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즐거운 생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pleasant life"-focused on the second gr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59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행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적 특성이나 교사의 판단, 아동의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의 구성과 운영에 융통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재구성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나 재구성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예시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와 관련하여 통합 교과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도 예시 자료를 제공해 주어 교사들이 선택에 의해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발달 단계상 아직 미분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학습 경험의 제공과 즐거운 활동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통합 교육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서 3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단원의 주제 선정은 김재복 저서에서 발췌한 45개의 항목을 바탕으로 아동과 교사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한 결과와 현행 교과서의 단원 주제들 간의 공통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동물, 계절(봄), 상상에 관한 것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주제와 관련하여 단원별로 8-10차시 정도 분량의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원별로 단원의 개관, 목표, 지도 계획을 세우고 차시별로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지도 내용은 차시별로 체육 활동, 미술 활동, 음악 활동 3개 교과의 영역간 통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단원별 대주제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고 단원 내의 차시 계획은 단원 주제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 k초등학교의 2학년 1개 학급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 3월부터 7월에 걸쳐 지도 내용을 계획하여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 봄과 동물 주제에 관련된 단원의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아이들이 모둠별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많기 때문에 적게는 2차시, 많게는 4차시를 한꺼번에 묶어서 탄력 있게 시간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통합을 2학년‘즐거운 생활’교과 영역에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재구성의 예시 자료로서 적절히 활용하여 앞으로 더 많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한 연구와 자료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현행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적 특성이나 교사의 판단, 아동의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의 구성과 운영에 융통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

      현행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적 특성이나 교사의 판단, 아동의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의 구성과 운영에 융통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재구성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나 재구성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예시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와 관련하여 통합 교과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도 예시 자료를 제공해 주어 교사들이 선택에 의해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발달 단계상 아직 미분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학습 경험의 제공과 즐거운 활동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통합 교육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서 3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단원의 주제 선정은 김재복 저서에서 발췌한 45개의 항목을 바탕으로 아동과 교사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한 결과와 현행 교과서의 단원 주제들 간의 공통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동물, 계절(봄), 상상에 관한 것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주제와 관련하여 단원별로 8-10차시 정도 분량의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원별로 단원의 개관, 목표, 지도 계획을 세우고 차시별로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지도 내용은 차시별로 체육 활동, 미술 활동, 음악 활동 3개 교과의 영역간 통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단원별 대주제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고 단원 내의 차시 계획은 단원 주제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 k초등학교의 2학년 1개 학급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 3월부터 7월에 걸쳐 지도 내용을 계획하여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 봄과 동물 주제에 관련된 단원의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아이들이 모둠별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많기 때문에 적게는 2차시, 많게는 4차시를 한꺼번에 묶어서 탄력 있게 시간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통합을 2학년‘즐거운 생활’교과 영역에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재구성의 예시 자료로서 적절히 활용하여 앞으로 더 많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한 연구와 자료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racteristic of the 7th curriculum is the adaptability of the framework of contents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trait, teachers' judgment and students' request. But teachers don't have enough time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nd have materials to app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e for the detailed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teach the "pleasant life".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have incomplete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need the various experiences of learning and the pleasant activity.
      In this respect,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second grade in the " pleasant life " subject and the selected three topics - animal, season(spring), imagination. The unit of the topic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s of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teachers' edition for "Pleasant Life.".
      Each unit consists of 8 to 10 lessons and has the summary, the purpos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he teaching contents were integrated with physical, art and music activities.
      Each lesson of the unit has a relation to the topic of the unit organ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34 second grade stud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Jeonju from March to July. A part of two topics - animal, season(spring)-had two lessons or four lessons successively because children took part in a lot of thinking and acting in each group.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second grade in the "pleasant life" and helping teachers to reconstruct the integrated curriculum.








      번역하기

      The characteristic of the 7th curriculum is the adaptability of the framework of contents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trait, teachers' judgment and students' request. But teachers don't have enough time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n...

      The characteristic of the 7th curriculum is the adaptability of the framework of contents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trait, teachers' judgment and students' request. But teachers don't have enough time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nd have materials to app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e for the detailed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teach the "pleasant life".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have incomplete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need the various experiences of learning and the pleasant activity.
      In this respect,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second grade in the " pleasant life " subject and the selected three topics - animal, season(spring), imagination. The unit of the topic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s of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teachers' edition for "Pleasant Life.".
      Each unit consists of 8 to 10 lessons and has the summary, the purpos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he teaching contents were integrated with physical, art and music activities.
      Each lesson of the unit has a relation to the topic of the unit organ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34 second grade stud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Jeonju from March to July. A part of two topics - animal, season(spring)-had two lessons or four lessons successively because children took part in a lot of thinking and acting in each group.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second grade in the "pleasant life" and helping teachers to reconstruct the integrated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ⅰ
      • 국문초록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2
      • 차례 = ⅰ
      • 국문초록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2
      •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
      • 4. 용어설명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필요성 = 4
      • 2.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및 필요성 = 6
      • 3. 통합 교육과정의 변천 및 저학년 적용에의 타당성 = 8
      • 4. 선행 연구 고찰 = 11
      • Ⅲ. '즐거운 생활'의 구성 방향 탐색 및 통합 패턴 유형 개발 = 14
      • 1. '즐거운 생활' 교과서 및 지도서의 구성 방향 = 14
      • 2. '즐거운 생활'의 새로운 주제 선정 방법 = 16
      • 3. '즐거운 생활'에 적용한 통합 패턴 유형 = 19
      • Ⅳ. '즐거운 생활'의 교수-학습 과정안
      • 1. 봄의 풍경 = 25
      • 2. 숲 속 동물나라 = 38
      • 3. 상상의 세계 = 49
      • Ⅴ. 결론 및 제언
      • 1. 결론 및 요약 = 64
      • 2. 제언 = 66
      • 참고문헌 = 68
      • 부록
      • A. 학생용설문지 = 70
      • B. 교사용 설문지 = 73
      • C. '즐거운 생활' 수업 활동 장면 사진 = 76
      • ABSTRACT =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