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 - 우리나라 사례를 중심으로 - = Legal and Policy Support for Facilitating Social Real Estate - Focused on Korean Case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부동산은 자산 불평등과 양극화 등 사회적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아 왔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부동산으로 등장하고 있는 지역공동체가 소유하고 활용하는 ‘사회적 부동산’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공유(國公有)와 사유(私有)를 넘어서는 제3의 소유권인 공유(共有)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부동산의 개념과 우리나라 사례 고찰을 바탕으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부동산이란 ‘지역공동체 주도로 확보하고 관리하며,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역량 강화, 지역성 회복, 지역발전 등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부동산’을 의미한다. 이렇게 지역공동체의 소유권이 확보되면 구성원 간의 소통과 연대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경험을 통한 장소성 확립, 지역의 저렴한 공간 확보와 지역 내 이익 선순환 등의 사회적 가치가 따라오게 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작되고 있으며, 사회적 금융 영역을 포함하여 여러 사례들이 등장하면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금융의 지원을 원활하게 하며, 자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가칭 ‘공유자산신탁’을 설립하기 위한 법률 제정 등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그동안 부동산은 자산 불평등과 양극화 등 사회적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아 왔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부동산으로 등장하고 있는 지역공동체가 소유하고 활용하는 ‘...

      그동안 부동산은 자산 불평등과 양극화 등 사회적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아 왔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부동산으로 등장하고 있는 지역공동체가 소유하고 활용하는 ‘사회적 부동산’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공유(國公有)와 사유(私有)를 넘어서는 제3의 소유권인 공유(共有)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부동산의 개념과 우리나라 사례 고찰을 바탕으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부동산이란 ‘지역공동체 주도로 확보하고 관리하며,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역량 강화, 지역성 회복, 지역발전 등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부동산’을 의미한다. 이렇게 지역공동체의 소유권이 확보되면 구성원 간의 소통과 연대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경험을 통한 장소성 확립, 지역의 저렴한 공간 확보와 지역 내 이익 선순환 등의 사회적 가치가 따라오게 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작되고 있으며, 사회적 금융 영역을 포함하여 여러 사례들이 등장하면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금융의 지원을 원활하게 하며, 자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가칭 ‘공유자산신탁’을 설립하기 위한 법률 제정 등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al estate in South Korea has been blam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social disparities such as asset inequality and polarization. Recently, in South Korea, the emerging ‘social real estate’ that community owns and/or use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ose issu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concept and cases of the social real estate that is based on the community ownership, the third ownership beyond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and to suggest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social real estate. The social real estate is a new approach in owning, managing, and operating community assets by community, and is expected to directly retur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back to the community, and to reinforce the community based on the increased collective power from the various community members. The community ownership is followed by social values such as building sense of place through the common experiences wi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increase of affordable spaces, and positive circle of profits produced by the communit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re currently initiated several policy supports, and a variety of cases of the social real estate including social finance sector in South Korea have many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social real estate cases, more supports of social finance are necessary, and for securing property ownership, we need to legislate a special law to establish tentatively named “‘commons trust”.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diverse policy tools are needed to promote the social real estate.
      번역하기

      Real estate in South Korea has been blam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social disparities such as asset inequality and polarization. Recently, in South Korea, the emerging ‘social real estate’ that community owns and/or uses is considered as an a...

      Real estate in South Korea has been blam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social disparities such as asset inequality and polarization. Recently, in South Korea, the emerging ‘social real estate’ that community owns and/or use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ose issu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concept and cases of the social real estate that is based on the community ownership, the third ownership beyond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and to suggest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social real estate. The social real estate is a new approach in owning, managing, and operating community assets by community, and is expected to directly retur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back to the community, and to reinforce the community based on the increased collective power from the various community members. The community ownership is followed by social values such as building sense of place through the common experiences wi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increase of affordable spaces, and positive circle of profits produced by the communit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re currently initiated several policy supports, and a variety of cases of the social real estate including social finance sector in South Korea have many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social real estate cases, more supports of social finance are necessary, and for securing property ownership, we need to legislate a special law to establish tentatively named “‘commons trust”.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diverse policy tools are needed to promote the social real est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식, "포용적 도시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703) : 1-8, 2019

      2 최명식, "지역자산화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20

      3 최명식, "지역기반 부동산개발 플랫폼 구축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 국토연구원 2017

      4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재단소개"

      5 관계부처 합동,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6 (재)밴드, "사회적경제 공제기금 소개 (2020. 5)"

      7 최명식, "사회적 부동산의 개념과 성공요인: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2 (32): 1-30, 2019

      8 최명식,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 자산관리조직 도입 방안 연구: 사회적 부동산관리조직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18

      9 남기업, "부동산소득은 소득불평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부동산소득 추산과 Gini분해를 통한 소득불평등 영향 분석" 토지+자유연구소 1-30, 2017

      10 Fischel, William A., "Zoning Rules!"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2015

      1 최명식, "포용적 도시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703) : 1-8, 2019

      2 최명식, "지역자산화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20

      3 최명식, "지역기반 부동산개발 플랫폼 구축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 국토연구원 2017

      4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재단소개"

      5 관계부처 합동,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6 (재)밴드, "사회적경제 공제기금 소개 (2020. 5)"

      7 최명식, "사회적 부동산의 개념과 성공요인: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2 (32): 1-30, 2019

      8 최명식,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 자산관리조직 도입 방안 연구: 사회적 부동산관리조직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18

      9 남기업, "부동산소득은 소득불평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부동산소득 추산과 Gini분해를 통한 소득불평등 영향 분석" 토지+자유연구소 1-30, 2017

      10 Fischel, William A., "Zoning Rules!"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2015

      11 Emerson, "The blended value proposition: Integrating social and financial returns" 45 (45): 35-51, 2003

      12 Garvin, Alexander, "The American City: What Works, What Doesn’t" McGraw-Hill 1996

      13 행정안전부, "2020년도 지역자산화 지원사업 공고문"

      14 경기도, "2020년 경기도 사회적경제기금 운용계획(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aw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nkuk Universi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