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경요도 방광절제술을 위한 척추마취 후 지속적인 발기를 지닌환자의 마취관리 = Anesthetic Management of the Patient with Persistent Penile Erection Developed after Spinal Anesthe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0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50-year-old man with bladder cancer had spinal anesthesia for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After he had spinal block at the T8 level, he developed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making it impossible to introduce the 24 French cystoscope. To treat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intravenous glycopyrrolate was incrementally given for a total of 0.4 mg.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was markedly subsided 5 minutes after last 0.2 mg glycopyrrolate was given. Then corpus cavernosum blood was aspirated. The cystoscope was easily introduced, and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proceeded without further complication. (Korean J Anesthesiol 2004; 47: 446~8)
      번역하기

      A 50-year-old man with bladder cancer had spinal anesthesia for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After he had spinal block at the T8 level, he developed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making it impossible to introduce the 24 French cystoscope. To ...

      A 50-year-old man with bladder cancer had spinal anesthesia for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After he had spinal block at the T8 level, he developed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making it impossible to introduce the 24 French cystoscope. To treat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intravenous glycopyrrolate was incrementally given for a total of 0.4 mg. A persistent penile erection was markedly subsided 5 minutes after last 0.2 mg glycopyrrolate was given. Then corpus cavernosum blood was aspirated. The cystoscope was easily introduced, and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proceeded without further complication. (Korean J Anesthesiol 2004; 47: 446~8)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속발기증(priapism)은 성적인 흥분이 없는데도 발기가 지속되는 것으로 부위마취나 전신마취 후 아주 드물게 나타나고, 비뇨기과 수술을 시행 받는 환자의 1% 이하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 그리고 지속성 음경발기를 보이는 경우 수술을 연기하거나 취소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마취 후 발생하는 발기에 대한 기전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다양한 약물과 수술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방광암을 지닌 환자에서 경요도 방광절제술을 위해 척추마취를 시행한 후 지속적인 음경발기로 방광경이 삽입이 되지 않아 glycopyrrolate 정주와 음경해면체(corpus cavernosum penis) 혈액흡인을 시행하여 발기를 완화시킨 경우로 척추마취 후 생긴 음경발기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지속발기증(priapism)은 성적인 흥분이 없는데도 발기가 지속되는 것으로 부위마취나 전신마취 후 아주 드물게 나타나고, 비뇨기과 수술을 시행 받는 환자의 1% 이하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

      지속발기증(priapism)은 성적인 흥분이 없는데도 발기가 지속되는 것으로 부위마취나 전신마취 후 아주 드물게 나타나고, 비뇨기과 수술을 시행 받는 환자의 1% 이하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 그리고 지속성 음경발기를 보이는 경우 수술을 연기하거나 취소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마취 후 발생하는 발기에 대한 기전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다양한 약물과 수술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방광암을 지닌 환자에서 경요도 방광절제술을 위해 척추마취를 시행한 후 지속적인 음경발기로 방광경이 삽입이 되지 않아 glycopyrrolate 정주와 음경해면체(corpus cavernosum penis) 혈액흡인을 시행하여 발기를 완화시킨 경우로 척추마취 후 생긴 음경발기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se of glycopyrrolate to treat intraoperative penile erection" 19 : 423-428, 1994

      2 "Treatment of priapism with ketamine and physostigmine" 61 : 705-707, 1982

      3 "Topical nitroglycerin for intraoperative penile turgescence" 66 : 1022-1023, 1987

      4 "Textbook of Erectile Dysfunction. 1st ed" Oxford, Isis Medical Media 529-539, 1999

      5 "Stuttering priapism in sickle cell disease" 67 : 105-106, 1991

      6 "Possible role for acetylcholine as a neurotransmitter in canine penile erection" 44 : 359-363, 1989

      7 "Pharmacologic treatment of priapism in two horses" 199 : 1183-1184, 1991

      8 "Ketamine prevention of penile turgescence" 219 : 1629-, 1972

      9 "Ketamine for treatment of priapism" 64 : 1033-1034, 1985

      10 "Intracavernosal metaraminol for treatment of intraoperative penile erection" 66 : 831-833, 1990

      1 "Use of glycopyrrolate to treat intraoperative penile erection" 19 : 423-428, 1994

      2 "Treatment of priapism with ketamine and physostigmine" 61 : 705-707, 1982

      3 "Topical nitroglycerin for intraoperative penile turgescence" 66 : 1022-1023, 1987

      4 "Textbook of Erectile Dysfunction. 1st ed" Oxford, Isis Medical Media 529-539, 1999

      5 "Stuttering priapism in sickle cell disease" 67 : 105-106, 1991

      6 "Possible role for acetylcholine as a neurotransmitter in canine penile erection" 44 : 359-363, 1989

      7 "Pharmacologic treatment of priapism in two horses" 199 : 1183-1184, 1991

      8 "Ketamine prevention of penile turgescence" 219 : 1629-, 1972

      9 "Ketamine for treatment of priapism" 64 : 1033-1034, 1985

      10 "Intracavernosal metaraminol for treatment of intraoperative penile erection" 66 : 831-833, 1990

      11 "Ephedrine for treatment of penile erection during spinal anesthesia" 67 : 1019-1020, 1988

      12 "Effect of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and acetylcholine on penile erection in the rat in vivo" 7 : 111-118, 1995

      13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le sexual dysfunction" Seoul, Ilchokak 2-34, 1995

      14 "Campbell's Urology. 6th ed" New York, WB Saunders 709-728, 1992

      15 "Benzodiazepine treatment of penile erec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67 : 596-597, 1988

      16 "Anesthesiology" Seoul, Ryomoongak 40-,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 -> 대한마취통증의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7-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9 0.27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