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재고 -E여대 교재 및 수업 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 Review on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with priority given to the textbook and class reorganization case of a E Woman's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by investigating a case of a university that was located in Seoul and started to offer different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Meanwhile, writing courses focused on common writing competencies in this university, and the learners seemed to be dissatisfied with this type of educa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ademic tracks were overlooked. So the university attempted to develop different textbooks by academic track and to reorganize the existing courses.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who were responsible for writing education were inter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Every professor who offered writing education didn't require the new students to do advanced writing related to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majors. Instead, they asked them to strengthen basic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on textbook reorgan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Thu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s wasn'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cturers irrespective of major. Under the circumstances,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university put stress on fostering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first half of instruction, and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practice diverse sorts of writ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latter half of instruction, in order to play up the intent of major-bas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in their choice of themes for term paper that replaced finals. The themes chosen by the natural sciences students were a far cry from their major, and the music students mostly discussed overall popular culture instead of choosing particular themes related to their major. The themes chosen by the nursing students were fairly well linked to their major, but it's needed to consider if an emphasis of relationship with major rather might result in limiting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because many of the them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the same as what they dealt with in their major courses, Give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rac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future, and it's required to pursue "conversational" lectures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at the same time. If lecturers keep listening to the voices of learners and reflect them in class,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play up the intent of "specialization" and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learners.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by investigating a case of a university that was located in Seoul and started to offer different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Meanwhile,...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by investigating a case of a university that was located in Seoul and started to offer different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Meanwhile, writing courses focused on common writing competencies in this university, and the learners seemed to be dissatisfied with this type of educa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ademic tracks were overlooked. So the university attempted to develop different textbooks by academic track and to reorganize the existing courses.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who were responsible for writing education were inter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Every professor who offered writing education didn't require the new students to do advanced writing related to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majors. Instead, they asked them to strengthen basic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on textbook reorgan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Thu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s wasn'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cturers irrespective of major. Under the circumstances,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university put stress on fostering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first half of instruction, and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practice diverse sorts of writ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latter half of instruction, in order to play up the intent of major-bas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in their choice of themes for term paper that replaced finals. The themes chosen by the natural sciences students were a far cry from their major, and the music students mostly discussed overall popular culture instead of choosing particular themes related to their major. The themes chosen by the nursing students were fairly well linked to their major, but it's needed to consider if an emphasis of relationship with major rather might result in limiting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because many of the them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the same as what they dealt with in their major courses, Give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rac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future, and it's required to pursue "conversational" lectures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at the same time. If lecturers keep listening to the voices of learners and reflect them in class,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play up the intent of "specialization" and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16년부터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대학의 경우 그간 글쓰기의 공통 역량을 중시한 수업이 계열별 특성을 간과하여 학습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계열별 교재를 개발하고 수업 개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공교수와의 면담 및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 모든 계열의 전공교수가 신입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 전공 특성과 관련된 심화된 글쓰기를 요구하지 않았고, 공통적으로 사고력, 표현력과 관련한 기초 역량의 강화를 요청했다. 또한 교재 개편과 관련한 학생 설문조사에서도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처럼 전공별로 수용자, 교수자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대학 교재 편찬위원회는 교재 전반부, 곧 수업 전반부는 사고력과 표현력의 확장을 위한 기초 역량 강화를 강조했으며, 동시에 계열별 수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교재 후반부, 곧 수업 후반부는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글쓰기 실습을 진행할 계기를 마련했다.
      그런데 계열별 교재를 발간하고 전공별로 구분되는 글쓰기 실습을 진행했지만, 기말고사를 대체하는 학술비평문의 주제 선택과 관련해 전공별로 두드러지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자연대 분반의 경우 주제 선택 면에서 전공 부합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음대 분반은 전공과 일치하는 주제보다는 대중문화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간호대 분반의 경우 주제의 전공 부합도가 월등히 높았지만, 이는 전공 수업에서 다룬 주제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전공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 학생의 창의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이를 감안한다면 향후 글쓰기 교육은 계열별 특성을 감안하되, 해당 분반 학습자의 요구 역시 수렴할 수 있는 ‘대화적’ 강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교수자가 수차례 학습자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단계적 창구를 마련하고 논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한다면, ‘특성화’의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곧 전공별로 요구되는 역량 외에 해당 집단의 고민과 관심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다면, 계열별 수업의 애초 취지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2016년부터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대학의 경우 그간 글쓰기의 ...

      본고는 2016년부터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대학의 경우 그간 글쓰기의 공통 역량을 중시한 수업이 계열별 특성을 간과하여 학습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계열별 교재를 개발하고 수업 개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공교수와의 면담 및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 모든 계열의 전공교수가 신입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 전공 특성과 관련된 심화된 글쓰기를 요구하지 않았고, 공통적으로 사고력, 표현력과 관련한 기초 역량의 강화를 요청했다. 또한 교재 개편과 관련한 학생 설문조사에서도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처럼 전공별로 수용자, 교수자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대학 교재 편찬위원회는 교재 전반부, 곧 수업 전반부는 사고력과 표현력의 확장을 위한 기초 역량 강화를 강조했으며, 동시에 계열별 수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교재 후반부, 곧 수업 후반부는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글쓰기 실습을 진행할 계기를 마련했다.
      그런데 계열별 교재를 발간하고 전공별로 구분되는 글쓰기 실습을 진행했지만, 기말고사를 대체하는 학술비평문의 주제 선택과 관련해 전공별로 두드러지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자연대 분반의 경우 주제 선택 면에서 전공 부합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음대 분반은 전공과 일치하는 주제보다는 대중문화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간호대 분반의 경우 주제의 전공 부합도가 월등히 높았지만, 이는 전공 수업에서 다룬 주제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전공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 학생의 창의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이를 감안한다면 향후 글쓰기 교육은 계열별 특성을 감안하되, 해당 분반 학습자의 요구 역시 수렴할 수 있는 ‘대화적’ 강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교수자가 수차례 학습자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단계적 창구를 마련하고 논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한다면, ‘특성화’의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곧 전공별로 요구되는 역량 외에 해당 집단의 고민과 관심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다면, 계열별 수업의 애초 취지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아, "체육 계열 전공자를 위한 대학글쓰기 - 가천대학교 계열별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28) : 35-63, 2016

      2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인간과 통찰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6

      3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과학과 상상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6

      4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5 원만희, "왜 ‘범교과 글쓰기(WAC)’인가?" 철학문화연구소 82 : 161-175, 2009

      6 김지혜,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4) : 67-93, 2012

      7 강숙아, "예체능 계열의 전공 연계 글쓰기 시론 - 사진학과의 작품해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71-96, 2014

      8 강성숙,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온지학회 (41) : 335-368, 2014

      9 김지혜, "대학에서의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학회 32 : 151-170, 2014

      10 전지니, "대학별 특성화 글쓰기 교과목 개발 보고서" 2016

      1 이정아, "체육 계열 전공자를 위한 대학글쓰기 - 가천대학교 계열별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28) : 35-63, 2016

      2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인간과 통찰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6

      3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과학과 상상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6

      4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5 원만희, "왜 ‘범교과 글쓰기(WAC)’인가?" 철학문화연구소 82 : 161-175, 2009

      6 김지혜,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4) : 67-93, 2012

      7 강숙아, "예체능 계열의 전공 연계 글쓰기 시론 - 사진학과의 작품해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71-96, 2014

      8 강성숙,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온지학회 (41) : 335-368, 2014

      9 김지혜, "대학에서의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학회 32 : 151-170, 2014

      10 전지니, "대학별 특성화 글쓰기 교과목 개발 보고서" 2016

      11 방영심, "대학별 특성화 글쓰기 교과목 개발 보고서" 2016

      12 김수연, "대학별 특성화 글쓰기 교과목 개발 보고서" 2016

      13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대학작문학회 1 : 41-68, 2010

      14 이윤빈,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및 대안적 교육 방안 검토" 한국작문학회 (24) : 135-177, 2015

      15 정혜영, "대구지역 대학교의 글쓰기 교재 분석 - 대구대학교 글쓰기 교재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0) : 181-211, 2009

      16 김현정,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교과의 본질과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79-103, 2012

      17 신선경, "공학인증과 공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 반교어문학회 (27) : 63-88, 2009

      18 신선경, "공학도를 위한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내용" 한국작문학회 (19) : 301-330, 2013

      19 권성규, "공대생 글쓰기 과목에서 가르칠 내용"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3-16, 2010

      20 최도식, "계열별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방법적 모형 개발 - 통섭형 글쓰기로의 지향 -" 시학과언어학회 (29) : 177-205, 2015

      21 주민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19-269, 2014

      22 김현정,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대학작문학회 (14) : 131-161, 2015

      23 Hanstedt, Paul, "Three Reasons to Make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Part of the Conversation" 48-5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