치업, 운송업, 광고업등과 연계되어 있는 업종으로서 무역전시회를 통해서 실현되며, 무역전시분야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공업에서 경공업에 걸쳐서 매우 다양해 우리나라의 모든 수출입기업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수출입 중소기업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조성하는 등의 무역인프라 확충에 기여 할 수 있으며, 무역 거래 및 정보비용을 최소화하고 신상품 소개 및 업계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등의 기회를 제공하며, 관련 산업에 부대효과가 높고 산업의 특성상 외화 가득률이 높으며, 건립되어 운영 중인 우리나라 주요 도시별 각 무역전시장은 지역산업의 특성을 살린 무역전시회가 열리고 있어 해외 바이어 유치 및 활용에도 유리한 작용을 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national trade shows have become a significant promotional tool for exporters. However,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role of trade shows at the national level. In a dynamic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it can affect t...

      International trade shows have become a significant promotional tool for exporters. However,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role of trade shows at the national level. In a dynamic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it can affect the national economy along a number of channels. International trade shows havea strong correlation with economic growth. In this study, relevant literature is review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rade show industries that scholars and others claim are important influences on boosting the economy. Various policies are obtained from the case studies. This study explains why the government's support to the trade show industries is necessary and suggests n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industry.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research about international trade show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선행연구의 고찰
      • Ⅲ. 우리나라 무역전시 현황과 외국 주요국의 사례 고찰
      • Ⅴ. 수출입기업의 무역계약을 위한 활용 전략
      • Ⅵ. 결론 및 제언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선행연구의 고찰
      • Ⅲ. 우리나라 무역전시 현황과 외국 주요국의 사례 고찰
      • Ⅴ. 수출입기업의 무역계약을 위한 활용 전략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석, 3 : 2005

      2 성은희, "한국전시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7 (7): 2004

      3 이상직, "한국전시산업의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2001

      4 윤기관, "한국의 무역전시산업이 동북아 무역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무역학회 2004

      5 황희곤, "한국 전시산업의 경제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통상학회 7 (7): 2001

      6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의 해외사업 현황과 애로요인조사" 상공회의소 2009

      7 정성화, "중국전시컨벤션센터 운영현황과 시사점" 한국전시장운영자협회 2004

      8 여표, "중국 전시산업 동향과 한-중 협력증진 방안" 한국무역전시학회 2010

      9 여호근, "전시컨벤션센터의 조직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14 (14): 91-104, 2002

      10 신재기, "전시산업의 발전과 전략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6 (6): 2003

      1 김봉석, 3 : 2005

      2 성은희, "한국전시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7 (7): 2004

      3 이상직, "한국전시산업의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2001

      4 윤기관, "한국의 무역전시산업이 동북아 무역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무역학회 2004

      5 황희곤, "한국 전시산업의 경제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통상학회 7 (7): 2001

      6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의 해외사업 현황과 애로요인조사" 상공회의소 2009

      7 정성화, "중국전시컨벤션센터 운영현황과 시사점" 한국전시장운영자협회 2004

      8 여표, "중국 전시산업 동향과 한-중 협력증진 방안" 한국무역전시학회 2010

      9 여호근, "전시컨벤션센터의 조직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14 (14): 91-104, 2002

      10 신재기, "전시산업의 발전과 전략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6 (6): 2003

      11 김민혜, "전시산업 육성에 관한 연구" 8 (8): 2002

      12 지식경제부,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2004

      13 김창수, "전시박람회 개최 정보 웹사이트 분석" 한국관광정책학회 8 (8): 2002

      14 노용호, "전시ㆍ박람회의 지각된 서비스품질평가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관광경영학회 8 (8): 2004

      15 김선의, "유럽전시산업현황과 특성" PROMOSALONS KOREA 2005

      16 김홍렬, "우리나라 컨벤션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시네트워킹 조사연구" 국관광정책학회 8 (8): 2002

      17 강성주, "우리나라 전시산업의 개선방안" 7 (7): 2004

      18 오세영, "에센스 무역업무론" 2003

      19 KOTRA, "세계주요국의 전시산업동향" KOTRA 2004

      20 지식경제부, "무역전시산업육성"

      21 지식경제부, "무역전시산업발전방안" 지식경제부 2000

      22 KOTRA, "권역별 국제무역전시장 건립 타당성 조사" KOTRA 1998

      23 KOTRA, "국내전시산업의 국제화 전략세미나" 2003

      24 KOTRA, "국내전시산업의 국제화 전략세미나" 2003

      25 지식경제부, "국내무역전시회 인중제도 운영계획" 지식경제부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6 0.52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