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동아일보』의 국제정세 인식1930년대 『동아일보』의 국제정세인식-사회주의 및 전체주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 Dong-a Ilbo’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1930’s: focusing on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beginning of the 1930’s, Dong-a Ilbo(東亞日報)’s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as characterized by its ideological approach. Capitalism that had fallen into deep depression seemed to be unsustainable, and two currents,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ere rising instead. Dong-a Ilbo especially expressed expectations of the improvement of socialism. Contrasted with those capitalist states drowning in the economic panic, the USSR on the steep development well performed the role of advertisement to show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And extending its expectations of socialism, Dong-a Ilbo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the Japanese proletarian party.
      As Manchukuo(滿洲國) was established and social movements of colonial Korea had subsided, there occurred some change in Dong-a Ilbo’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we can find that its interest in totalitarianism increased explosively with Hitler’s seizure of power in 1933. Furthermore, Dong-a Ilbo paid attention to the worldwide expansion of totalitarianism, not only Hitler’s Nazism and Mussolini’s Fascism. And Dong-a Ilbo blamed Nazism for Hitler’s oppressive rule. On the other hand, with the post-ideologicalization of the USSR, symbolized by its joining the League of Nations and being recognized by the USA, there spread the idea that the period of ideology had ended and the world rushed to limitless competence among the several blocks of states.
      In the middle of the 1930’s, Dong-a Ilbo supported the People’s Front movement, by denouncing Mussolini’s invasion of Ethiopia, glorifying the victory of People’s Front in France and expressing its sympathy for the Republican government of Spain. But the support for the People’s Front was distorted from time to time, due to wariness against the USSR, which was in various disputes with Japan. We can also find the contradiction that Dong-a Ilbo could not throw away negative understanding of Nazism, while supporting Japan’s international policy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That was the reflection of situation in which approval of the ‘reformists’, who assumed the character of the People’s Front domestically, could not but be linked with that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whose proponents assumed the character of ‘National Front=Fascism’ internationally.
      The outbreak of Japanese-Chinese War in July of 1937 made clear the antagonism between Japan-Germany-Italy and Britain-America-France-Russia. The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came to be characterized obviously by ‘National Front=Fascism’, going over the ambiguity so far. The nonaggression treaty between Germany and the USSR in August of 1939, however, upset such an anti-soviet policy. But Dong-a Ilbo’s criticism of the USSR’s invasion of other countries, performed in the name of ‘realism’ or ‘diplomacy for peace’, was getting more severe. On the other hand, expectation of a new 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Nazism or Fascism was maintained domestically. But, as the Nazis occupied Paris in June of 1940, Dong-a Ilbo came to support the ‘new regime(新體制)’ movement that aimed to introduce a Nazi-like system and furthermore to insis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adopt a hard-line policy toward international affairs.
      번역하기

      At the beginning of the 1930’s, Dong-a Ilbo(東亞日報)’s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as characterized by its ideological approach. Capitalism that had fallen into deep depression seemed to be unsustainable, and two current...

      At the beginning of the 1930’s, Dong-a Ilbo(東亞日報)’s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as characterized by its ideological approach. Capitalism that had fallen into deep depression seemed to be unsustainable, and two currents,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ere rising instead. Dong-a Ilbo especially expressed expectations of the improvement of socialism. Contrasted with those capitalist states drowning in the economic panic, the USSR on the steep development well performed the role of advertisement to show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And extending its expectations of socialism, Dong-a Ilbo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the Japanese proletarian party.
      As Manchukuo(滿洲國) was established and social movements of colonial Korea had subsided, there occurred some change in Dong-a Ilbo’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we can find that its interest in totalitarianism increased explosively with Hitler’s seizure of power in 1933. Furthermore, Dong-a Ilbo paid attention to the worldwide expansion of totalitarianism, not only Hitler’s Nazism and Mussolini’s Fascism. And Dong-a Ilbo blamed Nazism for Hitler’s oppressive rule. On the other hand, with the post-ideologicalization of the USSR, symbolized by its joining the League of Nations and being recognized by the USA, there spread the idea that the period of ideology had ended and the world rushed to limitless competence among the several blocks of states.
      In the middle of the 1930’s, Dong-a Ilbo supported the People’s Front movement, by denouncing Mussolini’s invasion of Ethiopia, glorifying the victory of People’s Front in France and expressing its sympathy for the Republican government of Spain. But the support for the People’s Front was distorted from time to time, due to wariness against the USSR, which was in various disputes with Japan. We can also find the contradiction that Dong-a Ilbo could not throw away negative understanding of Nazism, while supporting Japan’s international policy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That was the reflection of situation in which approval of the ‘reformists’, who assumed the character of the People’s Front domestically, could not but be linked with that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whose proponents assumed the character of ‘National Front=Fascism’ internationally.
      The outbreak of Japanese-Chinese War in July of 1937 made clear the antagonism between Japan-Germany-Italy and Britain-America-France-Russia. The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came to be characterized obviously by ‘National Front=Fascism’, going over the ambiguity so far. The nonaggression treaty between Germany and the USSR in August of 1939, however, upset such an anti-soviet policy. But Dong-a Ilbo’s criticism of the USSR’s invasion of other countries, performed in the name of ‘realism’ or ‘diplomacy for peace’, was getting more severe. On the other hand, expectation of a new 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Nazism or Fascism was maintained domestically. But, as the Nazis occupied Paris in June of 1940, Dong-a Ilbo came to support the ‘new regime(新體制)’ movement that aimed to introduce a Nazi-like system and furthermore to insis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adopt a hard-line policy toward international affai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30년대 초반 『동아일보』의 사회주의와 전체주의에 대한 인식은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하였다. 대공황으로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였고, 그 대안으로서 사회주의와 전체주의라는 두 가지 조류가 떠오르게 된 것이었다. 아직까지는 사회주의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대공황에 허덕이고 있는 여타 자본주의 국가와 대조적으로 비약적인 성공을 거듭하고 있는 소련의 모습은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선전탑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었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일본의 무산정당에도 높은 관심이 기울여졌다.
      만주국이 수립되고 국내 사회 운동의 열기도 잦아들면서, 국제정세 인식에도 변화가 찾아 왔다. 먼저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계기로 하여 파시즘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점을 들 수 있다. 무솔리니의 이태리, 히틀러의 독일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국가주의가 범람하고 있는 사실이 주목되었다. 파시즘에 대해서는 히틀러 정권의 폭압적인 통치와도 맞물리면서 그 부정적인 측면이 뚜렷이 인식되었다. 한편 미국의 소련 승인과 소련의 국제연맹 가입으로 상징되는 소련의 탈이데올로기화와 더불어 전세계는 이데올로기의 시대를 넘어 강대국을 중심으로 한 블록화 및 무한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는 파시스트 이태리의 에티오피아 침략에 대한 규탄, 프랑스의 인민전선의 승리에 대한 환호, 스페인의 인민전선정부에 대한 동정 등에서 확인되듯 유럽에서의 인민전선운동에 대한 지지가 확인된다. 하지만 일본과 다양한 이해관계를 다투고 있는 소련에 대한 경계감 때문에 인민전선에 대한 지지가 미묘하게 비껴가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후발 자본주의국 일본의 ‘현상타파’론을 지지하면서도 그 파트너라 할 독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버릴 수 없는 모순 또한 발견된다. 이는 일본 국내적으로 인민전선적 성격을 갖고 있던 ‘혁신’ 세력에 대한 지지가, 대외적으로는 오히려 국민전선=파시즘전선에 가까운 ‘현상타파’ 세력에 대한 지지로 미끄러져야 하는 현실의 반영이었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의 발발은 일독이 대 영미불소의 대립구도를 뚜렷하게 해주었다. 이로써 ‘현상타파’ 세력에게는 이제까지의 애매함을 넘어 확실하게 반소파시즘전선 즉 국민전선으로서의 성격이 부여되었다. 다만 1939년 8월의 독소불가침 조약은 이와 같은 반소 노선에 차질을 가져왔다. 그러나 소련이 이른바 ‘현실주의’ 혹은 ‘평화외교’의 이름하에 자행하고 있던 침략에 대한 비판은 격렬함을 더해갔다. 국내적으로는 ‘혁신’ 세력 구체적으로는 사회대중당의 존재에 대한 기대하에, 나치즘 혹은 파시즘과는 다른 방식의 정치체제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940년 6월 나치스의 파리 점령에 즈음해서는, 당시 일본 사회에서 나치즘의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전개된 ‘신체제’ 운동을 지지하는 한편, 나아가 일본 정부에게 대외강경책을 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번역하기

      1930년대 초반 『동아일보』의 사회주의와 전체주의에 대한 인식은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하였다. 대공황으로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였고, ...

      1930년대 초반 『동아일보』의 사회주의와 전체주의에 대한 인식은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하였다. 대공황으로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였고, 그 대안으로서 사회주의와 전체주의라는 두 가지 조류가 떠오르게 된 것이었다. 아직까지는 사회주의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대공황에 허덕이고 있는 여타 자본주의 국가와 대조적으로 비약적인 성공을 거듭하고 있는 소련의 모습은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선전탑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었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일본의 무산정당에도 높은 관심이 기울여졌다.
      만주국이 수립되고 국내 사회 운동의 열기도 잦아들면서, 국제정세 인식에도 변화가 찾아 왔다. 먼저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계기로 하여 파시즘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점을 들 수 있다. 무솔리니의 이태리, 히틀러의 독일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국가주의가 범람하고 있는 사실이 주목되었다. 파시즘에 대해서는 히틀러 정권의 폭압적인 통치와도 맞물리면서 그 부정적인 측면이 뚜렷이 인식되었다. 한편 미국의 소련 승인과 소련의 국제연맹 가입으로 상징되는 소련의 탈이데올로기화와 더불어 전세계는 이데올로기의 시대를 넘어 강대국을 중심으로 한 블록화 및 무한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는 파시스트 이태리의 에티오피아 침략에 대한 규탄, 프랑스의 인민전선의 승리에 대한 환호, 스페인의 인민전선정부에 대한 동정 등에서 확인되듯 유럽에서의 인민전선운동에 대한 지지가 확인된다. 하지만 일본과 다양한 이해관계를 다투고 있는 소련에 대한 경계감 때문에 인민전선에 대한 지지가 미묘하게 비껴가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후발 자본주의국 일본의 ‘현상타파’론을 지지하면서도 그 파트너라 할 독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버릴 수 없는 모순 또한 발견된다. 이는 일본 국내적으로 인민전선적 성격을 갖고 있던 ‘혁신’ 세력에 대한 지지가, 대외적으로는 오히려 국민전선=파시즘전선에 가까운 ‘현상타파’ 세력에 대한 지지로 미끄러져야 하는 현실의 반영이었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의 발발은 일독이 대 영미불소의 대립구도를 뚜렷하게 해주었다. 이로써 ‘현상타파’ 세력에게는 이제까지의 애매함을 넘어 확실하게 반소파시즘전선 즉 국민전선으로서의 성격이 부여되었다. 다만 1939년 8월의 독소불가침 조약은 이와 같은 반소 노선에 차질을 가져왔다. 그러나 소련이 이른바 ‘현실주의’ 혹은 ‘평화외교’의 이름하에 자행하고 있던 침략에 대한 비판은 격렬함을 더해갔다. 국내적으로는 ‘혁신’ 세력 구체적으로는 사회대중당의 존재에 대한 기대하에, 나치즘 혹은 파시즘과는 다른 방식의 정치체제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940년 6월 나치스의 파리 점령에 즈음해서는, 당시 일본 사회에서 나치즘의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전개된 ‘신체제’ 운동을 지지하는 한편, 나아가 일본 정부에게 대외강경책을 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京城地方法院檢事局, "金台俊被疑者訊問調書 in: 李觀述外十五名治安維持法違反事件" 1941

      2 구대열,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1-일제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 역사비평사 1995

      3 서동만, "파시즘연구" 거름 1991

      4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44 : 2000

      5 전상숙,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질서의 재편과 민족 지도자들의 대외 인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313-350, 2004

      6 방기중,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7 김상태, "윤치호 일기 1916∼1943-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시기-" 역사비평사 2001

      8 이소가야 스에지, "우리 청춘의 조선-일제하 노동운동의 기록-" 사계절 1988

      9 임경석, "세계 대공황기 사회주의ㆍ민족주의 세력의 정세인식" 11 : 1994

      10 이준식, "세계 대공황기 민족해방운동 연구의 의의와 과제" 11 : 1994

      1 京城地方法院檢事局, "金台俊被疑者訊問調書 in: 李觀述外十五名治安維持法違反事件" 1941

      2 구대열,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1-일제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 역사비평사 1995

      3 서동만, "파시즘연구" 거름 1991

      4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전향과 그 논리" 44 : 2000

      5 전상숙,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질서의 재편과 민족 지도자들의 대외 인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313-350, 2004

      6 방기중,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7 김상태, "윤치호 일기 1916∼1943-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시기-" 역사비평사 2001

      8 이소가야 스에지, "우리 청춘의 조선-일제하 노동운동의 기록-" 사계절 1988

      9 임경석, "세계 대공황기 사회주의ㆍ민족주의 세력의 정세인식" 11 : 1994

      10 이준식, "세계 대공황기 민족해방운동 연구의 의의와 과제" 11 : 1994

      11 コリア研究所, "消された言論-日帝統治下「東亜日報」「朝鮮日報」押収記事集-政治編" 未来社 1990

      12 "東亞日報社史 卷一" 東亞日報社 1975

      13 "東亞日報"

      14 徐珉濠, "朗山 金俊淵(1895∼1971)-투철한 反共路線-" 8 : 1972

      15 有馬学, "日中戦争と社会大衆党-一九三〇年代における「運動」と「統合」(二)" 129 : 1992

      16 米谷匡史, "戰時期日本の社會思想-現代化と戰時變革-" 882 : 1997

      17 李炯植, "南次郎総督時代における中央朝鮮協会" 720 : 2008

      18 原口京太, "スローガン時代を打診する" 374 : 1939

      19 박찬승, "20세기 한국의 국가주의의 기원 in: 민족주의의 시대-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 景仁文化社 2007

      20 장신, "1930년대 언론의 상업화와 조선.동아일보의 선택" 역사문제연구소 (70) : 164-196, 2005

      21 李秀日, "1930년대 社會主義者들의 現實認識과 마르크스주의 이해-‘城大그룹’을 중심으로- in: 韓國近現代의 民族問題와 新國家建設" 知識産業社 1997

      22 韓相龜, "1926~28년 사회주의 세력의 운동론과 新幹會" 32 : 1994

      23 류시현, "1910∼20년대 일본유학 출신 지식인의 국제정세 및 일본인식" 7 :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