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북포용정책 10년의 성과와 한계 = Revisiting the S. Korea’s Engagement Policy toward N. Korea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김대중ㆍ노무현 두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기존의 평가와 대안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남한의 대북정책은 남북한의 점진적ㆍ평화적 통일이라는 장기적 목표를 위해 단기적으로 남북교류를 통해 남북의 평화 공존과 북한의 시장화를 유도한다는 것이었다. 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이견은 없다. 비판은 가시적 성과가 없기 때문인데, 그 원인을 지난 정부들의 잘못된 인식과 일방적 시혜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남한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내부변화 간의 인과성을 전제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현 정부는 북한의 ‘비핵ㆍ개방’을 교류의 전제조건으로 둔, ‘원칙 있는 포용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북한의 내부변화란 북한에게 정권안보 문제로서 주로 북한의 내부 요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외부적 요인은 부수적이기 때문에 남한의 대북정책과 직접적인 인과성을 전제한 비판은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이 비판에 근거한 현 정책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 대안으로 본 연구는 북한의 내부변화란 제한적이지만 북한정권의 외부 안보환경을 우호적으로 조성할 때 그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이것은 주로 동맹관계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 중에서도 북한의 포용을 위한 당근으로서의 역할은 미국이, 채찍으로서의 역할은 중국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김대중ㆍ노무현 두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기존의 평가와 대안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남한의 대북정책은 남북한의 점진적...

      본 연구의 목적은 김대중ㆍ노무현 두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기존의 평가와 대안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남한의 대북정책은 남북한의 점진적ㆍ평화적 통일이라는 장기적 목표를 위해 단기적으로 남북교류를 통해 남북의 평화 공존과 북한의 시장화를 유도한다는 것이었다. 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이견은 없다. 비판은 가시적 성과가 없기 때문인데, 그 원인을 지난 정부들의 잘못된 인식과 일방적 시혜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남한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내부변화 간의 인과성을 전제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현 정부는 북한의 ‘비핵ㆍ개방’을 교류의 전제조건으로 둔, ‘원칙 있는 포용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북한의 내부변화란 북한에게 정권안보 문제로서 주로 북한의 내부 요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외부적 요인은 부수적이기 때문에 남한의 대북정책과 직접적인 인과성을 전제한 비판은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이 비판에 근거한 현 정책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 대안으로 본 연구는 북한의 내부변화란 제한적이지만 북한정권의 외부 안보환경을 우호적으로 조성할 때 그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이것은 주로 동맹관계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 중에서도 북한의 포용을 위한 당근으로서의 역할은 미국이, 채찍으로서의 역할은 중국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plausibility in the existing evaluations over the South Korea’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problems. The two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aimed primarily at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gradual marketization of the North by promoting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rough which in the long run two Koreas will be reunified by gradual and peaceful process.
      There has been general consensus about the policy goals. Yet much criticism has been raised because the actual policy has left no visual results on both peaceful coexistence and the marketization. The criticism focuses on the policy makers’ poor and somewhat wrong perception over the North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general and one-sided assistance to the North, which had failed to include North’s effort toward peaceful coexistence and marketization. This criticism is valid only when there is a strong causation between the South’s policy toward the North and the North’s internal policy changes. Furthermore, the current Lee Myung-bak government’s policy toward the North, so called “the Policy of Mutual Benefits and Common Prosperity,” is based on the same criticism and thus asking North’s de-nuclearization and opening of its economy for any future meaningful inter-Korean cooper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since the North’s policy changes such as marketization are basically issues of regime stability, which in turn are mainly related to domestic politics, and less influenced by external variables, assuming a direct causation between the South’s policy toward the North and the North’s internal policy changes is wrong. This makes the criticism less plausible, and reduces efficacy of the current government’s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same criticism.
      To overcom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though the external variable has limited influence, it can help inducing changes by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omestic policy changes. In this context, allies are important. Especially, the rol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essential. The United States is more influential as “carrot” for marketization, and China is more influential as “stick” for the North’s de-nuclearization.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North’s ‘July First Measure for Improving Economic Management’ in 2002, and the long negotiation process of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plausibility in the existing evaluations over the South Korea’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plausibility in the existing evaluations over the South Korea’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problems. The two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aimed primarily at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gradual marketization of the North by promoting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rough which in the long run two Koreas will be reunified by gradual and peaceful process.
      There has been general consensus about the policy goals. Yet much criticism has been raised because the actual policy has left no visual results on both peaceful coexistence and the marketization. The criticism focuses on the policy makers’ poor and somewhat wrong perception over the North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general and one-sided assistance to the North, which had failed to include North’s effort toward peaceful coexistence and marketization. This criticism is valid only when there is a strong causation between the South’s policy toward the North and the North’s internal policy changes. Furthermore, the current Lee Myung-bak government’s policy toward the North, so called “the Policy of Mutual Benefits and Common Prosperity,” is based on the same criticism and thus asking North’s de-nuclearization and opening of its economy for any future meaningful inter-Korean cooper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since the North’s policy changes such as marketization are basically issues of regime stability, which in turn are mainly related to domestic politics, and less influenced by external variables, assuming a direct causation between the South’s policy toward the North and the North’s internal policy changes is wrong. This makes the criticism less plausible, and reduces efficacy of the current government’s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same criticism.
      To overcom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though the external variable has limited influence, it can help inducing changes by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omestic policy changes. In this context, allies are important. Especially, the rol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essential. The United States is more influential as “carrot” for marketization, and China is more influential as “stick” for the North’s de-nuclearization.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North’s ‘July First Measure for Improving Economic Management’ in 2002, and the long negotiation process of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남한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변화: 분석의 틀
      • Ⅲ.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대북정책의 성과와 기존의 비판
      • Ⅳ. 북한 내부변화 유도 실패의 원인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남한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변화: 분석의 틀
      • Ⅲ.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대북정책의 성과와 기존의 비판
      • Ⅳ. 북한 내부변화 유도 실패의 원인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춘근,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나남 2007

      2 구영록, "한국과 햇볕정책: 기능주의와 남북한 관계" 법문사 2000

      3 김태효, "한국 외교정책 연구: 회고, 동향, 그리고 제언"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2007

      4 김학노, "평화통합전략으로서의 햇볕정책" 한국정치학회 39 (39): 237-261, 2005

      5 통일부, "통일백서 2004"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4

      6 서보혁, "탈냉전기 한반도 안보질서 변화에 관한 연구: 남·북·미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4 (14): 63-85, 2008

      7 진창수, "탈냉전기 북일관계의 개선방안, in: 해방 후 한일관계의 쟁점과 전망" 경인문화사 2005

      8 린이푸, "중국의 기적: 발전전략과 경제개혁" 백산서당 1996

      9 김재관, "중국 신지도부의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대북정책과 남북통일관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31-164, 2005

      10 하상식, "분단 반세기 남북한 통일정책의 평가와 과제"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 2000

      1 이춘근,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나남 2007

      2 구영록, "한국과 햇볕정책: 기능주의와 남북한 관계" 법문사 2000

      3 김태효, "한국 외교정책 연구: 회고, 동향, 그리고 제언"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2007

      4 김학노, "평화통합전략으로서의 햇볕정책" 한국정치학회 39 (39): 237-261, 2005

      5 통일부, "통일백서 2004"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4

      6 서보혁, "탈냉전기 한반도 안보질서 변화에 관한 연구: 남·북·미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4 (14): 63-85, 2008

      7 진창수, "탈냉전기 북일관계의 개선방안, in: 해방 후 한일관계의 쟁점과 전망" 경인문화사 2005

      8 린이푸, "중국의 기적: 발전전략과 경제개혁" 백산서당 1996

      9 김재관, "중국 신지도부의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대북정책과 남북통일관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31-164, 2005

      10 하상식, "분단 반세기 남북한 통일정책의 평가와 과제"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 2000

      11 박홍서, "북핵위기시 중국의 대북 동맹안보딜레마 관리 연구: -대미관계의 변화를 주요 동인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103-122, 2006

      12 하상식, "북한의 정치체제: 보편성과 특수성"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 2001

      13 이기종, "북한의 대남정책 결정요인과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7

      14 하상식, "북한경제의 개혁전망 - ‘7.1 경제관리개선조치’의 성격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동북아학회 9 (9): 131-158, 2004

      15 하상식, "미국의 대남북한 정책: 전환기 남·북·미관계와 북한의 WMD 문제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1 : 2004

      16 하상식,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러시아·북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0 (40): 2000

      17 김종표, "남북한 관계와 인식-행위 연계모형" 한국정치학회 41 (41): 5-24, 2007

      18 류길재, "남북한 관계와 북한의 국내정치: 남한 요인은 결정적 변수인가?, in: 남북한 관계론" 도서출판 한울 2005

      19 박휘락, "남북관계의 제로섬적 본질 회귀와 한국의 정책방향 분석: 게임이론과 합리적 모형의 적용"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4 (14): 85-112, 2009

      20 우승지, "남북관계 연구: 검토와 과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2007

      21 서재진, "남북 상생·공영을 위한 비핵·개방·3000 정책의 이론적 체계연구" 통일연구원 2008

      22 정성장, "김정일 정권의 생존전략" 세종연구소 2003

      23 하상식, "경제체제 개혁과 정치적 변화: 북한의 개혁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37 (37): 1997

      24 이영훈, "경제발전전략, in: 북한의 국가전략" 도서출판 한울 2005

      25 Walts, Kenneth,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3

      26 Roxburgh, Angus, "The Second Russian Revolution: The Struggle for Power in the Kremlin" Pharos Books 1992

      27 Mazarr, Michael J., "The Long Road to Pyongyang: A Case Study in Policymaking Without Direction" 86 (86): 2007

      28 Daniels, Robert, "The End of Communist Revolution" Routledge 1993

      29 Laney, James, "How to Deal with North Korea" 82 (82): 2003

      30 박찬봉, "7.7선언체제의 평가와 대안체제의 모색: 기능주의에서 제도주의로" 한국정치학회 42 (42): 341-367, 2008

      31 한석희,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75-200, 2005

      32 통일부, "2009 통일백서" 통일부 2009

      33 연합뉴스, "2000북한연감" 연합뉴스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77 1.22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