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UAS 기반 대형 폐기물 발생량 측정 가능성 모색 = Investigation of Measurement Feasibility of Large-size Wastes Based on Unmanned Aerial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24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이 발생하면 임시적환장으로의 이동이나 처리 등을 위해서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이나 폐기물의 원단위를 이용하여 발생량을 추정하고 있지만 그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측정 및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UAS를 이용하여 폐기물 지역을 측정한 결과, 3차원 공간정보의 X, Y, Z RMSE 수치는 각각 0.022 m, 0.023 m, 0.14 m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측정한 폐기물량은 약 $4,273,400m^3$로 도출되었다. 또한 과거부터 지형, 문화재 등 정밀한 측량에 사용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동일지역의 폐기물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약 $4,274,188m^3$로 도출되었다. UAS 기반으로 도출한 폐기물량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UAS를 이용한 폐기물 발생량 측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재해 폐기물이나 대형 폐기물 등의 환경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ize wastes generated from disasters etc. is always in demand. Large-size wast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the air quality,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so on. When la...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ize wastes generated from disasters etc. is always in demand. Large-size wast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the air quality,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so on. When large-size wastes are generated, we must be able to estimate the generated amount in order to transfer them to a temporary trans-shipment site, or to properly treat them. Currently, we estimate the amount of generated large-size wastes by using satellite images or unit measure for wastes; however, the accuracy of such estimations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S, to measure the amount of waste,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 measurement was made at a waste site by using UAS, and the X, Y, Z RMSE values of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0.022 m, 0.023 m, and 0.14 m, all of which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amount of waste measured using these values was computed to be approximately $4,273,400m^3$. In addition, the amount of waste at the same site was measured by using Terrestrial LiDAR, which is used for the precise measurement of ge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ies and the like. The resulting value was $4,274,188m^3$,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waste computed by using UAS. Thus,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 using UAS was confirmed, and UAS-based measurement is believed to be useful for environmental control with respect to disaster wastes, large-size wastes, and the lik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창, "회전익 UAS 영상기반 고밀도 측점자료의 위치 정확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3 (23): 39-48, 2015

      2 유재진, "해안지역의 시계열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UAS 활용 가능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해변을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 23 (23): 113-126, 2016

      3 유인술, "한국의 재난관리대책"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157-173, 2015

      4 유용호, "중복도와 지상기준점에 따른 고정익 UAV 기반 정사영상 및 DSM의 품질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4 (24): 3-9, 2016

      5 Asari, M., "Strategy for separation and treatment of disaster waste: a manual for earthquake and tsunami disaster waste management in Japan" 15 (15): 290-299, 2013

      6 Dijkstra, J.J., "Process identification and model development of contaminant transport in MSWI bottom ash" 22 (22): 531-541, 2002

      7 Hu, Z.H., "Post-disaster debris reverse logistics management under psychological cost minimization" 55 : 118-141, 2013

      8 Jo, J.H., "Optimal Management of Disaster Waste by its Properties Using G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9 Hancock, S., "Measurement of fine-spatial-resolution 3D vegetation structure with airborne waveform lidar: Calibration and validation with voxelised terrestrial lidar" 188 : 37-50, 2017

      10 Coveney, S., "Lightweight UAV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orthoimagery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data accuracy evaluation and potential for river flood risk modelling" 38 (38): 3159-3180, 2017

      1 이용창, "회전익 UAS 영상기반 고밀도 측점자료의 위치 정확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3 (23): 39-48, 2015

      2 유재진, "해안지역의 시계열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UAS 활용 가능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해변을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 23 (23): 113-126, 2016

      3 유인술, "한국의 재난관리대책"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157-173, 2015

      4 유용호, "중복도와 지상기준점에 따른 고정익 UAV 기반 정사영상 및 DSM의 품질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4 (24): 3-9, 2016

      5 Asari, M., "Strategy for separation and treatment of disaster waste: a manual for earthquake and tsunami disaster waste management in Japan" 15 (15): 290-299, 2013

      6 Dijkstra, J.J., "Process identification and model development of contaminant transport in MSWI bottom ash" 22 (22): 531-541, 2002

      7 Hu, Z.H., "Post-disaster debris reverse logistics management under psychological cost minimization" 55 : 118-141, 2013

      8 Jo, J.H., "Optimal Management of Disaster Waste by its Properties Using G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9 Hancock, S., "Measurement of fine-spatial-resolution 3D vegetation structure with airborne waveform lidar: Calibration and validation with voxelised terrestrial lidar" 188 : 37-50, 2017

      10 Coveney, S., "Lightweight UAV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orthoimagery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data accuracy evaluation and potential for river flood risk modelling" 38 (38): 3159-3180, 2017

      11 Chen, J.R., "Estimation of waste generation from floods" 27 (27): 1717-1724, 2007

      12 Petak, W.J.,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45 : 3-7, 1985

      13 Coveney, S., "Dual-scale validation of a medium-resolution coastal DEM with terrestrial LiDAR DSM and GPS" 36 (36): 489-499, 2010

      14 Lee, K.W., "Drone RemoteSensing Photogrammetry" Goomibook 2016

      15 Brown, C., "Disaster waste management: A review article" 31 (31): 1085-1098, 2011

      16 Reinhart, D.R., "Disaster debris management-Planning Too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9

      17 Uysal, M., "DEM generation with UAV Photogrammetry and accuracy analysis in Sahitler hill" 73 : 539-543, 2015

      18 Zhu, X., "Canopy leaf water content estimated using terrestrial LiDAR" 232 : 152-162, 2017

      19 Agüera-Vega, F., "Assessment of photogrammetric mapping accuracy based on variation ground control points numbe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98 : 221-227, 2017

      20 Son, S.W.,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Technologies that Use Drones and Trend of Researc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21 Coˇté J. F., "An architectural model of trees to estimate forest structural attributes using terrestrial LiDAR" 26 (26): 761-777, 2011

      22 Mesas-Carrascosa, F.J.,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lighy Parameters in the Gen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Orthomosaicks to Survey Archaeological Areas" 16 (16): 1838-, 2016

      23 McLoughlin, D.,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45 : 165-172, 1985

      24 이돈선,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지상레이저 측량의 정확도 분석" 한국지적학회 28 (28): 75-8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